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문초발 선대부 녹문(鹿門)공이 지금 세대에 문을 짓는 것이 거짓되고 표절일 일삼는 것을 근심하여 특별히 8대가의 문장을 드러내어 본보기로 삼으니, 대저 문은 전함을 귀하게 여기고 전함을 오램함을 귀하게 여긴다. 문장은 성정에 근본하지 않으면 전하지 못하고 도리에 법으로 삼지 못하면 또한 .. 당송팔대가문초/문초발 2008.06.12
악록서원기 장경부 악록서원기 상수(湘水) 서쪽에 옛 장실(藏室)이 있는데 언덕을 등지고 구릉을 향하여 나무가 무성하고 샘이 맑아 선비들이 학업을 익히는 곳이 되었다. 처음 개보(開寶, 963-975) 연간에 군수 주동(朱洞)이 먼저 터를 헤아려 재우를 지어서 사방의 학자를 기다렸고, 이윤칙(李允則)이 와서 고을을 다스림.. 기문/악록서원기 2008.05.29
발해고서 발해고서(渤海考序) 고려에서 발해사를 편수하지 않아서 고려가 떨치지 못했음을 알겠다. 옛날 고(高)씨가 북쪽에 터를 잡고 고구려(高句麗)라 하였고, 부여(扶餘)씨가 서남쪽에 터를 잡고 백제(百濟)라 했으며, 박(朴)․석(昔)․김(金)씨가 동남쪽에 터를 잡고 신라(新羅)라 하였으니 이를 .. 기서발/발해고서 2008.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