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서발/기서발

경재선생문집서

황성 2009. 4. 6. 18:14

敬齋先生文集序河演,1376(우왕 2)∼1453(단종 1)[柳尋春762(영조 38)∼1834(순조 34)]

國家休明之治 莫盛於英廟朝 實東方一初熙運也 時則有若黃翼成,許文敬諸公後先

우리나라의 아름답고 밝은 다스림은 세종 때보다 훌륭한 적이 없었으니 실로 우리 동방에 처음 있었던  융성한 국운이었다. 이 때 황희, 허공 등이 앞뒤로 등용되어

登庸 贊襄吁咈 躋一世於唐虞之域 而踵武黃閣伯仲皐夔者 卽文孝公敬齋河先生是

군주를 돕고 화합하여 한 세대를 훌륭했던 당요의 지역에 올려놓았으니 황각에 이어 들어가서 고요 기에 버금갈 만한 사람은 바로 문효공 경제 하 선생이 이분이다.

已 先生稟光岳之氣 生忠賢之家 自秀才時 已有爲國家致太平之志 而遭値聖明 歷敭

선생은 광악의 기운을 받아 충현의 집안에서 태어나 서생으로 있던 시절부터 국가를 위해  태평성대를 이룰 뜻을 품고 있었다 훌륭한 군주를 만나 내외에 명성이 드러났

中外 所以職思其居 殫竭誠力 從容密勿於奏對施措之間者 固已非堯舜不陳矣 聖眷

으니 적에 오조지 맞는 것을 생각하여 정성과 힘을 다해 시해할 것을 주대할 때에 조용히 힘쓴 것은 진실로 요순의 도가 아니면 진언하지 않는 것 이었다 성군

彌隆 元老克壯 一堂都兪 群龍厲翼 經綸事業 蔚然爲聖代賢相 其致君澤民之功 豈

의 보살핌이 더욱 높음에 대신이 매우 씩씩하여 조정에서 묻고 답함에 여러 신하가 보좌하여 사업을 경륜하여 융성하게 성군 시대의 어진 재상이 되었으니 훌륭한 군주로

遠讓於古人哉 蓋施於外者 必由諸內 先生蚤登圃老之門 亟蒙道南之詡 其發端啓要

만들고 백성에게 은택을 입힌 공이 어찌 옜 사람보다 못하리오 밖에 시행되는 것은 반드시 마음에서 나오다 선생이 포은의 문하에 일찍 입학하여 자주 도남의  칭찬을

固有在矣 故平生立志 以斥異端扶正道爲己任 圖書左右 問學精深 而一敬字之表出

 받았으니 이는 발단계요가 본디 있는 곳이 있었다 그러므로 평소 입지를 이단배척 정도부지로써 자기임무로 삼았다 도서가 죄우에 쎃여있고 학문이 정심하여 한 경자를

扁齋 可見其所存於中者眞正不差 則由是而孝於事親 由是而忠於事君 由是而發於事

 드러내어 서제에 편액하였으니 마음에 지닌 것이 참되고 발라 어긋나지 않음을 알 수 있겠다 이로 말미암아 사친에 효를 다하고 이로 말미암아 사군에 충성을 다하고 이

業 皆自學問中出來 玆豈非有得於傳所謂合內外之道者也耶 嗚呼 聖人作矣 奎運回

로 말미암아 사업에 드러낸 것이 모두 학문에서 나온 것이니 어찌 전에이른바 내외에 합하라는 것을 얻음이 있는 자가 아니겠는가 아 성인이 나시고 문운이 돌아와 해동

矣 海東千載 斯文將啓 而先生身當其會 存諸心而爲主敬之學 著於文而爲造理之言

에서 천년만에 사문이 열리려 하였는데 선생 자신이 그 때를 만나 마음에 보존하여 경을 주장하는 학문을 하고 문에 드러내어 조리에 맞는 말을 하여 황홀하게 오도를 인

恍然有指引吾道興起方來之意 其視夫先儒所云宋初大臣已能稍稍向學者 淺深又何如

도하고 후학을 흥기시키려는 뜻이 있었으니 선유가 이른바 송초의 대신이 점점 학문에 행할 줄을 알았다 는 것과 비교하면 얕고 깊음이 또 어떠한가

哉 世之論先生者 徒以相業爲重 而不本於所學之正 則亦淺之爲知先生也 噫 安得起

세상에서 선생을 논하는자가 다만 정승의 업적만 중히 여기고 배운 바의 바름에 근본하지 않는다면 선생을 아는 것이 또한 얕은 것이다 아 어떻게 선생을 무덤에서 일으

先生於九原 陶鑄一世 以反諸古道也 今去先生歿 殆四百年矣 詩文散佚 存者無幾

켜 한 세상을 훈도하여 옛 도에 돌아가게 할 수 있겠는가 지금 선생이 돌아가신 것이 거의 사백년이 되었다 시문이 유실되어 남아있는 것이 얼마 없었는데 선생의 후손

先生後孫大成甫極力掇拾爲數卷 俾尋春其訛謬 且書一言 旣不得終辭 因附所感於

대성이 힘을 다해 모아서 몇 권을 만들어 나에게 틀린 부분을 고증하게 하고 한 마디 말을 쓰게 하였다 끝내 사양할 수 없어 부탁을 인하여 마음에 느낀 것을 이와 같이

心者如此 其於先生之德之崇業之廣 烏可謂摹儗萬一云乎哉 上之二十六年端陽節 後

부록니 어찌 선생의 높은 덕과 넓은 업적에 어찌 조금이라도 묘사해냈다고 할 수 있겠는가                            단양절은  5월 5일 굴원에 명라수에 빠져 죽은 날

