泰齋先生文集序
1388(우왕 14)∼1443(세종 25)
[徐居正
1420(세종 2)∼1488(성종 19)]
天地精英之氣鍾於人而爲文章 文章者 人言之精華也 是故 有遭遇盛時 賡載歌詠者
천지의 정영한 기운이 사람에게 모여 문장이 되니 문장은 사람이 하는 말의 정수이다 이 때문에 훌륭한 때를 만나 노래를 이어서 이룬 사람은 그
則其文之昭著 如五緯之麗天 而燁乎其光也 不遇而嘯詠山林 托於空言者 則其文之
문장의 밝게 드러남이 오성이 하늘에 결려서 화려하게 빛나는 것과 같고 불우하여 산림에서 읊조려 시행되니 못하는 말에 자신의 뜻을 붙이는 자는 그 글의 빛남이
炳燿 如珠璧捐委山谷 明朗而終不掩其煒矣 其所以駭一時之觀聽 而垂名聲於不朽則
구슬이 산골짜기에 버려졌으나 발게 빌ㅊ나 끝내 그 빛을 숨기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이것들이 한 때의 관청을 놀라게 하고 무궁한 곳에 성명을 전하는 것은 똑같다
一也 泰齋先生 思菴文僖公之曾孫也 天資英敏 學問精博 早遊陽村,春亭兩先生之
태제선생은 사암 문희공의 증손이다 천부적 자질이 뛰어나게 민첩하고 학문이 정박하였다 일찍 양촌과 변계량의 문하에 들어가서
門 得師友淵源之正 人皆以大器目之 不幸而不獲乎時 尤肆意於經籍中 諸史百子 靡
사우의 바른 계통을 얻었으니 사람들이 모두 큰 그릇으로 지목햇느나 불행하게도 당시에 뜻을 얻지 못했다 경적에 더욱 뜻을 다하여 제사백가를 연구하지 않은 것이 없었
不硏究 至於醫藥卜筮陰陽地理之書 亦皆搜刮無餘 朝中文學之士 如有所疑 皆詣先
고 예악과 복서와 응양과 지리서에 이르러서도 모두 남김없이 연구하였으니 조정에서 문학을 공부한 선비들이 의심나는 것이 있으면 모두 선생에게 찾아와 물었다
生而質之 先生已無意於媒進 退居村野 優遊於泉石之間 凡天地之運化 物理之消息
선생은 맥?ㅖ로 하여 진출함에 뜻이 없어 시골로 물러나 살아 천석의 사이에서 여유를 즐기면서 천지의 조화와 물리의 소식과
人事之得失 心思之憂樂 一於詩發之 有孤曠閒適之趣 悲憤激烈之音矣 歲己未冬 居
인사의 득실과 심사의 우락을 모두 시에 드러내어 고독하고 한적한 뜻과 분개하고 격렬한 음이 있었다 기미년 겨울에 내가
正謁先生於北原別墅 陪杖屨者數月 先生口授指畫 乃擊余蒙 其後相繼造謁 獲聞緖
북원 별장에서 선생을 뵙고 선생을 몇 달 모실 적에 선생이 입으로 일러주고 송으로 가르쳐 주어 이에 나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셨다 그 뒤로 서로 이어 찾아가 뵈알아
論於先生 所著亦時得一臠而嘗之 恨不得完藁而見也 先生竟不究於設施 捐館于鄕
여 선생의 사상이나 학설에 대체적인 것을 얻어 들었고 저술한 것도 조금 얻어 보았으나 전체의 원고를 원어보지 못한 것이 한이었다 선생은 마침내 자신의 포부를 시행
今年春 季子允謙裒稡遺文 彙次爲略干卷示余 始得雋永而味焉 先生之詩 本之以性
하는 것을 추구하지 않고 고행에서 돌아가셨다 올 봄 막내아들 윤겸이 유문을 모아 분류 편차하여 약간권을 만들에 내게 보여주니 비로서 뛰어난 문자응ㄹ 얻어 볼 수 있
理之學 推之以雅頌之正 不怪詭以爲奇 不藻飾以爲巧 淸新雅淡 高古簡潔 雖古之作
었다 선생의 시는 성리학에 근본하고 아송의 바름에 추연하여 괴궤함을 기이함으로 삼지 않고 아름답게 꾸밈을 솜씨로 삼지 않아 발고 담박하며 높고 간결하여 비록 옛
者 無以加也 昔之論詩者 蓋曰有朝廷臺閣之詩 有山林草野之詩 夫所處之地不同 則
사람의 작품이라도 이보다 더할 수 없었다 옛날 시를 논한 사람들이 말하기를“ 조정 대각의 시가와 산림 초야의 시가 있다 하니 처한 곳이 같지 않으면 발로하여 문장을
發而爲言辭者 不得不爾也 先生以超邁卓絶之才 宏深博大之見 不能施於臺閣之上
짓는 것이 그렇지 않을 수 없다 선새응ㄴ 뛰어난 재주와 넓고 깊고 큰 식견으로 대각의 위에서 배풀지
而於草野之中 豈不深可惜哉 論者亦曰 懽愉之辭難工 窮苦之辭易好 然豈有工於窮
못하고 초야에서 하였으니 어찌 깊이 애석할만 하지 않겠는가 시를 논하느 ㄴ사람들이 말하길 “기쁠 때의 문장은 잘짓기 어렵고 곤궁할 때의 문장은 아름답기 쉽다” 하니
而不工於不窮者哉 使先生躋膴通 顯 立乎制作之列 以鳴國家之盛 則舂容富麗 將有
그러나 어찌 곤궁할 때 잘하고 곤궁하지 않을 때 못하는 것이 있겠는가 가령 선생이 높은 지위에 올라 명성이 드러나 문장을 짓는 대열에 서서 나라의 성대함을 울리게
鏘金戞玉之美矣 豈但止於此而已哉 悲夫 景泰元年庚午正月日 承訓郞 行集賢殿副
하였다면 성음이 통창하고 내용이 풍부하여 아마도 금과 옥을 울리는 아름다움이 있었을 것이다 어찌 다만 이에 그칠 뿐이었겠는가 슬프다 경태 [景泰]<역사> 중국 명나
修撰,知製敎,世子右正字門人徐居正 敬序
라 대종 때의 연호(1450~1456).
유방선 [柳方善] 인쇄 1388(우왕 14)∼1443(세종 25).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자계(子繼), 호는 태재(泰齋). 할아버지는 관찰사 후(厚)이고, 아버지는 기(沂)이며, 어머니는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이종덕(李種德)의 딸이다.1405년(태종 5) 국자사마시(國子司馬試)에 합격하고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1409년 아버지가 민무구(閔無咎)의 옥사에 관련된 것으로 연좌되어 청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에 영천에 이배되었다.1415년 풀려나 원주에서 지내던 중 참소로 인하여 다시 영천에 유배되어 1427년(세종 9) 풀려났다. 유배생활중의 학행이 높이 드러나 유일(遺逸 : 과거를 거치지않고 높은 관직에 천거될 수 있는 학식과 덕망이 높은 선비)로 천거되어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다.12세 무렵부터 변계량(卞季良)·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여 일찍부터 문명이 높았다. 특히 유배생활중에는 유배지 영천의 명승지에 ‘태재(泰齋)’라는 서재를 짓고 당시에 유배 또는 은둔생활을 하던 이안유(李安柔)·조상치(曺尙治) 등 문사들과 학문적인 교분을 맺고, 주변의 자제들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이보흠(李甫欽)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다.즉, 정몽주(鄭夢周)·권근·변계량을 잇는 영남성리학의 학통을 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 구실을 담당한 것이다. 원주에서 생활하던 동안 서거정(徐居正)·한명회(韓明澮)·권람(權擥)·강효문(康孝文) 등 문하생을 길러내었으며, 특히 시학(詩學)에 뛰어났다. 경현원(景賢院)과 영천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태재집≫이 있다.
