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5/30 2

하서 김인후 선생 연보

하서선생전집부록 권3 연보(年譜) 대명(大明) 무종황제(武宗皇帝) 정덕(正德) 5년(1510)-국조(國朝) 중종대왕(中宗大王) 5년- 경오년 가을 7월 임인일–19일 신시(申時)-에 선생이 장성현(長城縣) 대맥동리(大麥洞里)의 사제에서 태어났다.선생이 처음 태어났을 때 모습이 단정하고 기품이 크고 후하였으니, 아버지 참봉공(參奉公)이 기특하게 여기고 사랑하였다. 정덕 6년(1511) 신미년-선생의 나이 2세이다.- 혹 질병이 있어 부모가 약을 먹이면 쓰더라도 반드시 삼켰다. 정덕 7년(1512) 임신년-선생의 나이 3세이다.- 동복(僮僕)에 업혀 갈 적에 가고 싶지 않으면 반드시 화를 내고 울었다. 돌아올 적에 반드시 온 길을 가리키며 지름길로 다니지 않게 하였다. 정덕 8년(1513) 계유년-선생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5.30

오남선생문집 9, 10 잡저

吾南先生文集卷之九 雜著 經理管見 易>艮之象曰: “君子思不出其位.” 魯論>曰: “不在其位, 不謀其政.” 孟子>曰: “位卑而言高罪也.” 夫以有位者言之, 道理當如是. 矧草野之人, 篤守常業而已, 豈敢以妄論先王憲章、時政得失也? 然爲儒者, 旣讀古人之書, 不可不講明修己治人之術, 而用之則行, 舎之則藏, 窮則獨善其身, 達則兼善天下. 故大學>之道, 在於明德新民, 而夫子亦嘗曰不患無位, 患所以立. 人若不識經世大方, 而設或得侍從宰輔之位, 何由能盡其職分所當爲, 而致格君澤民之功業, 躋一世於熙皥之域耶? 是以伊尹耕於莘野而樂堯舜之道, 顔淵處於陋巷而問爲邦之政, 此豈皆以出位論之也? 噫! 余以遐土賤蹤, 愚柔怠惰, 旣莫能野人本分, 又莫能儒者志業, 而悠悠泛泛, 奄過中身, 志氣俱衰, 鬢髮亦皓, 生旣無益, 死亦何惜? 只當聽天而已. 病苦之暇, 每閱..

카테고리 없음 2025.05.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