學豐山柳尋春 謹書


하연 [河演, 1376~1453]1376(우왕 2)∼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신희(新稀). 즙(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윤원(允源)이고, 아버지는 부윤 자종(自宗)이며, 어머니는 정우(鄭寓)의 딸이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이다.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봉상시녹사를 거쳐, 직예문춘추관수찬관(直藝文春秋館修撰官)이 되고, 이어 집의·동부대언 등을 역임하였다. 이 때 태종은 그가 간관(諫官)으로서 의연한 자세로 일을 말하는 것을 보고 손을 잡고 치하했다 한다.세종이 즉위하자 지신사(知申事)가 되어 조심스럽게 처사하여 신임을 받아 예조참판·대사헌을 역임하였다. 1423년(세종 5)에는  대사헌으로서 조계종(曹溪宗) 등 불교 7종파를 선(禪)·교(敎) 양종(兩宗), 36본산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는 국가로 환수하고자 하여 채택받았다.1425년에 경상도관찰사가 되었고 예조참판을 거쳐,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가 한때 천안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 유배에서 풀려 형조·병조의 참판을 거쳐 1431년에 대제학이 되고, 그 뒤 대사헌·형조판서·좌참찬 등 고위관직을 역임하였다.영의정으로 있던 1451년(문종 1)에 문종이 대자암(大慈庵)을 중수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고 치사(致仕)하였다. 의정부에 들어간 지 20여 년 간 문안에 사알(私謁)을 들이지 않았고 법을 잘 지켜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으로 일컬어졌다.1454년에 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숙종 때 진주의 종천서원(宗川書院), 합천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제향되었다. 편서로 ≪경상도지리지 慶尙道地理志≫·≪진양연고 晉陽聯藁≫가 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黃喜--1363(공민왕 12)∼1452(문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초명은 수로(壽老).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석부(石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균비(均庇)이고, 아버지는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資憲大夫判江陵大都護府使) 군서(君瑞)이며, 어머니는 김우(金祐)의 딸이다. 개성 가조리(可助里)에서 출생하였다.1376년(우왕 2) 음보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가 되었다. 1383년 사마시, 1385년 진사시에 각각 합격하였다. 그리고 1389년에는 문과에 급제한 뒤, 1390년(공양왕 2) 성균관학록에 제수되었다.1392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였다. 그러다가 1394년(태조 3) 조정의 요청과 두문동 동료들의 천거로 성균관학관으로 제수되면서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를 겸임하였다. 이후 직예문춘추관·감찰 등을 역임하였다.1398년 문하부우습유(門下府右拾遺) 재직 중 언관으로서 사사로이 국사를 논의했다고 문책되어 경원교수(慶源敎授)로 편출되었다가, 1398년(정종 즉위년) 우습유로 소환되었다. 이듬 해 언사로 파직되었다가 그 해 2월경 문하부우보궐에 복직되었다.그러나 또다시 언사로 파직되었으며, 곧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를 거쳐 형조·예조·이조·병조의 정랑을 역임하였다. 1401년(태종 1)경 지신사(知申事) 박석명(朴錫命)이 태종에게 천거해 도평의사사경력(都評議使司經歷)에 발탁되었다.그 뒤 병조의랑에 체직되었다가 1402년 아버지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러나 그 해 겨울 군기(軍機)를 관장하는 승추부의 인물난으로 기복되어 대호군 겸 승추부경력에 제수되었다. 1404년 우사간대부를 거쳐 승정원좌부대인에 오르고, 이듬 해 박석명의 후임으로 승정원지신사에 발탁되었다.1409년 참지의정부사가 되고,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대사헌 등을 지냈다. 1411년 병조판서, 1413년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이듬 해 질병으로 사직했다가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1415년 이조판서 재직중 송사(訟事) 처리와 관련해 육조에 문책이 내려지면서 파직되었다. 그러나 그 해 행랑도감제조(行廊都監提調)에 복위된 데 이어, 참찬·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416년에는 세자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실행(失行)을 옹호하다가 다시금 파직되었다.그 뒤 조정으로 복귀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그리고 평안도도순문사 겸 평양윤,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1418년 세자 폐출의 불가함을 극간하다가 태종의 진노를 사서 교하(交河)로 유배되고, 곧 남원부에 이치(移置)되었다.세종의 치세가 시작되고 아울러 상왕(上王 : 태종)의 노여움이 풀리면서, 1422년(세종 4) 남원으로 소환, 직첩과 과전을 환급받고 참찬으로 복직되었다. 1423년 예조판서에 이어 기근이 만연된 강원도에 관찰사로 파견되어 구휼하였다.그리고 판우군도총제(判右軍都摠制)에 제수되면서 강원도관찰사를 계속 겸대하였다. 1424년 찬성, 이듬해에는 대사헌을 겸대하였다. 또한 1426년에는 이조판서와 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발탁되면서 판병조사를 겸대하였다.1427년 좌의정 겸 판이조사가 되었고, 그 해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 뒤 기복되어 다시 좌의정이 되었다. 이어 평안도도체찰사로 파견되어 약산성기(藥山城基)를 답사하였다. 이 때 약산이 요충지라 해서 영변대도호부를 설치한 뒤 평안도도절제사의 본영으로 삼게 하였다.1430년 좌의정으로서, 감목(監牧)을 잘못해 국마(國馬) 1,000여 필을 죽인 일로 해서 사헌부에 구금된 태석균(太石鈞)의 일에 개입해 선처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일국의 대신이 치죄에 개입함은 부당할 뿐더러, 사헌부에 개입하는 관례를 남기게 되므로 엄히 다스려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그래서 한때 파주 반구정(伴鷗亭)에 은거하였다. 1431년 다시 복직되어 영의정부사에 오른 뒤 1449년 치사(致仕 :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나는 것)하기까지 18년 동안 국정을 통리(統理)하였다. 그리고 치사한 뒤에도 중대사의 경우 세종의 자문에 응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였다.성품이 너그럽고 어질며 침착하였다. 그리고 사리가 깊고 청렴하며, 충효가 지극하였다. 학문에 힘써 높은 학덕을 쌓았으므로 태종으로부터 “공신은 아니지만 나는 공신으로서 대우했고, 하루라도 접견하지 못하면 반드시 불러서 접견했으며, 하루라도 좌우를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할 정도로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그는 농사개량에 유의해 곡식 종자를 배급하고, 각 도에 명령해 뽕나무를 많이 심어 의생활을 풍족하게 하였다. 또한 ≪경제육전 經濟六典≫을 펴내면서, 종래 원집(元集)과 속집(續集)으로 나뉘어 내용이 중복되고 누락되거나 내용과 현실이 괴리되는 것을 수정, 보완하였다.한편, 국방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 북방 야인과 남방 왜에 대한 방비책을 강구하였다. 그리고 예법을 널리 바르게 잡는 데에 노력해, 원나라의 영향이 지대한 고려의 예법을 명나라의 예법과 조선의 현실을 참작해 개정, 보완하였다.또한, 인권에 유의해 천첩(賤妾) 소생의 천역(賤役)을 면제하는 등 태종대의 국가기반을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다. 세종대에는 의정부의 최고관직인 영의정부사로서 영집현전경연예문관춘추관서운관사 세자사 상정소도제조(領集賢殿經筵藝文館春秋館書雲觀事世子師詳定所都提調) 등을 겸대하였다.그리고 중앙과 지방의 백성들의 마음을 진정(鎭定)시키면서, 4군6진의 개척,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였다. 특히, 세종 말기에 세종의 숭불과 연관해 궁중 안에 설치된 내불당(內佛堂)을 두고 일어난 세종과 유학자 중신 간의 마찰을 중화시키는 데 힘썼다.이처럼 그는 왕을 보좌해 세종성세를 이룩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로써 조선왕조를 통해 가장 명망 있는 재상으로 칭송되었다. 1452년(문종 2)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1455년(세조 1) 아들 수신(守身)이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면서 순충보조공신 남원부원군(純忠補祚功臣南原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상주의 옥동서원(玉洞書院)과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고, 파주의 반구정에 영정이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방촌집≫이 있으며, 시호는 익성(翼成)이다