서거정 [徐居正]1420(세종 2)∼1488(성종 19).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 익진(益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의(義)이고, 아버지는 목사(牧使) 미성(彌性)이다.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이다. 최항(崔恒)이 그의 자형(姉兄)이다.조수(趙須)·유방선(柳方善) 등에게 배웠으며, 학문이 매우 넓어 천문(天文)·지리(地理)·의약(醫藥)·복서(卜筮)·성명(性命)·풍수(風水)에까지 관통하였다.문장에 일가를 이루고, 특히 시(詩)에 능하였다. 1438년(세종 20)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44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에 제수되었다.그 뒤 집현전박사·경연사경(經筵司經)이 되고, 1447년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지제교 겸 세자우정자(知製敎兼世子右正字)로 승진하였다.1451년(문종 1)에는 부교리(副校理)에 올랐다.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따라 명나라에 종사관(從事官)으로 다녀오기도 하였다. 1455년(세조 1) 세자우필선(世子右弼善)이 되고, 1456년 집현전이 혁파되자 성균사예(成均司藝)로 옮겼다.세조의 명으로 ≪오행총괄 五行摠括≫을 저술하였다. 1460년 이조참의로 옮기고, 사은사(謝恩使)로서 중국에 갔을 때 통주관(通州館)에서 안남사신(安南使臣)과 시재(詩才)를 겨루어 탄복을 받았으며, 요동인 구제(丘霽)는 그의 초고를 보고 감탄했다 한다.1465년 예문관제학·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를 거쳐, 다음 해 발영시(拔英試)에 을과로 급제, 예조참판이 되었다. 이어 등준시(登俊試)에 3등으로 급제해 행동지중추부사(行同知中樞府事)에 특가(特加)되었으며, ≪경국대전≫ 찬수에도 참가하였다.1467년 형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성균관지사를 겸해 문형(文衡)을 관장했으며, 국가의 전책(典冊)과 사명(詞命)이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1470년(성종 1) 좌참찬이 되었고, 1471년 순성명량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 3등에 녹훈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1474년 다시 군(君)에 봉해지고 좌참찬에 복배되었다. 1476년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중국사신을 맞이했는데, 수창(酬唱 : 시로써 서로의 마음을 문답함)을 잘해 기재(奇才)라는 칭송을 받았다.이 해 우찬성에 오르고, ≪삼국사절요≫를 공편했으며, 1477년 달성군에 다시 봉해지고 도총관(都摠管)을 겸하였다. 다음해 대제학을 겸직했고, 곧이어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이 해 ≪동문선≫ 130권을 신찬하였다.1479년 이조판서가 되어 송나라 제도에 의거해 문과의 관시(館試)·한성시(漢城試)·향시(鄕試)에서 일곱번 합격한 자를 서용하는 법을 세웠다.1480년 ≪오자 吳子≫를 주석하고, ≪역대연표 歷代年表≫를 찬진하였다. 1481년 ≪신찬동국여지승람≫ 50권을 찬진하고 병조판서가 되었으며, 1483년 좌찬성에 제수되었다. 1485년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으며, 이 해 ≪동국통감≫ 57권을 완성해 바쳤다. 1486년 ≪필원잡기 筆苑雜記≫를 저술, 사관(史官)의 결락을 보충하였다.1487년 왕세자가 입학하자 박사가 되어 ≪논어≫를 강했으며, 다음 해 죽었다. 여섯 왕을 섬겨 45년 간 조정에 봉사, 23년 간 문형을 관장하고, 23차에 걸쳐 과거 시험을 관장해 많은 인재를 뽑았다.저술로는 시문집으로 ≪사가집 四佳集≫이 전한다. 공동 찬집으로 ≪동국통감≫·≪동국여지승람≫·≪동문선≫·≪경국대전≫·≪연주시격언해 聯珠詩格言解≫가 있고, 개인 저술로서 ≪역대연표≫·≪동인시화 東人詩話≫·≪태평한화골계전 太平閑話滑稽傳≫·≪필원잡기≫·≪동인시문 東人詩文≫ 등이 있다.조선 초기 세종에서 성종대까지 문병(文柄)을 장악했던 핵심적 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의 학풍과 사상은 이른바 15세기 관학(官學)의 분위기를 대변하는 동시에 정치적으로는 훈신(勳臣)의 입장을 반영하였다.그의 한문학에 대한 입장은 ≪동문선≫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우리 나라 한문학의 독자성을 내세우면서 우리 나라 역대 한문학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했는데, 그의 한문학 자체가 그러한 입장에서 형성되어 자기 개성을 뚜렷이 가졌던 것이다.또한, 그의 역사 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는 ≪삼국사절요≫·≪동국여지승람≫·≪동국통감≫에 실린 그의 서문과 ≪필원잡기≫에 실린 내용이다. ≪삼국사절요≫의 서문에서는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세력이 서로 대등하다는 이른바 삼국균적(三國均敵)을 내세우고 있다.≪동국여지승람≫의 서문에서는 우리 나라가 단군(檀君)이 조국(肇國 : 처음 나라를 세움)하고, 기자(箕子)가 수봉(受封 : 봉토를 받음)한 이래로 삼국·고려시대에 넓은 강역을 차지했음을 자랑하고 있다.≪동국여지승람≫은 이러한 영토에 대한 자부심과 역사 전통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중국의 ≪방여승람 方輿勝覽≫이나 ≪대명일통지 大明一統志≫와 맞먹는 우리 나라 독자적 지리지로서 편찬된 것이다.이와 같이, 그가 주동해 편찬된 사서·지리지·문학서 등은 전반적으로 왕명에 따라 사림 인사의 참여 하에 개찬되었다. 이렇듯 많은 문화적 업적을 남겼지만, 성종이나 사림들과 전적으로 투합된 인물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精英】精華. 指事物之最精粹、最美好者. 晉葛洪《抱朴子·嘉遁》:“漱流霞之澄液, 茹八石之精英.” 唐杜牧《阿房宮賦》:“燕趙之收藏, 韓魏之經營, 齊楚之精英, 幾世幾年, 摽掠其人, 倚疊如山.” 宋蘇軾《乞校正奏議劄子》:“如贄之論, 開卷了然, 聚古今之精英, 實治亂之龜鑑.” 魯迅《僞自由書·再談保留》:“只要撮取報章, 存其精英, 就是一部不朽的大作.”
「精華】1.指事物之最精粹、最優秀的部分. 漢劉向《九歎·惜賢》:“揚精華以炫燿兮, 芳鬱渥而純美.” 北齊顏之推《顏氏家訓·文章》:“自古執筆爲文者, 何可勝言. 然至於宏麗精華, 不過數十篇耳.” 淸李漁《閑情偶寄·詞曲上·詞采》:“無論其他, 即湯若士《還魂》一劇, 世以配饗元人, 宜也. 問其精華所在, 則以《驚夢》、《尋夢》二折對.” 毛澤東《新民主主義論》十五:“剔除其封建性的糟粕, 吸收其民主性的精華.”2.指精神元氣. 漢王充《論衡·書虛》:“<顔淵>彊力自極, 精華竭盡, 故早夭死.” 南朝陳徐陵《梁禪陳策文》:“精華既竭, 耄勤已倦, 則抗首而笑, 惟賢是與.” 淸魏源《聖武記》卷十四:“鴉片耗中國之精華, 歲千億計, 此漏不塞, 雖萬物爲金, 陰陽爲炭, 不能供尾閭之壑.”3.猶光輝. 南朝梁江淹《效阮公詩》之八:“仲冬正慘切, 日月少精華.” 明馮惟敏《醉花陰·仰高亭中自壽》曲:“咫尺內靑山翠島, 見放著日月精華龍虎朝, 轉頭來遊玩了.”《紅樓夢》第四九回:“精華欲掩料應難, 影自娟娟魄自寒.”
「盛時】1.猶盛世. 《史記·劉敬叔孫通列傳》:“及周之盛時, 天下和洽, 四夷鄕風.” 漢朱浮《爲幽州牧與彭寵書》:“方今天下適定, 海內願安, 無賢不肖皆樂立名於世. 而伯通獨中風狂走, 自捐盛時.” 宋梅堯臣《題老人泉寄蘇明允》詩:“去爲仲尼嘆, 出爲盛時祥.” 明陳子龍《對酒》詩:“對酒歌盛時, 天下方大治.”2.猶盛年. 三國魏曹植《箜篌引》:“盛時不可再, 百年忽我遒.”
