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8 5

육방 예방

3) 예방(禮房)[총설]승정원이 맡고 있는 업무 중에 예방이 단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표1 참조> 더욱이 科試의 문무과 중에서 문과는 예조에서 주관하니, 과시까지 포함하면 《승정원일기》 전체에서 차지하는 실제 비중도 아주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번 영조대《승정원일기》 표준안에서는 문과와 무과에 따라 주관 승지는 다르지만 실제 기사에서는 같이 나오는 특성을 감안하여 과시 부분을 총류에서 따로 묶어 정리하였다. 이방과 병방이 분장하는 정사 기사 역시 이와 같은 경우이다. 병방과 이방은 인사 관련 업무를 주로 맡고 호방은 재정 관련 업무를 주로 관장하였다면 예방은 각종 행사와 의식, 제례와 공부 등을 주로 맡았다. 예학이 발달하고 궁중의 법도를 중시하던 조선 시대에는 사소한 일이라도 반드시 ..

카테고리 없음 2025.02.08

육방 호방

2) 호방(戶房)[총설]호방 승지는 국가 재정과 관련한 일을 주로 담당하는데《은대조례》에는 勸農綸音, 王牌, 璽書․表裏, 進獻單子 항목이,《은대편고》에는 다른 房에도 공통으로 있는 屬司와 撮要를 제외하면 璽書와 久任各司 항목만이 있어, 工房과 더불어 육방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편이다. 인조 대의 경우 호전과 관련한 기사가 전체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았지만 그 난이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은대편고》에서는 久任各司를 錢穀, 詞訟, 貢物의 세 아문으로 나누어 분류해 놓았는데 참고가 된다. 예를 들어 戶口․貢賦․田粮․食貨 등에 관한 정사를 관장하는 호조는 錢穀衙門에 분류하고 그 하위의 久任各司에 版籍色, 版別色, 前例房, 別例房, 應版色, 料祿色, 雜物色, 銀色, 別營, 別庫, 鑄錢所, 會計司..

카테고리 없음 2025.02.08

육방 분승지

⑭ 분승지(分承旨)[假承旨][해설]경숙(經宿)할 때와 교외로 거둥할 때에는 수궁 가승지(守宮假承旨)를 본원이 차출한다. -경숙하였다가 환궁하기 전에 봉심할 일이 있으면 2원을 품지하여 차출한다.○경숙할 때 제향할 일이 있으면 수궁 승지가 전향(傳香)하고 이어 봉심하고 적간한 뒤에 장문(狀聞)한다.○알성(謁聖)할 때에 명륜당에서 재숙(齋宿)하면 수궁 가승지를 차출한다.○가함(假銜)은 나이에 구애받지 않는다.○예조의 인신(印信) 1과(顆)를 가져다가 본원에 둔다.- 각 전(殿)이 거둥할 때에는 분승지(分承旨)를 이조가 차출한다. -사기(仕記)에 좌차(座次)에 따라 써서 들이고 각 전에 규례대로 숙배한다. 일이 끝난 뒤에 정사를 열기를 기다려 감하(減下)한다.○분주서(分注書)는 당후(堂後)가 차출한다.-[○經..

카테고리 없음 2025.02.08

육방(六房) 1

육방(六房)[총설]승정원은 왕명을 출납하는 기관으로, 그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이․호․예․병․형․공의 육방으로 직무를 분장하고 있는데 각 방을 맡은 승지를 합칭하여 육방 승지라 한다. 승정원의 기능과 관장 업무는 기본적으로 조선 시대 최고의 법전인《경국대전》에 기본 틀이 정해진 이래 끊임없이 보완되어 왔다. 그 결과 조선 법전의 집대성이라 할 만한《대전회통》에는 승정원에 관련된 기본 골격이 대부분 망라되어 있으나 그 내용이 사방에 분산 서술되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비해《육전조례》〈이전 승정원〉에는 업무를 사안별로 정리해 두어 이해하기 편리하다. 승정원의 기능과 하는 일을 가장 효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자료는《은대조례》인데, 이 문헌은 승정원에서 해야 할 일을 육방으로 분류한 다음 다시..

카테고리 없음 2025.02.08

과거 제도

과시(科試)[해설]조선시대의 과거는 관원 선발시험인 文科, 武科, 雜科와 문과를 통과하기 위한 예비시험인 生員進士科, 그리고 문무 관원들에 대한 평가시험인 文武科 重試와 文臣 庭試 등이 있었다. 문무 관원을 선발하는 대표적인 시험이 式年試인데, 子․卯․午․酉年의 前年 가을에 初試를 보이고 當年 초봄에 覆試와 殿試를 보였다.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시행하는 增廣試, 別試, 謁聖試, 春塘臺試 등의 非定期試가 있었다. 生員科는 四書疑와 五經義를 考試하는 經術로, 進士科는 詩, 賦, 表, 策 등의 문장으로 初試와 覆試 2단계 시험을 치러 각각 100명씩 선발하였는데, 생원진사과에 합격하면 成均館에 입학하거나 大科에 응시할 자격을 부여받았다. 文科의 경우, 初試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한 館..

카테고리 없음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