유심춘 [柳尋春]: 1762(영조 38)∼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상원(象遠), 호는 강고(江皐). 유성룡(柳成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광수(光洙)이다. 큰아버지 발(潑)에게 입양되었다.1786년(정조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익찬(世子翊衛司翊贊)을 거쳐 익위(翊衛)가 되었다. 1800년(정조 24) 경연을 열어야 된다고 상소하였다.1830년(순조 30) 왕의 하교로 3대가 과거에 급제한 것을 치하하고 돈녕부(敦寧府)의 도정에 임명하였고, 1854년(철종 4) 아들 후조(厚祚)가 급제하였으므로 다시 통정대부에 올랐다. 평소에 ≪주자대전 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도 능하였다


「休明】1.美好淸明. 《左傳·宣公三年》:“楚子問鼎之大小輕重焉. 對曰:‘在德不在鼎……德之休明, 雖小, 重也;其姦回昏亂, 雖大, 輕也.’” 唐李白《豫章行》:“本爲休明人, 斬虜素不閑.”2.用以贊美明君或盛世. 《文選·謝朓<始出尙書省>》詩:“惟昔逢休明, 十載朝雲陛.” 李善注:“休明, 謂齊武皇帝也.” 唐孟浩然《送袁太祝尉豫章》詩:“何幸遇休明, 觀光來上京.” 元黃溍《上京道中雜詩·楡林》:“斯人亦何幸, 生時屬休明.” 明楊愼《送許稚仁得玉字》詩:“邇載逢休明, 沍寒回氳熇.”《淸史稿·選擧志一》:“是時天子右文, 群臣躬遇休明, 翊贊文化, 彬彬稱極盛矣.”


「一初】開始;起初. 唐韓愈《符讀書城南》詩:“詩書勤乃有, 不勤腹空虛;欲知學之力, 賢愚同一初.” 宋吳泳《送鮮於漕》詩:“持此踰二年, 相眎如一初.”《儒林外史》第二三回:“記得我一初到他那裏時候, 才送了帖子進去, 他就連忙叫兩個差人出來請我的轎.”


「熙運】興隆的國運. 宋陸遊《賀皇太后箋》:“臣等幸逢熙運, 獲綴淸班.”《宋史·樂志九》:“帝撫熙運, 晏粲協期.”


許珙1233(고종 20)∼1291(충렬왕 17).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공암(孔巖 : 지금의 서울 양천구). 초명은 의(儀), 자는 온궤(饂匱).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지낸 수(遂)의 아들이다.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으며, 1258년(고종 45)에 평장사(平章事) 최자(崔滋)의 문하에서 병과로 급제, 승선(承宣) 유경(柳敬)의 추천으로 최령(崔寧)·원공식(元公植)과 함께 내시(內侍)로 추천되어 정사점필원(政事點筆員)이 되자, 당시 사람들은 이들을 정방3걸(政房三傑)이라 불렀다.이후 국학박사(國學博士)에 보임되었고 원종 초에는 각문지후(閣門祗候)에 제수되었으며, 1267년(원종 8) 호부시랑(戶部侍郎)으로서 신종·희종·강종의 실록(實錄)을 편찬하는 데 참여했고, 1269년 우부승선 이부시랑 지어사대사(右副承宣吏部侍郎知御史臺事)로 진출하였다.이 때 권신 임연(林衍)이 정권을 잡고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그의 아들 유무(惟茂)를 딸과 혼인시키려 하는 것을 거절해 그의 미움을 샀다. 그 해 임연이 왕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옹립하였는데 이 때 많은 조신(朝臣)들이 살해되었으나, 마침 처의 장례로 양천(陽川)에 가 있어서 화를 면하였다.그 뒤 첨서추밀원사(詹書樞密院事)를 거쳐 1275년(충렬왕 1) 감찰제헌(監察提憲)에 제수되었다. 1279년(충렬왕 5)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로 있을 때 원나라가 일본 정벌을 위해 전함의 건조를 명하자 경상도 도지휘사가 되어 이를 담당하였다.당시 전라도 도지휘사 홍자번(洪子藩)이 일을 반도 마치지 못했을 때 이미 마치고 돌아와 그의 유능함에 크게 탄복하였다. 1281년(충렬왕 7)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밀직사사(密直司使)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이익방(李益邦) 등 33인의 진사를 취하였다.이어 세자조호(世子調護)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제수받았다. 이듬해 참문학세자보(參文學世子保)가 되었고, 1284년(충렬왕 10) 수국사(修國史)가 되어 원부(元傅)·한강(韓康) 등과 더불어 ≪고금록 古今錄≫을 편찬했으며, 이어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임명되었다.1290년(충렬왕 16) 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합단(哈丹 : 원의 반란군)이 침입했는데, 이 때 홍자번과 함께 서울을 수비하였다. 이후 적(賊)이 이미 가까이 들어왔다는 유언비어가 돌아 민심이 흉흉했고 조신들도 모두 강화로 피난할 것을 주장하였다.하지만 홀로 “어찌 유언비어를 믿고 마음대로 국도(國都)를 옮기리오!” 하며 반대하였다. 이듬해 원나라가 이를 토벌하려고 군사를 보내왔을 때 군사를 이끌고 이에 참여하였다. 1310년(충선왕 복위 2) 충렬왕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一初】開始;起初. 唐韓愈《符讀書城南》詩:“詩書勤乃有, 不勤腹空虛;欲知學之力, 賢愚同一初.” 宋吳泳《送鮮於漕》詩:“持此踰二年, 相眎如一初.”《儒林外史》第二三回:“記得我一初到他那裏時候, 才送了帖子進去, 他就連忙叫兩個差人出來請我的轎.”