「賡載】1.謂相續而成. 《書·益稷》:“臯陶拜手稽首, 颺言曰:‘念哉, 率作興事, 愼乃憲欽哉, 屢省乃成欽哉.’乃賡載歌曰:‘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 孔傳:“賡, 續;載, 成也.”2.多用指詩詞唱和. 宋劉克莊《念奴嬌·丙午鄭少師生日》詞:“火德中天, 客星一夕, 草草聊同宿. 重來凝碧, 依然賡載相屬.”《宋史·樂志九》:“君臣賡載, 夷夏肅淸. 本支百世, 持盈守成.”
「五緯】金、木、水、火、土五星. 《周禮·春官·大宗伯》“以實柴祀日月星辰” 漢鄭玄注:“星謂五緯, 辰謂日月.” 賈公彦疏:“五緯, 即五星:東方歲星, 南方熒惑, 西方太白, 北方辰星, 中央鎮星. 言緯者, 二十八宿隨天左轉爲經, 五星右旋爲緯.” 漢張衡《西京賦》:“五緯相汁, 以旅於東井.” 唐李百藥《謁漢高廟》詩:“締構三靈改, 經綸五緯同.” 淸夏炘《學禮管釋·釋十有二歲》:“五緯之名, 木曰歲星, 火曰熒惑, 土曰填星, 金曰太白, 水曰辰星.”
「昭著】彰明;顯著. 漢揚雄《劇秦美新》:“臣誠樂昭著新德, 光之罔極.”《南齊書·高帝紀上》:“驗往揆今, 若斯昭著.” 唐薛用弱《集異記補編·永淸縣廟》:“與民除害, 陰功昭著.” 淸梁章钜《歸田瑣記·鼇拜》:“迨後罪狀昭著, 而列聖猶曲加軫念, 疊沛恩施.”
「嘯詠】亦作“嘯詠”.
猶歌詠. 《晉書·阮孚傳》:“竊以今王蒞鎮, 威風赫然……正應端拱嘯詠, 以樂當年耳.” 唐谷神子《博異志·劉方玄》:“唯聞廳西有家口語言嘯詠之聲, 殆不多辨.” 宋蘇軾《與張朝請書》之三:“新春海上嘯詠之餘, 有足樂者.” 淸蒲松齡《聊齋志異·羅刹海市》:“宮中有玉樹一株, 圍可合抱……葉類碧玉, 厚一錢許, 細碎有濃陰, 常與女嘯詠其下.”
「炳耀】亦作“炳曜”. 亦作“炳燿”.
1.顯示光芒;照耀. 南朝陳徐陵《爲貞陽侯梁太尉與王僧辯書》:“天狼炳曜, 非無戰陣之風;參虎揚芒, 便有干戈之務.” 宋蘇轍《南京祈禱文》之七:“曾未旋踵, 秋暘炳耀.” 蕭蛻庵《徐園追祭宋遁初》詩:“虎觀論洋溢, 麟閣光炳耀.”2.文采煥發;光輝燦爛. 《後漢書·劉瑜傳》:“蓋諸侯之位, 上法四七, 垂文炳燿, 關之盛衰者也.” 南朝梁劉勰《文心雕龍·原道》:“文王患憂, 繇辭炳曜, 符采複隱, 精義堅深.”《東周列國志》第七四回:“惟見兩龍張鬣相向, 五色炳耀.”3.昭彰;昭揚. 南朝梁劉勰《文心雕龍·詔策》:“衛覬禪誥, 符命炳耀, 弗可加已.” 南朝梁劉勰《原道》:“光采玄聖, 炳耀仁孝.”4.顯赫. 姚雪垠《李自成》第二卷第三八章:“老先生世受國恩, 門第炳耀, 原非草木小民.”
「捐委】拋棄. 淸黃宗羲《劉伯繩墓志銘》:“子劉子野死, 先生捐委故業.”
「空言】1.謂不切實際的話. 《呂氏春秋·知度》:“至治之世, 其民不好空言虛辭, 不好淫學流說.” 晉盧諶《覽古》詩:“秦人來求市, 厥價徒空言.” 魯迅《花邊文學·安貧樂道法》:“事實是毫無情面的東西, 它能將空言打得粉碎.”2.謂只起褒貶作用而不見用於當世的言論主張. 《史記·太史公自序》:“子曰:‘我欲載之空言, 不如見之於行事之深切著明也.’” 司馬貞索隱:“空言, 謂褒貶是非也. 空立此文, 而亂臣賊子懼也.” 唐韓愈《與孟尙書書》:“孟子雖賢聖, 不得位, 空言無施, 雖切何補.” 明梅之熉《<古今譚槪>敘》:“士君子得志則見諸行事, 不得志則託諸空言.”
「明朗】1.光線充足;明亮. 唐韓愈《賀太陽不虧狀》:“自卯及巳, 當虧不虧, 雖有陰雲, 轉更明朗.” 淸和邦額《夜譚隨錄·某領催》:“雖有微月, 爲輕雲所蔽, 亦不甚明朗.”碧野《蘆溝橋情思》:“現在, 蘆溝橋在秋天的陽光下, 天靑雲淡, 大地明朗.”2.明白;淸晰. 《壇經·懺悔品》:“於外著境, 被妄念浮雲蓋覆, 自性不得明朗.”《元典章·戶部四·婚姻》:“若夫婦不相安諧, 而和離者不坐, 須要明朗寫立休書.” 周立波《山鄕巨變》上二:“他身材粗壯, 臉頰略長, 濃眉大眼, 鼻子高而直, 輪廓顯得很明朗.”3.光明磊落;樂觀, 開朗. 《晉書·何曾傳》:“詔曰:太傅明朗高亮, 執心弘毅, 可謂舊德老成, 國之宗臣者也.”艾蕪《你放下的筆, 我們要勇敢地拿起來》:“郭沫若同志的新詩, 健康而又明朗, 像民歌似的容易上口, 尤其令人心醉.”
「天資】天賦;資質. 《史記·商君列傳論》:“商君, 其天資刻薄人也.”《朱子語類》卷七二:“明道天資高, 又加以學.”《醒世恒言·小水灣天狐貽書》:“<楊寶>華西人氏, 年方弱冠, 天資穎異, 學問過人.” 陳白塵《大風歌》第三幕:“太后過獎! 是皇上天資過人.”
「英敏】謂聰慧而有卓識. 《資治通鑑·梁武帝普通五年》:“崇貴戚重望, 器識英敏.”《初刻拍案驚奇》卷二十:“元普見張氏德性溫存, 春郞才華英敏, 更兼謙謹老成, 愈加敬重.” 淸唐甄《潛書·無助》:“多聞多見, 士多英敏, 豈無賢哉?” 郭沫若《戰聲集·題廖仲愷先生遺容》:“這樣精銳, 沉毅, 英敏的遺容, 嗚呼仲愷先生, 你誠然是精神不死.”
「搜括】亦作“搜刮”.
1.搜求;搜索;搜集. 《梁書·武帝紀中》:“凡諸郡國舊族, 邦內無在朝者, 選官搜括, 使郡有一人.” 明沈榜《宛署雜記·契稅》:“兩縣除將庫積銀兩幷節年存留通融支盡外, 搜刮先年庫貯黑漆銅錢, 申允搭支, 少救燃眉.”茅盾《子夜》八:“他只好把所有的現款都搜括攏來, 全家搬到上海.”2.謂用各種方法掠奪財物. 宋司馬光《言蓄積劄子》:“官吏往往更行收糴, 所給官錢既少, 百姓不肯自來;中糴則遣人編攔搜括, 無異於寇盜之鈔劫.” 明周岐《官兵行》:“傾倉倒甕恣搜括, 排墻墮壁掘餘藏.”《老殘遊記》第一回:“誰知道除那管船的人搜括衆人外, 又有一種人在那裏高談闊論的演說.” 李大釗《現在與將來》:“試看那强盜軍閥, 那個不是忙著搜括地皮, 扣侵軍餉……預備他那子孫下輩萬世之業?”
