11.11 寒熱交熾 한열이 번갈아 치성하다 減之代給 減代 감해주고 대신 지급하는 것 會錄 회는 장부이다. 장부에 기록하다. 快 夬 시원스레 期 기어코 亦 너무나 爲-地 -를 위해 -해주다 果 결국 言議巽軟 언의(言議)가 굳세지 못하고 나약한 無意 뜻을 보이지 않다 士氣 선비들의 기상 仍令選.. 사료/승,일 용어정리 2013.11.12
通政大夫中樞院議官全州李公周國之墓 通政大夫中樞院議官全州李公周國之墓 淑夫人安東孫氏祔 & 墓碣銘 <幷序> 公諱周國 字華範 系國姓德陽君諱岐十▣代孫也 考諱漢謙 妣晉州姜氏 命貴女 以純祖肅皇帝 丙戌四月二日生公 公生有异質 早喪父 能知哀戚 及長 理産潤屋 賙窮恤乏 庤書育英 夫日齋潔不寐 .. 묘지명/묘지명 2013.11.07
연처사묘표 連處士墓表 表處士並從裏人之感欷處著色自是一法長厚之行長厚之言 連處士 應山人也 以一布衣 終於家 而應山之人至今思之 其長老 教其子弟 所以孝友恭謹禮讓而溫仁必以處士為法曰為人如連公足矣 其矜寡孤獨凶荒饑饉之人 皆曰自連公亡使吾無所告依而生以為.. 자료2/자료 2013.11.07
의소세손 만사 挽章秩 영의정 김재로(金在魯) 積德徵綿瓞 쌓은 덕은 면질1)에서 드러나니 皇天降不遲 하늘이 복 내림 더디지 않았네 雲開仲秋夜 구름이 걷힌 중추의 밤에 星朗景春帷 경춘전 휘장에는 별이 빛났네 少海新添派 세자가 새로 후사를 보니 東邦永鞏基 동방에 기반이 영원히 공고해.. 시/만사 2013.10.31
;, 使 , 而 = ;과 같다 臣方使各驛察訪一一査出奴婢, 則亦當使(萊)府必於六七月間下納(釜山倉), 其善爲者, 則自朝家不可無褒賞之典, 而不善爲者, 則亦不可無別樣論罪之道, 其善爲者,(목적어도치, 잘하는 자에게는) 則自朝家不可無褒賞之典, 而不善爲者, 則亦不可無別樣論罪之道, 사료/표점 2013.10.11
용9 1)사제(社祭):입춘(立春) 이후 다섯 번째 무일(戊日)을 춘사(春社)라 하고, 입추(立秋) 이후 다섯 번째 무일을 추사(秋社)라 하는데, 춘사와 추사를 통틀어 사일(社日)이라 하는바, 사제는 사일에 토신(土神)에게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2)강동(江東)에만……아닐세:진대(晉代)의 문인 장한.. 기타/용어정리 2013.10.11
용5 1)새하곡(塞下曲):고대의 악부(樂府) 가운데 하나로, 북쪽 변경 지역의 풍정을 노래한 것이다. 횡취곡(橫吹曲)에서 나왔으며, 왕유(王維), 이하(李賀), 이백(李白)의 〈새하곡〉이 대표적이다. 2)장군께서……자였네:한(漢)나라 때의 명장인 이광(李廣)의 사적을 읊었다. 이광이 일찍이 흉.. 기타/용어정리 2013.10.11
용2 1)어지러운……않았으므로:참고로 《논어》 〈태백(泰伯)〉에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말고, 어지러운 나라에는 거주하지 말아야 한다. 천하에 도가 있으면 자기를 드러내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숨어야 한다.[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 기타/용어정리 2013.10.11
10.9 자정(自靖):마땅히 다해야 할 의리를 편안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여기에서는 의리를 다한다는 뜻이다. 《서경》 〈미자(微子)〉에, “스스로를 편안하게 하여 사람마다 나름대로 선왕에게 뜻을 전한다.[自靖 人自獻于先王]”라는 내용이 보인다. 채침(蔡沈)은 주석에서 “각자 마땅히 다.. 사료/주석 2013.10.09
10.7 兇逆輩內外排布, 其爲謀, 雖曰至深至密, →凶逆輩內外排布, 其爲謀雖曰至深至密, 臣情理懇迫, 不忍久捨, 從前疏控, 亦已屢至. 伏想聖聰或賜記諒矣. 四五日來, 臣母有頭疼寒熱之候, 或謂老人氣虛, 感冒易發, 調攝之久, 宜卽和解. 臣則當國家有凶逆之日, 起廢甄敍; 逮寇亂盡掃平之後, 幸.. 사료/표점 2013.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