「休明】1.美好淸明. 《左傳·宣公三年》:“楚子問鼎之大小輕重焉. 對曰:‘在德不在鼎……德之休明, 雖小, 重也;其姦回昏亂, 雖大, 輕也.’” 唐李白《豫章行》:“本爲休明人, 斬虜素不閑.”2.用以贊美明君或盛世. 《文選·謝朓<始出尙書省>》詩:“惟昔逢休明, 十載朝雲陛.” 李善注:“休明, 謂齊武皇帝也.” 唐孟浩然《送袁太祝尉豫章》詩:“何幸遇休明, 觀光來上京.” 元黃溍《上京道中雜詩·楡林》:“斯人亦何幸, 生時屬休明.” 明楊愼《送許稚仁得玉字》詩:“邇載逢休明, 沍寒回氳熇.”《淸史稿·選擧志一》:“是時天子右文, 群臣躬遇休明, 翊贊文化, 彬彬稱極盛矣.”


「熙運】興隆的國運. 宋陸遊《賀皇太后箋》:“臣等幸逢熙運, 獲綴淸班.”《宋史·樂志九》:“帝撫熙運, 晏粲協期.”


「後先】先后. 《楚辭·招魂》:“與王趨夢兮課後先.” 宋文天祥《指南錄後序》:“舟與哨相後先, 幾邂逅死.” 魯迅《集外集拾遺補編·<越鐸>出世辭》:“海嶽精液, 善生俊異, 後先絡驛, 展其殊才.”


「贊襄】輔助, 協助. 語本《書·皋陶謨》:“臯陶曰:‘予未有知, 思曰贊贊襄哉.’” 唐柳宗元《禮部賀皇太子冊禮畢德音表》:“嚴贊襄之禮, 賜與有加.”《二刻拍案驚奇》卷十二:“相從之事, 出於本人情願, 非小弟所可贊襄.” 孫中山《建國方略·<行易知難>自序》:“卒賴全國人心之傾向, 仁人志士之贊襄, 乃得推覆專制, 創建共和.”


「吁咈】1.語本《書·堯典》:“帝曰:‘咨! 四嶽, 湯湯洪水方割, 蕩蕩懷山襄陵, 浩浩滔天. 下民其咨, 有能俾乂?’僉曰:‘於! 鯀哉.’帝曰:‘吁! 咈哉, 方命圮族.’嶽曰:‘異哉, 試可乃已.’帝曰:‘往! 欽哉.’九載, 績用弗成.” 孔傳:“凡言吁者, 皆非帝意.” 蔡沈集傳:“咈者, 甚不然之之辭.” 后以“吁咈”表示不以爲然之意. 唐李商隱《井泥四十韻》:“禹竟代舜立, 其父吁咈哉.”2.謂君臣和洽. 淸黃宗羲《子劉子行狀》上:“得一陳子壯之忠, 而又以過戇坐辜, 使朝宁無吁咈之風.” 參見“吁咈都兪”.


「踵武】跟著別人的脚步走. 比喩繼承前人的事業. 《楚辭·離騷》:“忽奔走以先後兮, 及前王之踵武.” 王逸注:“踵, 繼也. 武, 跡也.” 唐劉知幾《史通·鑑識》:“逮《史》、《漢》繼作, 踵武相承.” 楊樹達《<積微居金文說>自序》:“近代學人雖復力求踵武, 亦步亦趨, 然謹嚴審核, 未能逮也.”


「黃閣】亦作“黃閤”. 1.漢代丞相、太尉和漢以后的三公官署避用朱門, 廳門塗黃色, 以區別於天子. 漢衛宏《漢舊儀》卷上:“<丞相>聽事閣曰黃閣.”《宋書·禮志二》:“三公黃閤, 前史無其義……三公之與天子, 禮秩相亞, 故黃其閤, 以示謙不敢斥天子, 蓋是漢來制也.” 后因以黃閣指宰相官署. 唐韓翃《奉送王相公赴幽州巡邊》詩:“黃閣開帷幄, 丹墀侍冕旒.” 元耶律楚材《爲子鑄作詩三十韻》:“我祖建四節, 功烈光黃閤.”2.唐時門下省亦稱黃閣. 唐杜甫《奉贈嚴八閣老》詩:“扈聖登黃閣, 明公獨妙年.” 宋王應麟《困學紀聞·評詩》:“舊史《嚴武傳》遷給事中, 時年三十二. 給事中屬門下省, 開元曰黃門省, 故云‘黃閤’.”3.借指宰相. 唐錢起《送張員外出牧嶽州》詩:“自憐黃閣知音在, 不厭彤幨出守頻.” 宋司馬光《和始平公郡齋偶書》:“赤松雅意思輕擧, 黃閣群心望復還.” 明張四維《雙烈記·辨冤》:“說甚麽黃閣經綸肅萬方.” 淸阮葵生《茶餘客話》補遺:“陳桂林文恭宏謀, 黃閣雍容.”


[주D-001]광악(光岳) : 삼광(三光 일(日)ㆍ월(月)ㆍ성신(星辰))과 오악(五嶽 중국의 다섯 영산(靈山)으로 태산(泰山)ㆍ화산(華山)ㆍ형산(衡山)ㆍ항산(恒山)ㆍ숭산(崇山))을 이른다.


「秀才】1.優異之才. 《管子·小匡》:“農之子常爲農, 樸野不慝, 其秀才之能爲士者, 則足賴也.” 尹知章注:“農人之子, 有秀異之材可爲士者, 即所謂生而知之, 不習而成者也.”《史記·屈原賈生列傳》:“吳廷尉爲河南守, 聞其秀才, 召置門下, 甚幸愛.” 漢荀悅《漢紀·武帝紀一》:“其秀才異等, 太常以名聞;其下才不事學者, 罷之.”2.漢時開始與孝廉幷爲擧士的科名, 東漢時避光武帝諱改稱“茂才”. 唐初曾與明經、進士幷設爲擧士科目, 旋停廢. 后唐宋間凡應擧者皆稱秀才, 明淸則稱入府州縣學生員爲秀才. 《後漢書·左雄周擧等傳論》:“漢初詔擧賢良、方正, 州郡察孝廉、秀才, 斯亦貢士之方也.” 晉葛洪《抱朴子·審擧》:“時人語曰:‘擧秀才, 不知書;察孝廉, 父別居.’”3.元明以來用以稱書生、讀書人. 元喬吉《新水令·閨麗》曲:“我是箇爲客秀才家, 你是箇未嫁女嬌娃.”