*括3.阻滯;閉塞. 《易·繫辭下》:“君子藏器於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朱熹本義:“括, 結礙也.” 宋張載《正蒙·天道》:“見幾則義明, 動而不括則用利.” 王夫之注:“括, 收也, 滯也.” 明何景明《方竹先生誄》:“毖彼積泉, 其流不括.”4.包容;包括. 晉陸機《辯亡論上》:“東包百越之地, 南括群蠻之表.” 唐白居易《初授拾遺》詩:“杜甫陳子昂, 才名括天地.” 明何景明《確山縣修城記》:“城圍七百餘丈, 高三丈, 陶磚括其表.” 徐特立《國文敎授之硏究》第三章:“以高對深, 以大對小, 擧其兩端, 他皆括之於此矣.”5.用以指科擧的應試槪要. 參閱淸趙翼《陔餘叢考·帖括策括》. 6.搜集;搜括. 晉葛洪《抱朴子·嘉遁》:“玩圖籍於絶跡之藪, 括藻麗乎鳥獸之群.”《北史·孫搴傳》:“時大括人爲軍士, 逃隱者, 身及主人、三長、守、令, 罪以大辟, 沒其家.”《資治通鑑·後晉齊王天福八年》:“重以官括民穀, 使者督責嚴急.”《續資治通鑑·元世祖至元二十一年》:“括天下私藏天文、圖讖……有私習及收匿者罪之.”
*刮1.摩;擦. 《禮記·明堂位》:“刮楹、達鄕、反坫、出尊、崇玷、康圭、疏屛, 天子之廟飾也.” 鄭玄注:“刮, 刮摩也.” 北魏賈思勰《齊民要術·養羊》:“治羊疥方……以塼瓦刮疥令赤(若强硬痂厚者, 亦可以湯洗之), 去痂, 拭燥, 以藥汁塗之.” 宋葉適《寄李季章參政》詩:“唯當刮老眼, 雲雨看施行.”沙汀《在祠堂里》:“小兵在堂屋里取下洋燈, 尋找著火柴……一連刮了幾根都沒有刮燃.”2.刮削;去掉. 《史記·太史公自序》:“堂高三尺, 土階三等, 茅茨不翦, 采椽不刮.” 張守節正義:“不刮削也.” 元湯式《醉太平·重九無酒》曲:“釀寒風似刮, 催詩雨如麻.”聞捷《海燕》詩:“胡子刮得干干淨淨, 軍服穿得整整齊齊.”3.抉發;發掘. 唐杜甫《畫鶻行》:“乃知畫師妙, 巧刮造化窟.” 宋陸遊《夜讀岑嘉州詩》詩:“工夫刮造化, 音節配韶頀.”6.搜刮;榨取;勒索. 淸李玉《牛頭山》第三出:“亂紛紛萬戶黎民爭避難, 哭啼啼兩宮帝主淚如麻, 刮盡了金銀糞土, 珠玉塵沙.” 王家域《世家》:“本有祖宗傳下來的一千畝良田, 又在富陽的任上刮了一些.” 林海音《城南舊事·林姨娘》:“他們是刮男人的錢, 毁男人的家的壞東西.”
「肆意】縱情任意, 不受拘束. 后多含貶意, 謂不顧一切, 由著自己的性子. 《史記·秦始皇本紀》:“凡所爲貴有天下者, 得肆意極欲, 主重明法, 下不敢爲非, 以制御海內矣.” 晉皇甫謐《高士傳·向長》:“於是遂肆意與同好北海禽慶俱遊五嶽名山, 竟不知所終.” 金王若虛《<新唐書>辨》:“宋子京不識文章正理, 而惟異之求, 肆意雕鐫, 無所顧忌.” 淸平步靑《霞外攟屑·掌故·肅順專款》:“奉到拏問諭旨, 膽敢肆意咆哮.”老舍《四世同堂》二三:“他恨那些作家, 現在他可以肆意的詬罵他們了, 因爲他們已經都離開了北平.” 徐遲《哥德巴赫猜想·地質之光》:“如果中國學者有了發明創造, 他們不是攫爲己有, 就是肆意地誹謗和扼殺.”
「媒進】謂借某種關系以謀求進身. 宋周密《齊東野語·謝惠國坐亡》:“<謝惠國>萃先帝宸翰爲巨帙曰《寶奎錄》, 侑以自製丹砂、金器、古琴之類以進, 當國者以爲有意媒進.”《明史·趙志皋傳》:“往日勢重而權有所歸, 則相率附之以媒進;今日勢輕而權有所分, 則相率擊之以博名.” 淸錢謙益《贈程穆倩序》:“處治不媒進, 處亂不易方.”
*媒4.指引荐, 推荐. 《列子·周穆王》:“宋陽里華子中年病忘……魯有儒生自媒能治之.”《太平廣記》卷五百引唐皇甫氏《原化記·京都儒士》:“座中有一儒士自媒曰:‘若言膽氣, 余實有之.’”5.媒介;誘因. 漢賈誼《新書·大都》:“臣聞大都疑國, 大臣疑主, 亂之媒也.”隋王通《中說·魏相》:“聞謗而怒者, 讒之由也;見譽而喜者, 佞之媒也.” 唐李咸用《惜別》詩:“須知相識喜, 却是別愁媒.” 淸王夫之《讀四書大全說·孟子·公孫丑上》:“他只認定此昭昭靈靈底便作主人, 却將氣爲客感之媒.”6.導致;招引. 唐韋應物《冰賦》:“氣奪天時, 干陰陽也;內熱飲之, 媒其疾也.” 金王若虛《㚆之純交說》:“怨之不可媒也, 禍之不可賈也.”7.向導. 唐崔曙《送薛據之宋州》詩:“無媒嗟失路, 有道亦乘流.”《新唐書·東夷傳·高麗》:“諺曰:‘軍無媒, 中道回.’”8.謀取;營求. 宋李綱《與梅和勝侍郞書》:“惟知佞柔, 以媒富貴.” 明宋濂《淸風亭記》:“吾之挺身禦寇, 不忘先世之明訓爾, 敢藉是媒利耶?”9.射獵時用作誘餌、或馴養以招引其同類的鳥獸. 后多指鳥媒. 《周禮·秋官·翨氏》:“掌攻猛鳥, 各以其物爲媒而掎之.” 賈公彦疏:“若今取鷹隼者, 以鳩鴿置羅網之下以誘之.”《文選·潘嶽〈射雉賦〉》:“盼箱籠以揭驕, 睨驍媒之變態.” 徐爰注:“媒者, 少養雉子, 至長狎人, 能招引野雉, 因名曰媒.”《太平御覽》卷九○六引南朝宋劉義慶《宣驗記》:“吳唐廬陵人也, 少好驅媒獵射.” 唐柳宗元《放鷓鴣詞》:“楚越有鳥甘且腴, 嘲嘲自名爲鷓鴣, 徇媒得食不復慮, 機械潛發罹罝罦.”10.酒母. 《漢書·李陵傳》:“全軀保妻子之臣隨而媒糵其短” 唐顏師古注:“齊人名麴餠曰媒.”
*於①[wūㄨ]
[《廣韻》哀都切, 平模, 影. ]
亦作“扵”.
1.鳥名. 參見“於鵲”. 2.歎詞. 《書·堯典》:“僉曰:‘於! 鯀哉!’”《詩·周頌·賚》:“時周之命, 於繹思.” 朱熹集傳:“於, 歎詞.” 王念孫《讀書雜志·漢隸拾遺》:“於, 音烏, 歎詞也.” 唐韓愈《獨孤府君墓志銘》:“於, 古風, 襮順而裏方.”
於②[yúㄩˊ]
[《廣韻》央居切, 平魚, 影. ]
亦作“扵”.