{{N:無已大{{C:(太)}}{{L:[音泰]}}康가 職思其居{{L:[★音據]}}하여}}

 그러나 너무 편안하지 않겠는가 직분에 맡은 것을 생각하여


「密勿】1.勤勉努力. 《詩·小雅·十月之交》:“黽勉從事, 不敢告勞.” 王先謙《詩三家義集疏》謂“魯‘黽勉’作‘密勿’.”《漢書·劉向傳》:“君子獨處守正, 不撓衆枉, 勉彊以從王事……故其詩曰:‘密勿從事, 不敢告勞.’”顏師古注:“密勿, 猶黽勉從事也.” 南朝梁沈約《劉領軍封侯詔》:“內參嘉謨, 外宣戎略, 密勿劬勞, 誠力備盡.” 宋曾鞏《祭歐陽少師文》:“櫝斂兵革, 天淸地謐, 日進昌言, 從容密勿, 開建國本, 情忠力悉.” 淸顧炎武《乾陵》詩:“彌縫由密勿, 迴斡賴元功.”2.機要;機密. 《三國志·魏志·杜恕傳》:“與聞政事密勿大臣, 寧有懇懇憂此者乎?” 唐李德裕《謝賜讓官批答狀》:“承訏兪之命, 或慮闕遺;奉密勿之機, 實憂不逮.” 明黃瑜《文淵閣銘》:“永樂初, 命侍讀解縉等七人, 入掌密勿.”《詩刊》1977年第3期:“忘身參密勿, 忠黨樹儀刑.”3.指機要之職. 宋王禹偁《懷賢詩·王樞密》:“文學中甲科, 風雲參霸府. 直躬在密勿, 未始畏强禦.”


「殫竭】罄盡;窮盡. 《後漢書·方術傳上·折像》:“君三男兩女, 孫息盈前, 當增益産業, 何爲坐自殫竭乎?” 宋范仲淹《奏陝西河北攻守等策》:“然陝西久屯大兵, 供費殫竭.”《明史·董基傳》:“且自內操以來, 賞賚已二萬金. 長此不已, 安有殫竭, 有用之材, 靡之無用之地, 誠可惜也.”


「誠力】忠心和能力. 《宋書·孝義傳·張進之》:“進之爲太守王味之吏, 味之有罪當見收, 逃避投進之家, 供奉經時, 盡其誠力.”《南史·褚裕之傳》:“<裕之>從征鮮卑, 盡其誠力.”


「從容】1.擧動. 《禮記·緇衣》:“長民者衣服不貳, 從容有常.” 孔穎達疏:“從容有常者, 從容, 謂擧動有其常度.”《楚辭·九章·懷沙》:“重華不可遌兮, 孰知余之從容!” 王逸注:“從容, 擧動也.”《文選·枚乘<七發>》:“衆芳芬鬱, 亂於五風, 從容猗靡, 消息陽陰.” 呂延濟注:“從容, 猶擧動也.”參閱淸王念孫《廣雅疏證》卷六上. 2.悠閑舒緩, 不慌不忙. 《書·君陳》:“寬而有制, 從容以和.”《莊子·秋水》:“儵魚出遊從容, 是魚之樂也.” 漢司馬相如《長門賦》:“下蘭臺而周覽兮, 步從容於深宮.” 北魏楊衒之《洛陽伽藍記·追光寺》:“略從容閑雅, 本自天資.” 宋歐陽修《歸田錄》卷二:“其弟伺間, 從容言之.” 元黃溍《日損齋筆記·文獻黃公神道碑》:“俯仰從容, 不大聲色.” 楊朔《中國人民的心》:“他的神情很從容, 象是睡覺.”3.以形容聲響, 謂渾厚而舒緩. 淸魏源《默觚上·學篇十》:“鍾磬之器愈厚者, 則聲愈從容;薄者反是.”4.盤桓逗留. 《楚辭·九章·悲回風》:“寤從容以周流兮, 聊逍遙以自恃.” 唐白行簡《三夢記》:“夜已久, 恐不得從容, 即當睽索.” 元孫叔順《粉蝶兒》套曲:“停立在曲檻邊, 從容在芳徑裏.” 淸惲敬《舟經丹霞山記》:“舟人放溜恐觸壁, 以縴逆挽其舟, 逶迤投壁下, 故得從容其境.”5.斡旋;周旋. 《漢書·酈食其陸賈等傳贊》:“陸賈位止大夫, 致仕諸呂, 不受憂責, 從容平勃之間, 附會將相以彊社稷, 身名俱榮, 其最優乎!” 宋王讜《唐語林·補遺三》:“<宣宗>每上殿與學士從容, 未嘗不論儒學.” 宋曾鞏《金山寺水陸堂記》:“蓋新(瑞新)者, 余嘗與之從容. 彼其材且辨, 有以動人者, 故成此不難也.”《宋史·辛仲甫傳》:“時呂蒙正以長厚居相位, 王沔任事, 仲甫從容其間而已.”6.寬緩. 北魏賈思勰《齊民要術·造神麴幷酒等》:“若急須者, 麴乾則得. 從容者, 經二十日許, 受霜露, 彌令酒香.”《二刻拍案驚奇》卷四:“只是妻弟已將此一項用去了, 須老夫賠償. 且從容兩日, 必當處補.” 魯迅《兩地書·致許廣平十五》:“還是‘人之患’較爲從容, 即使有時逼上午門, 也不過費兩三個鍾頭而已.”7.謂經濟寬裕. 《二刻拍案驚奇》卷二三:“是居鎮江呂城, 以耕種爲業. 家道從容.”《紅樓夢》第六十回:“我添了月錢, 家裏又從容些.”8.謂順利, 順手. 《二刻拍案驚奇》卷十五:“江老雖不怎的富, 別人看見他生意從容, 衣食不缺, 便傳說了千金、幾百金家事.”9.指中藥肉蓯蓉. 唐張賁《藥名聯句》:“從容犀局靜, 斷續玉琴哀.” 明李時珍《本草綱目·草一·肉蓯蓉》<釋名>:“此物補而不峻, 故有從容之號. 從容, 和緩之貌.”


「奏對】1.臣屬當面回答皇帝提出的問題. 唐鄭棨《開天傳信記》:“安西衙將劉文樹, 口辯, 善奏對, 上每嘉之.”《宋史·哲宗紀一》:“<元祐五年四月>癸丑, 詔講讀官御經筵, 退留二員奏對邇英閣.”《兒女英雄傳》第三八回:“<聖人>問了問他的家世學業, 又見他奏對稱旨, 天顔大悅.”2.文體名, “奏疏”與“對策”的幷稱. 姚華《論文後編·目錄上》:“蓋典生紀傳, 謨開集議;貢附典而肇記志, 範媵謨以啓奏對.”


「施措】采取措施. 明王廷相《策問》:“夫今學校之士, 皆修經術而明道德者, 其平居何以致力? 臨政何以施措? 必有一定之學以竊附於古人, 不徒曰擧業文詞而已也.” 淸魏源《<皇朝經世文編>敘》:“亹亹乎經曲, 淼淼乎精微, 則遵襲循守與創制同, 諏詢謀議與施措同.” 李大釗《民彛與政治》:“凡所施措, 莫不戾乎吾民好惡之常, 而迫之以黨於其惡.”시조(施措 시행하고 조처하는 일)


元老克壯 : 소아(小雅) 채기장(采芑章)에 이르기를, ‘방숙이 매우 늙었지만 그 계획은 장대하다.[方叔元老 克壯其猷]’라고 하였다


一堂都兪 : 군신이 한 당에서 문답하다


「群龍】1.喩賢臣. 《易·乾》:“見群龍, 無首, 吉.”《後漢書·郞顗傳》:“唐堯在上, 群龍爲用;文武創德, 周召作輔.” 李賢注:“群龍, 喩賢臣也.” 唐王維《送友人歸山歌》:“群龍兮滿朝, 君何爲兮空谷.” 參見“群龍無首”. 2.喩群聖. 《文選·班固<幽通賦>》:“登孔昊而上下兮, 緯群龍之所經.” 李善注引應劭曰:“群龍, 喩群聖也. 自伏羲下訖孔子.”


「元老】1.天子的老臣. 《詩·小雅·采芑》:“方叔元老, 克壯其猶.” 毛傳:“元, 大也. 五官之長, 出於諸侯, 曰天子之老.” 后稱年輩、資望皆高的大臣或政界人物. 《後漢書·章帝紀》:“行太尉事節鄕侯熹三世在位, 爲國元老.” 宋曾鞏《與杜相公書》:“閣下以舊相之重, 元老之尊, 而猥自抑損, 加禮於草茆之中, 孤煢之際.” 康有爲《大同書》緒言:“於萬國之元老、碩儒、名士、美人, 亦多執手、接茵、聯袂、分羹而致其親愛矣.”2.比喩各行各業中資深望重的人. 有時帶調侃意味. 王蒙《悠悠寸草心》:“我不但是理發的老師傅, 而且是整個招待所唯一從四九年起三十年一貫制地呆下來的‘元老’了.”3.唐時宰相相呼爲元老. 唐李肇《唐國史補》卷下:“宰相相呼爲元老, 或曰堂老.”


「致君】謂輔佐國君, 使其成爲聖明之主. 《墨子·親士》:“良才難令, 然可以致君見尊.” 唐杜甫《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致君堯舜上, 再使風俗淳.” 宋嶽珂《桯史·王荊公》:“荊公自以爲遭遇不世出之主, 展盡底藴, 欲成致君之業.”


「問學】1.求知;求學. 《禮記·中庸》:“故君子尊德性而道問學, 致廣大而盡精微.” 鄭玄注:“問學, 學誠者也.” 唐蘇鶚《蘇氏演義》卷上:“《學記》云:‘善待問者如撞鐘, 叩之小者則小鳴, 叩之大者則大鳴, 待其從容然後盡其聲.’謂善問學者, 必待盡其詞理委曲之意.” 明宋濂《故紹慶路儒學正柳府君墓志銘》:“府君爲兒時, 重遲不戲, 潛心於問學, 及壯, 益孳孳自治.”2.猶學問. 宋羅大經《鶴林玉露》卷十六:“試將此酒反觀我, 胸中問學當日新.” 明胡應麟《少室山房筆叢·藝林學山五》:“用修自以工考訂饒問學, 而仲弘、天挺, 屢以無辜遭劇詆, 不亦寃哉.” 吳佐淸《中國仿行西法紡紗織布應如何籌辦俾國家商民均獲利益論》:“鯫生問學素陋, 聞見不多, 拉雜成篇, 不知有當於萬一否.”


진정 [眞正] : [부사]거짓이 없이 참으로. ≒진성(眞成)·진정히.


「出來】1.從里面到外面來. 《百喩經·爲婦貿鼻喩》:“昔有一人……截他婦鼻, 持來歸家, 急喚其婦:‘汝速出來, 與汝好鼻.’其婦出來, 即割其鼻, 尋以他鼻著婦面上.” 唐白居易《琵琶行》:“千呼萬喚始出來, 猶抱琵琶半遮面.”《兒女英雄傳》第四回:“安公子見那女子進了屋子, 便走向前去把那門上的布簾兒掛起, 自己倒閃在一旁, 想著好讓他出來.”冰心《寄小讀者》十一:“正在凝神, 看護婦已出來將我的床從廊上慢慢推到屋里.”2.出現;產生. 宋文天祥《二王》詩序:“北朝若待皇帝好, 則二王爲人臣;若待皇帝不是, 即便別有皇帝出來.”《二刻拍案驚奇》卷十一:“天下的事, 再經有心人冷眼看不起的. 起初滿生在家, 大郞無日不與他同飲同坐, 毫無說話. 比及大郞疑心了, 便覺滿生飲酒之間, 沒心沒想, 言語參差, 好些破綻出來.”3.猶言出面;露面. 明李贄《㚆周柳塘書》:“若特地出來, 要扶綱常, 立人極, 繼往古, 開群蒙, 有如許擔荷, 則一言之失, 乃四海之所觀聽;一行之謬, 乃後生小子之所效尤, 豈易放過乎?” 吳組緗《山洪》二五:“水路用船, 壽官建議這路可以請保長章延福出來, 因爲他擁有很多的貨船, 號召力也大.”4.多數;一般. 元高安道《哨遍·嗓淡行院》套曲:“尋故友, 出來的衣冠濟楚, 像兒端嚴, 一箇箇特淸秀.” 元無名氏《藍采和》第四折:“出來的偌大小年紀, 這個道七十, 那個道八十, 婆婆道九十.”5.用在動詞后, 表示人或物隨動作由里向外. 《二刻拍案驚奇》卷十七:“小姐就把景家女子所和之詩, 拿出來與子中看.”《儒林外史》第十六回:“一家人一齊跑出來說道:‘不好了! 快些搬!’” 丁玲《奔》:“車上也有被推出來的人, 都攔在那一個小門口.”6.用在動詞后, 表示人或物由隱蔽到顯露. 《兒女英雄傳》第十二回:“太太定睛一看, 才看出是公子來, 及至看出來, 倒唬了一跳.” 丁玲《自殺日記》:“她把別人的說謊處, 假情處, 淺薄的可憐處, 都裸露的看了出來.”老舍《四世同堂》五二:“老人的眼睛也幷不完全視而不見的睜著, 他看出來瑞豊的行動是怎樣的越來越下賤.”7.用在動詞后, 表示動作完成或實現. 《朱子語類》卷七一:“一陽之復, 乃是純陰養得出來.”《兒女英雄傳》第一回:“太太便將安老爺下場的考籃, 號簾, 裝喫食的口袋, 盒子, 衣帽等物打點出來.”《二十年目睹之怪現狀》第二回:“《新小說》社記者接到了死裏逃生的手書和九死一生的筆記, 展開看了一遍, 不忍埋沒了他, 就將他逐期刊布出來.” 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這方法也虧那表哥想得出來.”8.表示動作使人或物在某一方面獲得某種好的能力或性能. 如:我這兩條腿走出來了. 如:他的嗓子練出來了.