1.在. 《論語·里仁》:“人之過也, 各於其黨.”《史記·司馬相如列傳》:“麗靡爛漫於前, 靡曼美色於後.” 漢劉向《說苑·立節》:“義者軒冕在前, 非義弗乘;斧鉞於後, 義死不避.” 北周庾信《周上柱國宿國公普屯威神道碑》:“公之桑梓, 本於此地.”2.往. 《史記·齊太公世家》:“晉使郤克於齊, 齊使夫人帷中而觀之.”《史記·伍子胥列傳》:“吳王不聽, 使子胥於齊.” 漢劉向《列女傳·宋恭伯姬》:“伯姬以恭公不親迎, 故不肯聽命. 宋人告魯. 魯使大夫季文子於宋.”3.爲(wéi). 《老子》:“大道氾兮……衣養萬物而不爲主, 常無欲, 可名於小;萬物歸焉而不爲主, 可名爲大.”《韓詩外傳》卷二:“吾聞君子見人之困則矜之, 小人見人之困則幸之. 吾望見吾子似於君子, 是以情也.” 北周庾信《謝滕王集序啓》:“匠石迴顧, 朽材變於雕梁;孫陽一言, 奔踶成於駿馬.” 唐柳宗元《送蕭煉登第後南歸序》:“君子志正而氣一, 誠純而分定, 未嘗標出處爲二道, 判屈伸於異門也.”9.介詞. 從;自. 《呂氏春秋·知接》:“<桓公>蒙衣袂而絶乎壽宮, 蟲流出於戶.”《老子》:“千里之行, 始於足下.”10.介詞. 在. 《論語·述而》:“子於是日哭則不歌.” 北魏酈道元《水經注·晉水》:“晉荀吳帥師敗狄於大鹵.” 唐韓愈《送孟秀才序》:“今年秋, 見孟氏子琯於郴.” 宋蘇軾《送淡公》詩之一:“常於冷竹坐, 相語道意沖.”11.介詞. 至, 到. 漢袁康《越絕書·外傳記范伯》:“今孤之怨吳王, 深於骨髓;而孤之事吳王, 如子之畏父, 弟之敬兄, 此孤之外言也.”《西遊記》第四九回:“那妖邪乃九年前海嘯波翻, 他趕潮頭, 來於此處, 仗逞凶頑, 與我爭鬪.”12.介詞. 向. 《論語·學而》:“子禽問於子貢.”《史記·趙世家》:“趙氏求救於齊.” 明謝肇淛《五雜俎·天部一》:“上帝建白玉殿, 遣臣於陛下索紫金梁一枝, 長二丈, 某月日來取.”13.介詞. 猶以. 《墨子·非攻中》:“殺人多必數於萬, 寡必數於千.”《韓非子·解老》:“慈, 於戰則勝, 以守則固.”《漢書·晁錯傳》:“居則習民於射法, 出則敎民於應敵.” 淸葉廷琯《吹網錄·龍城柳石刻》:“鑄自何匠, 銘自何年, 俱莫可考, 而玩其文義, 於銘劍爲合.”
「孤曠】孤獨無伴. 《天雨花》第四回:“望卿念我將離別, 不知孤曠幾年春.”《天雨花》第七回:“在杭孤曠三年久, 今始回家兩月零.”
*曠1.明白;明朗;明亮. 《後漢書·竇融傳》:“忠臣則酸鼻流涕, 義士則曠若發矇.” 李賢注引《說文》:“曠, 明也.” 三國魏曹植《與吳季重書》:“得所來訊文采委曲……申詠反覆, 曠若復面.” 南朝宋謝靈運《富春渚》詩:“懷抱既昭曠, 外物徒龍蠖.”2.空曠;開闊. 《老子》:“曠兮其若谷, 混兮其若濁.” 晉陶潛《桃花源記》:“土地平曠, 屋舍儼然.” 唐張祜《早春錢塘湖晩眺》詩:“仰視天宇曠, 俯登雲樹重.”3.指廣大, 寬廣. 晉陸機《五臣論》:“帝業至重, 天下至曠.” 唐杜審言《奉和七夕侍宴兩儀殿應制》:“天迴兔欲落, 河曠鵲停飛.”4.荒廢. 《書·皋陶謨》:“無曠庶官, 天工人其代之.” 蔡沈集傳:“曠, 廢也. 言不可用非才, 而使庶官曠廢厥職也.”《呂氏春秋·無義》:“以義動則無曠事矣.”5.指失職. 漢劉向《說苑·正諫》:“趙簡子曰:‘今吾伐國失國, 是吾曠也.’於是罷師而歸.” 宋蘇舜欽《上范公參政書》:“閣下所爲, 於時亦孜孜數有建白, 未甚爲曠, 是何毁之多也.”6.徒然, 徒勞. 《左傳·哀公元年》:“民不罷勞, , 死知不曠.” 顧炎武杜解補正:“曠, 空也, 言不爲徒死, 知上必有以恤之.” 唐沈佺期《有所思》詩:“君子事行役, 再空芳歲期. 美人曠延佇, 萬里浮雲思.”7.空缺. 《孟子·離婁上》:“曠安宅而弗居, 舍正路而弗由, 哀哉!” 北魏楊衒之《洛陽伽藍記·平等寺》:“宸極不可以曠, 神器豈容無主?”《古今小說·裴晉公義還原配》:“老夫不能杜絶饋遺, 以致足下久曠琴瑟之樂, 老夫之罪也.”9.指使窮匱. 《國語·越語下》:“無曠其衆, 以爲亂梯.”11.遠離;疏遠. 《呂氏春秋·長見》:“莧譆數犯我以義, 違我以禮, 與處則不安, 曠之而不穀得焉.” 陳奇猷校釋:“‘曠’字與‘處’對文, 當訓爲遠.” 三國魏曹植《浮萍篇》:“在昔蒙恩惠, 和樂如瑟琴;何意今摧頽, 曠若商與參.” 元揭傒斯《與蕭維斗書》:“天生賢哲, 常曠數百載不一二見.”12.長久, 久遠. 《文選·陸機〈爲顧彦先贈婦〉詩之二》:“形影參商乖, 音息曠不達.” 李善注引《廣雅》:“曠, 久也.” 唐韓愈《平淮西碑》:“外多失朝, 曠不嶽狩, 百隸怠官, 事亡其舊.”13.豁達. 晉向秀《思舊賦》:“嵇志遠而踈, 呂心曠而放.” 宋張端義《貴耳集》卷下:“漢人尙氣好博, 晉人尙曠好醉.” 淸嚴有禧《漱華隨筆·先太仆》:“觀此可以見先王父讀書之勤, 襟期之曠矣.”14.荒涼, 荒蕪. 晉左思《魏都賦》:“伊洛榛曠, 崤函荒蕪.” 唐太宗《答趙郡王孝恭等請封禪手詔》:“田疇多曠, 倉廩猶虛.” 參見“曠蕪”. 15.指無妻的成年男子. 亦指無夫的成年女子. 《後漢書·荀爽傳》:“通怨曠, 和陰陽.” 明孫仁孺《東郭記·鉆穴隙》:“奴非怨女君非曠, 慢勞相訪.”16.指成年男子無婦獨居. 《新唐書·狄仁傑傳》:“行役既久, 怨曠者多.” 李劼人《死水微瀾》第五部分二:“他因爲曠久了, 所以對於嫖字, 更爲起勁.” 參見“曠女”. .
「閒適】亦作“間適”. 亦作“閑適”. 淸閑安逸;優遊自在. 唐白居易《與元九書》:“至於‘諷諭’者, 意激而言質;‘閑適’者, 思澹而詞迂:以質合迂, 宜人之不愛也.” 宋蘇軾《與監丞事書》:“君自名臣子, 才美漸著, 豈復久浮沉里中, 宜及今爲樂. 異時一爲世故所縻, 求此閒適, 豈可復得耶?” 淸宣鼎《夜雨秋燈錄續集·石郞蓑笠墓》:“時以短笛自娛, 意亦閒適.” 郁達夫《一個人在途上》:“這一年的暑假, 總算過得最快樂, 最閑適.”
「杖屨】1.手杖與鞋子. 古禮, 五十歲老人可扶杖;又古人入室鞋必脫於戶外, 爲尊敬長輩, 長者可先入室, 后脫鞋. 《禮記·曲禮上》:“侍坐於君子, 君子欠伸, 撰杖屨, 視日蚤莫, 侍坐者請出矣.” 鄭玄注:“撰猶持也.” 孔穎達疏:“撰杖屨者, 則君子自執杖, 在坐著屨.”《舊唐書·宦官傳·楊㚆恭》:“詔復恭致仕, 賜杖屨.”2.對老者、尊者的敬稱. 唐杜甫《詠懷》之二:“南爲祝融客, 勉强親杖屨, 結託老人星, 羅浮展衰步.”仇兆鼇注:“盧注:衡山有祝融峰, 董鍊師在焉, 故思一親其杖屨.” 宋司馬光《祭穎公文》:“承乏諫垣, 造請有禁, 不親杖屨, 殆將再期, 豈意一朝忽爲永訣.”3.拄杖漫步. 唐杜甫《祠南夕望》詩:“興來猶杖屨, 目斷更雲沙.” 宋辛棄疾《水調歌頭·盟鷗》詞:“先生杖屨無事, 一日走千回.” 明許時泉《同甲會》:“杖屨問從何處, 蒼山赤葉林丘.”
「口授】1.口頭傳授. 《漢書·藝文志》:“仲尼思存前聖之業……有所襃諱貶損, 不可書見, 口授弟子, 弟子退而異言.” 唐韓愈《答殷侍御書》:“前者蒙示新注《公羊春秋》, 又聞口授指略, 私心喜幸.” 吳晗《燈下集·古人讀書不易》:“只能憑老師口授, 自己筆記.”2.口頭說, 叫別人寫. 《三國志·蜀志·王平傳》:“平生長戎旅, 手不能書, 其所識不過十字, 而口授作書, 皆有意理.”《魏書·高祖孝文帝紀下》:“才藻富贍, 好爲文章, 詩賦銘頌, 任興而作. 有大文筆, 馬上口授, 及其成也, 不改一字.” 杜鵬程《在和平的日子里》第三章:“小秦說:‘……你認爲這樣好, 就這樣辦. 你口授命令吧.’” 劉賓雁《本報內部消息(續篇)》:“總編輯叫他寫三篇社論, 口授了社論的中心內容.”
「指畫】1.亦作“指寡”. 用手指示意. 《墨子·明鬼下》:“昔夏王桀, 貴爲天子, 富有天下, 有勇力之人, 推哆大戲, 生列兕虎, 指畫殺人.”《墨子·明鬼下》:“有勇力之人, 費中、惡來、崇侯虎, 指寡殺人.” 孫詒讓間詁:“上說‘推哆大戲’作‘指畫’. 畢云:‘寡, 畫字假音. 《太平御覽》引作畫.’”2.指點, 規劃. 《禮記·玉藻》:“凡有指畫於君前, 用笏.” 宋陸遊《老學庵筆記》卷六:“王性之記問該洽, 尤長於國朝故事, 莫不能記. 對客指畫誦說, 動數百千言.”《警世通言·金令史美婢酬秀童》:“天將又蘸著酒在桌上寫出秀童二字;又向空中指畫, 詳其字勢, 亦此二字.”《紅樓夢》第一○二回:“法師下壇……灑了法水, 將劍指畫了一回.”3.見“指頭畫”. 《北齊書·神武帝紀下》:“諸將出討, 奉行方略, 罔不克捷, 違失指畫, 多致奔亡.” 宋葉適《陳秀伯墓志銘》:“紹興六年……三月, 復上兵書, 指畫利害尤急.” 淸昭槤《嘯亭雜錄·宋總兵》:“公獨能聚米借籌, 歷歷指畫.”續范亭《如是我聞》詩:“公來詳指畫, 決心務墾殖.”
「造謁】1.拜訪進見. 晉袁宏《後漢紀·獻帝紀二》:“同郡陳仲擧名重當時, 鄕里後進莫不造謁, 邵獨不詣.”《舊唐書·陸元方傳》:“太平公主時既用事, 同時宰相蕭至忠、岑羲及湜等咸傾附之, 唯象先孤立, 未嘗造謁.” 淸周亮工《書影》卷三:“海內人士, 踵門造謁, 仲言每一晉接, 歷久不忘.”2.參拜. 明李東陽《<闕里志>凡例》:“歷代賢臣名士造謁林廟, 碑記、祭告、題詠之作, 皆所以表尊崇、識修建、紀遊歷.”
「設施】1.措置;籌劃. 《淮南子·兵略訓》:“晝則多旌, 夜則多火, 暝冥多鼓, 此善爲設施者也.” 唐柳宗元《答周君巢書》:“宗元始者講道不篤, 以蒙世顯利, 動獲大僇, 用是奔竄禁錮, 爲世之所詬病, 凡所設施, 皆以爲戾, 從而吠者成群.”《三國演義》第一○二回:“懿喚諸將曰:‘孔明如此設施, 其中有計.’” 淸和邦額《夜譚隨錄·碧碧》:“飛磚擲礫, 攻擊久之. 母置若罔聞, 翁媼亦覺索然, 但發恨聲, 曰:‘且去休, 且去休, 自有設施在後.’” 葉聖陶《倪煥之》十二:“如果敎育永遠照老樣子辦下去……那豈不是一輩子都不會有健全開明的社會了么? 於是對於目前的新設施, 竟同愛著生命一樣, 非堅決地讓它確立根基不可.”2.謂施展才能. 漢王充《論衡·定賢》:“有高才潔行, 無知明以設施之, 則與愚而無操者, 同一實也.” 唐羅隱《讒書·辨害》:“苟君臣上下之不正, 雖抱空器, 奚所設施?”《二刻拍案驚奇》卷三九:“而今世上只重著科目, 非此出身, 縱有奢遮的, 一槪不用, 所以有奇巧智謀之人, 沒處設施, 多趕去做了爲非作歹的勾當.”3.布施. 唐柳宗元《嶽州聖安寺無姓和尙碑》:“所設施者有問焉, 而以告曰:‘性, 吾姓也.’” 宋王安石《佛幻》詩:“佛幻諸天以戲之, 幢幡香花助設施.”4.爲滿足某種需要而建立起來的機構、系統、組織等. 《人民文學》1981年第3期:“押車的戰士要求我們讓讓路, 說是山內有軍事設施.”
「別墅】亦作“別壄”.
本宅外另建的園林住宅. 《晉書·謝安傳》:“安遂命駕出山墅, 親朋畢集, 方與玄圍棊賭別墅.” 唐李頎《裴嚴東溪別業》詩:“別墅臨都門, 驚湍激前後.” 元劉壎《隱居通議·騈儷二》:“既貴顯, 移家城內, 乃即故基剏別壄, 號倫魁堂以表之.” 楊沫《靑春之歌》第一部第三章:“在這魅人的大海旁邊閃著光彩奪目的美麗的別墅.”
「彙次】猶汇編. 明毛晉《<御覽詩>跋》:“唐至元和間, 風會幾更, 章武帝命采新詩備覽. 學士彙次名流, 選進妍豔短章三百有奇.”
「雋永】亦作“雋永”. 1.食物甘美有回味. 宋張世南《遊宦紀聞》卷九:“橄欖, 閩蜀俱有之. 閩中丁香一品, 極小, 雋永, 其味勝於蜀産.” 郭沫若《蘇聯紀行·六月廿日》:“大使館是租住的, 陳設相當堂皇. 喝一盞蓋碗的中國茶, 特別感覺著雋永.”2.書名. 《漢書·蒯通傳》:“通論戰國時說士權變, 亦自序其說, 凡八十一首, 號曰《雋永》.”顏師古注:“雋, 肥肉也;永, 長也. 言其所論甘美而義深長也.” 后以謂言語、詩文意味深長. 宋陸遊《午枕》詩:“書中至味人不知, 雋永無窮勝粱肉.” 明謝榛《四溟詩話》卷一:“<作詩>體貴正大, 志貴高遠, 氣貴雄渾, 韻貴雋永.” 朱自淸《短詩與長詩》:“短詩以雋永勝, 長詩以宛曲盡致勝.”3.指深長之意味. 金麻革《阻雪華下》詩:“愛山久成癖, 得山眞雋永.” 元薩都剌《經姑蘇與張天雨楊廉夫鄭明德陳敬初同遊虎丘山次東坡舊題韻》:“香積餉醍醐, 法喜得雋永.” 淸黃虞稷《行狀》:“先生於書, 四部六籍靡不綜擧, 摽新領異, 務歸雋永.”