{{N:誠者는 非自成己而已也라 所以成物也니 成己는 仁也요 成物은 知{{C:(智)}}也니 性之德也라 合內外之道也니 故로 時措之宜也니라}}

{{Y:  성(誠)은 스스로 자기만을 이룰 뿐이 아니요. 남을 이루어 주니, 자기를 이룸은 인(仁)이요, 남을 이루어 줌은 지(智)이다. 이는 성(性)의 덕(德)이니, 내외(內外)를 합한 도(道)이다. 그러므로 때로 둠에 마땅한 것이다.}}

“그것은 안과 밖에 모두 적용되는 도이기 때문에, 어느 때에 쓰든 간에 모두 온당하게 될 것이다.〔合內外之道也 故時措之宜也〕”라고 하였다.


奎運 : 규성(奎星)은 문운(文運)을 관장하는 별이다. 주돈이가 〈태극도설〉을 지어 가장 먼저 성리학을 제창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造理】合於事理. 元劉壎《隱居通議·詩歌五》:“此詩若繩以唐人律體, 大槪疏直欠工, 然鴻泥之諭, 眞是造理, 前人所未到也.”


「恍然】1.猶忽然. 三國魏阮籍《達莊論》:“恍然而止, 忽然而休.”2.猛然領悟貌. 宋朱熹《<中庸章句>序》:“一旦恍然, 似有以得其要領者.” 淸戴名世《<汪武曹稿>序》:“天下之從事於擧業者, 乃恍然悔悟嚮者之非, 而思改其所爲.” 魯迅《彷徨·肥皂》:“‘哦! 今天十六?’四銘恍然的說.”3.模糊不淸;茫然. 南朝齊王琰《冥祥記》:“達既昇之, 意識恍然, 不復見家人屋及所乘轝.” 宋陳師道《次韻寄答晁無咎》:“往事不回如過雨, 醉夢恍然忘惡語.” 明邵璨《香囊記·趕散》:“心酸痛, 念我姑, 神魂茫然失擧措.”4.仿佛. 宋韓駒《題畫太一眞人》詩:“恍然坐我水仙府, 蒼煙萬頃波粼粼.” 明歸有光《詹仰之墓志銘》:“予與之談秀甫之爲人, 恍然如生, 相與爲淚下.” 明方孝孺《書<黃鶴樓卷>後》:“展卷而臥閱之, 恍然如乘扁舟出入洞庭彭蠡之上.”


「方來】1.將來. 漢袁康《越絕書·外傳記吳王占夢》:“<王孫聖>博學彊識, 通於方來之事, 可占大王夢.”《後漢書·皇后紀序》:“向使因設外戚之禁, 編著《甲令》, 改正后妃之制, 貽厥方來, 豈不休哉!” 宋文天祥《酹江月·又驛中言別友人》詞:“江流如此, 方來還有英傑.”2.近來. 唐韋應物《城中臥疾知閻薛二子從邑令飲因以贈之》詩:“車馬日蕭蕭, 故不枉我廬;方來從令飲, 臥病獨如何.”


「稍稍】1.漸次;逐漸. 《戰國策·趙策二》:“秦之攻韓魏也, 則不然. 無有名山大川之限, 稍稍蠶食之, 傅之國都而止矣.”《漢書·韓王信傳》:“居七日, 胡騎稍稍引去. 天霧, 漢使人往來, 胡不覺.” 唐韓愈孟郊《遠遊聯句》:“外患蕭蕭去, 中悒稍稍瘳.” 朱自淸《執政府大屠殺記》:“這其間, 人衆稍稍聚攏, 但立刻即又散開.”2.稍微. 唐杜甫《贈王二十四侍御契四十韻》:“區區甘累趼, 稍稍息勞筋.” 明何景明《鄕射禮直節》:“乃使學官草具其儀, 予稍稍爲說, 其文辭義意, 略去.”3.細微;微微. 唐杜甫《秋笛》詩:“不見秋雲動, 悲風稍稍飛.” 唐杜甫《送嚴侍郞到綿州同登杜使君江樓宴》詩:“稍稍煙集渚, 微微風動襟.”4.些許;必許. 宋蘇軾《雜興答鮮於子駿》詩:“平生嗜羊炙, 識味肯輕飽. 烹蛇啖蛙蛤, 頗訝能稍稍.” 宋羅大經《鶴林玉露》卷一:“嶺南人以檳榔代茶, 且謂可以禦瘴. 余始至, 不能食, 久之亦能稍稍, 居歲餘, 則不可一日無此君矣.”《西遊補》第九回:“<秦檜道:>撞著稍稍心姓趙的, 却把濃墨塗圈, 圈大罪大, 圈小罪小, 或滅滿門, 或罪妻孥, 或夷三黨, 或誅九族, 憑著秦檜方寸兒.”5.多, 紛紛. 唐薛能《聖燈》詩:“莽莽空中稍稍燈, 坐看迷濁變淸澄.”《資治通鑑·唐懿宗咸通十年》:“於是守城者稍稍棄甲投兵而下.”6.全;都. 唐張九齡《上封事》:“而今刺史、縣令, 除京輔近處, 雄望之州, 刺史尤擇其人, 縣令或備員而已. 其餘江、淮、隴、蜀、三河諸處, 除大府之外, 稍稍非才.”《新唐書·文藝傳下·李益》:“同輩行稍稍進顯, 益獨不調, 鬱鬱去.”7.隨即, 已而. 《史記·魏其武安侯列傳》:“<灌夫>坐乃起更衣, 稍稍去.” 唐王昌齡《初日》詩:“斜光入羅幕, 稍稍親絲管.”8.剛剛;才. 漢荀悅《漢紀·武帝紀二》:“座稍稍罷出, 蚡令騎留夫, 或按夫頭令謝.” 宋蘇軾《杭州上執政書》之一:“去年浙中, 冬雷發洪, 太湖水溢, 春又積雨……民就高田秧稻, 以待水退, 及五六月, 稍稍分種, 十不及四五.”9.不過;僅僅. 明袁宗道《敘守考績序》:“今繇張富順厚裕所言觀之, 大夫豈稍稍著文學之用如文翁長卿也歟?”10.已經, 業經. 明何景明《平埧城南村》詩之一:“兒童候晨光, 稍稍荊扉啓.”11.偶然, 偶爾. 宋王安石《送子思兄參惠州軍》詩:“先朝有名臣, 臥理訟隨息. 稍稍延諸生, 談笑預賓客.”


「九原】1.九州大地. 《國語·周語下》:“汨越九原, 宅居九隩.” 南朝宋鮑照《松柏篇》:“永離九原親, 長與三辰隔.” 淸孔尙任《桃花扇·沈江》:“跨上白騾韉, 空江野路, 哭聲動九原.”2.春秋時晉國卿大夫的墓地. 《禮記·檀弓下》:“趙文子與叔譽觀乎九原.” 漢劉向《新序·雜事四》:“晉平公過九原而嘆曰:‘嗟乎! 此地之藴吾良臣多矣, 若使死者起也, 吾將誰與歸乎?’”3.泛指墓地. 唐皎然《短歌行》:“蕭蕭煙雨九原上, 白楊靑松葬者誰?” 前蜀韋莊《感懷》詩:“四海故人盡, 九原新塚多.” 金史肅《偶讀賈達之邀飯帖有感作詩哭之》:“一幅銘旌送哀挽, 白楊蕭索九原風.”4.九泉, 黃泉. 《舊唐書·李嗣業傳》:“忠誠未遂, 空恨於九原.” 宋蘇軾《亡妻王氏墓志銘》:“君得從先大人於九原, 余不能, 嗚呼哀哉!” 金元好問《贈答劉御史云卿》詩之三:“九原如可作, 吾欲起韓歐.” 淸龔自珍《乙酉除夕夢返故廬見先母及潘氏姑母》詩:“醒猶聞絮語, 難謝九原心.”


「陶鑄】1.制作陶范幷用以鑄造金屬器物. 《墨子·耕柱》:“昔者夏后開使蜚廉折金於山川, 而陶鑄之於昆吾.” 於省吾《雙劍誃諸子新證·墨子三》:“陶謂作範, 鑄謂鎔金. 凡古代彛器, 未有不用範者, 近世所發現之商周陶範, 固所習見. 《禮記·禮運》‘範金合土’疏‘範金者, 謂爲形範以鑄金器’, 是範金亦陶鑄之義.”2.比喩造就、培育. 《莊子·逍遙遊》:“是其塵垢粃糠, 將猶陶鑄堯舜者也.” 南朝梁劉勰《文心雕龍·徵聖》:“陶鑄性情, 功在上哲.” 周振甫注:“陶, 製瓦器;鑄, 冶煉. 指敎育培養.” 淸趙翼《壽劉可行舅兄八十》詩:“一門子弟親陶鑄, 三世文詞力表彰.” 郭沫若《創造十年》十:“幷不是泰東能夠束縛我們, 是我們被舊社會陶鑄成了十足的奴性.”3.熔化;融合. 《隋書·高祖紀上》:“五氣陶鑄, 萬物流形.” 明謝肇淛《五雜俎·人部三》:“右將軍陶鑄百家, 出入萬類, 信手拈來, 無不如意.” 淸葉燮《原詩·內篇上》:“今之人固群然宗杜矣, 亦知杜之爲杜, 乃合漢、魏、六朝幷後代千百年之詩人而陶鑄之者乎?”4.模仿, 模擬. 淸侯方域《倪云林十萬圖記》:“董宗伯《畫旨》云:‘雲林畫早歲學北苑, 在勝國時可稱逸品. 昔人以逸品置神品之上, 元人多從陶鑄而來, 大癡王濛尙存蹊徑, 獨雲林古淡天然, 米襄陽後一人也.’”


「指引】指點引導. 唐呂岩《西江月》詞之二:“若遇高人指引, 都來不費功程.” 元尙仲賢《柳毅傳書》第一折:“既蒙先生許諾, 我自有路徑指引你去.”《警世通言·桂員外途窮懺悔》:“問:‘桂員外家居何處?’有人指引道:‘在西門城內.’”


「摹儗】見“摹擬”. 「摹錄】用依樣描畫的方法過錄. 郭沫若《中國古代社會硏究》第三篇序說:“就他所編印的《殷墟卜辭》看來……大率可靠, 但可惜這書是出於摹錄而非拓印.”


*證1.告發, 檢擧. 《論語·子路》:“葉公語孔子曰:‘吾黨有直躬者, 其父攘羊, 而子證之.’”《文選·潘嶽〈關中詩〉》:“當乃明實, 否則證空.” 李善注:“其言當者, 明示以事實;其理否者, 顯告之狀空. ……《說文》曰:‘證, 告也.’”2.驗證;證實. 《楚辭·九章·惜誦》:“故相臣莫若君兮, 所以證之不遠.” 王逸注:“證, 驗也.” 明葉子奇《草木子·克謹》:“變不虛生, 宜有其證.” 趙樹理《邪不壓正》:“腊月二十四這天, 早飯以后, 村支部打發人來找軟英, 說有事非她去證不明白.”


단양절 [ 端陽節 ] ; 음력 5월 5일의 절기. 단오절(端午節). [유사어]: 단오(端午). 중오(重午). 천중절(天中節).


'기서발 > 기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란선생유고발  (0) 2009.04.09
태허정집서  (0) 2009.04.09
불우헌집서  (0) 2009.04.06
태재선생문집서  (0) 2009.04.06
양심당시집서  (0) 200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