「回味】1.食后的餘味. 宋王禹偁《橄欖》詩:“良久有回味, 始覺甘如飴.” 淸李漁《閑情偶寄·聲容·薰陶》:“殊不知荔之陳者, 香氣未嘗盡沒, 乃與橄欖同功, 其好處却在回味時耳.”2.引申爲在回憶中細細體會、玩味. 元張養浩《朝天曲》:“疎狂迂闊拙又癡, 今日才回味.” 張天翼《兒女們》:“那些人都沒言語, 像在回味廉大爺剛才那些話.”
「藻飾】1.修飾;裝飾. 《晉書·嵇康傳》:“身長七尺八寸, 美詞氣, 有風儀, 而土木形骸, 不自藻飾.” 唐劉禹錫《楚望賦》:“熙熙藹藹, 藻飾群形.”《明史·吳廷擧傳》:“衣敝帶穿, 不事藻飾.” 淸薛福成《出使四國日記·光緒十七年二月十四日》:“牆上藻飾精美, 山上古宮, 此其僅存者矣.”2.修飾文詞. 晉葛洪《抱朴子·黃白》:“且此內篇, 皆直語耳, 無藻飾也.” 南朝梁劉勰《文心雕龍·情采》:“莊周云‘辯雕萬物’, 謂藻飾也.” 柯靈《香雪海·訪問秋瑾的鄕親》:“她的詩不假藻飾, 可是感情磅礴, 豪氣逼人.”
*藻2.文采. 戰國楚宋玉《神女賦》:“被華藻之可好兮, 若翡翠之奮飛.”3.引申爲美好. 南朝宋鮑照《吳興黃浦亭庾中郞別》詩:“溫念終不渝, 藻志遠存追.”4.華麗的文辭. 《漢書·敘傳上》:“馳辯如濤波, 摛藻如春華.” 晉潘嶽《爲賈謐作贈陸機》詩:“曜藻崇正, 玄冕丹裳.” 淸朱錫《幽夢續影》:“讀古碑宜遲, 遲則古藻徐呈.”5.修飾. 晉張華《女史箴》:“斧之藻之, 克念作聖.”6.引申爲修養. 《後漢書·方術傳論上》:“陶搢紳, 藻心性.”7.品藻. 宋王讜《唐語林·文學》:“藻別人物, 知其鄕中賢愚出處.”.
「怪詭】怪異;奇異多變. 宋蘇軾《上曾丞相書》:“世之奇特之士, 其處也, 莫不爲異衆之行;而其出也, 莫不爲怪詭之詞.” 金段成己《崧陽歸隱圖》詩:“雲日互蔽虧, 百態呈怪詭.” 明宋濂《答章秀才論詩書》:“孟東野陰祖沈謝而流於蹇澀;盧仝則又自出新意, 而涉於怪詭.”
*詭1.責成;要求. 《管子·問》:“人有餘兵, 詭陳之行, 以愼國常.” 郭沫若等集校引章炳麟曰:“此言人有餘兵則責其陳之於行伍.”《漢書·陳湯傳》:“萬年自詭三年可成, 後卒不就, 群臣多言其不便者.”《後漢書·循吏傳·孟嘗》:“先時宰守幷多貪穢, 詭人採求, 不知紀極, 珠遂漸徙於交阯郡界.” 李賢注:“詭, 責也.”2.罪責. 《荀子·正論》:“是何也? 則求利之詭緩, 而犯分之羞大也.” 王先謙集解引郝懿行曰:“詭者, 責也. 言抇人塚墓以求利, 國法必加罪責也. 詭訓責, 古義也.”3.欺詐;假冒. 《呂氏春秋·勿躬》:“人主知能、不能之可以君民也, 則幽詭愚險之言無不職矣, 百官有司之事畢力竭智矣.”《新唐書·戴胄傳》:“時選者盛集, 有詭資蔭冒牒取調者, 詔許自首.” 淸周亮工《書影》卷九:“此質兒者, 詭不義以行義, 厚矣.”4.奇異;差異. 《莊子·齊物論》:“是其言也, 其名爲弔詭.” 郭慶藩集釋引盧文弨曰:“詭, 九委反, 異也.”《淮南子·說林訓》:“水雖平, 必有波;衡雖正, 必有差;尺寸雖齊, 必有詭.” 高誘注:“詭, 不同也”. 明歸有光《卓行錄序》:“第取其俶詭異常之事, 而不爲科條.”
「臺閣】1.台與閣的幷稱. 亦泛指亭台樓閣等建筑物. 漢劉向《說苑·反質》:“今陛下奢侈失本, 淫泆趨末, 宮室臺閣, 連屬增累.” 唐羅鄴《舊侯家》詩:“臺閣層層倚半空, 遶軒澄碧御溝通.”2.漢時指尙書台. 后亦泛指中央政府機構. 《後漢書·仲長統傳》:“光武皇帝慍數世之失權, 忿彊臣之竊命, 矯枉過直, 政不任下, 雖置三公, 事歸臺閣.” 李賢注:“臺閣, 謂尙書也.” 宋王安石《送李宣叔倅漳州》詩:“朝廷尙賢俊, 磊砢充臺閣.”3.宋代酒庫於每年迎引新酒時所擧行的遊藝活動. 宋周密《武林舊事·迎新》:“戶部點檢所十三酒庫, 例於四月初開煮, 九月初開淸, 先至提領所呈樣品嘗, 然後迎引至諸所隸官府而散. 每庫各用匹布書庫名高品, 以長竿懸之, 謂之‘布牌’;以木牀鐵擎爲仙佛鬼神之類, 駕空飛動, 謂之‘臺閣’.”
「超邁】1.超越;勝過. 《梁書·武帝紀下》:“文質彬彬, 超邁今古.” 明李時勉《<犁眉公集>序》:“傷今悼古, 牢籠百態, 可以超邁當世者, 則於《覆瓿集》見之.”中國近代史資料叢刊《太平天國·太平救世歌》:“天聰天明, 知識超邁凡衆.”2.卓越高超;不同凡俗. 唐顏眞卿《崔孝公宅陋室銘記》:“以所試超邁, 擢拜左補闕.” 明楊愼《數往者順知來者逆》:“此解極爲超邁, 自唐宋諸儒未有是說也.” 魯迅《集外集拾遺·<浮士德與城>後記》:“所以從或一意義說, 他的藝術是平凡的, 不及同時代人的高翔之超邁.”3.豁達豪放. 宋羅大經《鶴林玉露》卷十三:“然樂天醞藉, 東坡超邁, 正自不同.” 金王若虛《文辨三》:“夫以一日千里之勢, 隨物賦形之能, 而理盡輒止, 未嘗以馳騁自喜, 此其橫放超邁而不失爲精純也邪?” 淸惲敬《前翰林院編修洪君遺事述》:“君長身火色, 性超邁, 歌呼飲酒, 怡怡然. 每興至, 凡朋儕所爲皆掣亂之爲笑樂.”
「卓絶】超過一切, 無與倫比. 漢班固《典引》:“而炳諸典謨, 以冠德卓絶者, 莫崇乎陶唐.” 唐韓愈《進撰平淮西碑文表》:“竊惟自古神聖之君, 既立殊功異德, 卓絶之跡, 必有奇能博辯之士, 爲時而生, 持簡操筆, 從而寫之.” 淸平步靑《霞外攟屑·言大非夸》:“行詣卓絶, 文詞瑰偉.”茅盾《創造》二:“她的優雅的擧止, 有敎育的談吐, 廣闊的知識, 淸晰的頭腦, 活潑的性情, 都證明她是君實的卓絕的創造品.”
「通顯】謂官位高、名聲大. 《後漢書·應劭傳》:“自是諸子宦學, 幷有才名, 至瑒七世通顯.” 宋王讜《唐語林·補遺一》:“由是囂浮之譽, 徧於搢紳, 竟不通顯.” 淸納蘭性德《金縷曲·再贈梁汾》詞:“高才自古難通顯, 枉敎他、堵墻落筆, 凌雪書扁.” 魯迅《且介亭雜文二集·六朝小說和唐代傳奇文有怎樣的區別?》:“晉人尙淸談, 講標格, 常以寥寥數言, 立致通顯.”
*膴1.美厚. 引申謂高官厚祿. 淸李漁《閑情偶寄·頤養·行樂》:“噫, 天何惜於一閒, 以補富貴榮膴之不足哉.” 參見“膴仕”. 2.肥沃;茂盛. 淸鈕琇《觚賸·荔根屛》:“粵土疎而沃, 名花珍果, 是處繁膴.” 參見“膴膴”.
「膴仕】高官厚祿. 《詩·小雅·節南山》:“瑣瑣姻亞, 則無膴仕.” 毛傳:“膴, 厚也.” 鄭玄箋:“瑣瑣昏姻妻黨之小人, 無厚任用之, 置之大位, 重其祿也.” 宋王安石《節度使加宣徽制》:“比以明揚, 屢更煩使, 遂躋膴仕, 良副訐謨.” 淸趙翼《故人》詩:“故人多膴仕, 快若凌風舸.” 康有爲《大同書》己部第一章:“而輿馬、僕從、服食、應酬、租賃所費不貲, 自非膴仕優差, 大商素封, 其能竭其勞力可資孝養者, 蓋亦無幾矣.”
*躋1.升登, 達到. 《易·震》:“躋於九陵.” 孔穎達疏:“躋, 升也.” 三國魏曹植《應詔詩》:“西躋關谷, 或降或升.” 唐韓愈《順宗實錄五》:“以皇帝天資仁孝, 日躋聖敬.” 明方孝孺《菊趣軒記》:“使數千里之民, 樂生循禮, 躋乎仁壽之域.” 李劼人《大波》第一部第三章二:“他們認爲像一八六一年意大利和平統一的辦法很好, 既合乎孔孟的‘大一統’‘定於一’的道理, 而又輕輕松松地躋於富强.”3.逾越, 超越. 《左傳·文公二年》:“八月丁卯, 大事於大廟, 躋僖公, 逆祀也.” 杜預注:“躋, 升也. 僖公, 閔公庶兄, 繼閔而立, 廟坐宜次閔下, 今升在閔上, 故書而譏之.”《新唐書·沈既濟傳》:“中宗嗣位在太后前, 而敘年製紀反居其下, 方之躋僖公, 是爲不智.” 明瞿式耜《酌定監司位置疏》:“臣非欲添設右轄一官, 直謂閎中(沈閎中)破格歷階, 未便越右躋左, 故以右銜管左事, 此較便也.”《辛亥革命前十年間時論選集·論外交之進化》:“物質之進化……而其形式亦早脫無機之界, 則躐級而躋, 亦非妄想.”5.踐踏, 踩. 《類說》卷四九引唐盧言《盧氏雜說》:“一夜家具幷躋破.” 許地山《危巢墜簡·解放者》:“他不提防在葦叢里躋著一個深水坑, 全身掉在里頭, 翻不過身來, 就淹死了.”6.跌倒;下墜. 《史記·宋微子世家》:“今女無故告子, 顛躋如之何其?”裴駰集解引馬融曰:“躋, 猶墜也.”
*顯1.明;光明. 《書·太甲上》:“先王昧爽, 丕顯, 坐以待旦.” 孔傳:“爽、顯, 皆明也.”《詩·大雅·抑》:“無曰不顯, 莫予云覯.” 鄭玄箋:“顯, 明也.” 孔穎達疏:“‘《釋詁》……又云顯, 光也.’是顯得爲明也.”2.顯露;公開. 《北史·獨孤信傳》:“以其名望素重, 不欲顯其罪過, 逼令自盡於家.”《新唐書·卓行傳·陽城》:“城顯語曰:‘延齡爲相, 吾當取白麻壞之, 哭於廷.’”《資治通鑑·漢獻帝建安四年》:“袁紹遣人招張繡, 幷與賈詡書結好. 繡欲許之, 詡於繡坐上顯謂紹使.” 胡三省注:“顯者, 明言之於稠人中也.” 參見“顯然”. 5.高貴;顯赫. 《孟子·離婁下》:“問其與飲食者, 盡富貴也, 而未嘗有顯者來.” 朱熹集注:“顯者, 富貴人也.” 漢王充《論衡·自紀》:“世能知善, 雖賤猶顯.” 唐杜甫《送重表侄王砅評事使南海》詩:“爾祖未顯時, 歸爲尙書婦.”
*通1.到達;通到. 《國語·晉語二》:“道遠難通, 望大難走.” 韋昭注:“通, 至也.”《三國志·蜀志·諸葛亮傳》:“荊州北據漢沔, 利盡南海, 東連吳會, 西通巴蜀.” 金元好問《緱山置酒》詩:“西望洛陽城, 大路通平津.” 喬典運《村魂》:“張家村前邊有一條公路, 往南通地區, 往北通縣城.”20.顯達;亨通. 《莊子·秋水》:“我諱窮久矣, 而不免, 命也;求通久矣, 而不得, 時也.”《後漢書·楊終翟酺等傳論》:“翟酺資譎數取通, 而終之以謇諫.” 唐韓愈《送許郢州序》:“後進之士, 得人而託之, 則事業顯而爵位通.” 明沈采《千金記·抱怨》:“韜略藴胸中, 爭奈時運不通.”
「舂容】1.用力撞擊. 《禮記·學記》:“善待問者如撞鐘, 叩之以小者則小鳴, 叩之以大者則大鳴;待其從容, 然後盡其聲.” 鄭玄注:“‘從’, 讀如‘富父舂戈’之‘舂’. 舂容, 謂重撞擊也.”2.聲音悠揚洪亮. 唐張說《山夜聞鍾》詩:“前聲既舂容, 後聲復晃盪.” 宋王禹偁《籍田賦》:“太簇之樂, 奏之而舂容.” 明何景明《聽琴篇》:“含官移羽何舂容, 冷冷萬壑吟風松.”3.指香氣飄揚. 宋范成大《望海亭賦》:“燕香舂容, 俗客莫陪.”4.猶溶溶. 形容月光蕩漾. 宋范成大《次韻知郡安撫元夕賞倅廳紅梅》之二:“晴日暖雲春照耀, 溫風霽月夜舂容.”5.舒緩從容. 元祖銘《徑山五峰·大人峰》詩:“五髻生雲雨, 鎮踞何舂容. 具此大人相, 題爲大人峰.” 明胡應麟《詩藪·近體下》:“至意當含蓄, 語務舂容, 則二者一律也.” 淸厲鶚《東城雜記·葉居仲》:“若公之詩文, 尤舂容浩瀚.”6.閑雅. 淸邵玘《浣溪沙·秋閨》詞:“西風依約到簾櫳, 晩妝情態儘舂容.”
「舂容大雅】指文章氣度雍容, 用辭典雅. 淸紀昀《閱微草堂筆記·槐西雜志四》:“宋末文格猥瑣, 元末文格纖穠, 故宋景濂諸公, 力追韓歐, 救以舂容大雅.”
「鏗金戛玉】形容文詞音節鏗鏘, 不同凡響. 淸周亮工《書影》卷一:“張菉居曰:明詩四變……吾豫當初變時, 一人起而左右北地, 鏗金戛玉, 至今踔厲詞壇.”亦作“鏗金霏玉”. 淸鈕琇《觚賸·樵隱》:“崔出《樵隱近詠》相示……黃不覺驚賞曰:‘此眞鏗金霏玉之音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