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초사

초혼

황성 2013. 12. 3. 14:35

招魂  騷客

2012/11/27 17:02

복사 http://blog.naver.com/iiha/10153007885

전용뷰어 보기

招魂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내 어릴 적부터 바르고 깨끗함으로 맑게 살아

몸소 義를 따름에 그치지 않았노라.

이렇게 훌륭한 덕을 지켜 왔거늘

속세의 잡초같은 무리들에 끌려다니게 되어도.

임금께서 이런 훌륭한 덕을 헤아리지 않으시매 

화를 만나 오랫도록 근심과 고통 속에 있었더니.

**********

 

천제께서 무양巫陽에게 이르시되,

저 아래 하계에 사람이 있어

내가 그 사람을 돕고자 하거늘

이 떨어지고 백이 흩어지니

그대는 점을 쳐서 그가 있는 곳을 알아 볼지라.

무양이 천제님께 아뢰기를

그 일은 掌夢의 관리가 맡은 바라

상제님의 그 명은 따르기 어려워라.

만일 점을 쳐서 알아낸다 할지라도

두려워 하는 바는 혼백이 떠나버린 뒤라면

무양으로서는 점을 다시 칠 수 없음이라.

 

朕幼清以廉潔兮,身服義而未沬。

主此盛德兮,牽于俗而蕪穢。

上無所考此盛德兮,長離殃而愁苦。

 

帝告巫陽曰:“有人在下,我欲輔之。

魂魄離散,汝筮予之。”

巫陽對曰:“掌夢上帝其難從。

若必筮予之,恐後之謝,不能複用巫陽焉。”

 

이에 하계에 내려와 혼을 부르나니,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그대의 육신을 떠나서는, 무엇 때문에 사방을 떠도시는가.

그대의 즐거운 곳을 두고는, 그런 좋지 않은 곳에 걸리어 계시는가.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동쪽은 몸 붙이고 있을 곳이 못되나니,

천 길 키의 장인長人국 사람들이 오직 사람의 혼만을 찾아 다니며

열개의 햇님이 번갈아 나와 무쇠도 녹아 흐르며 돌도 녹아 내리니

그들은 모두 몸에 익어 탈 없지만 혼들이 가면 반드시 녹아버리거늘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그 곳은 몸 붙이고 있을 곳이 못되나니,

 

乃下招曰:魂兮歸來!

去君之恒幹,何爲乎四方些?

舍君之樂處,而離彼不祥些。

 

魂兮歸來!東方不可以託些。

長人千仞,惟魂是索些。

十日代出,流金鑠石些。

彼皆習之,魂往必釋些。

歸來歸來!不可以託些。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남쪽도 머뭇거릴 수 없나니

이마에 문신하고 이빨 검게 물들인 이들이 사람 잡아 그 고기로 제사 지내며 뼈는 추려 젖을 담고.

큰 독사 살무사가 우글거리며 커다란 여우는 천리를 뛰어 달리고

대가리가 아홉인 흉측한 이무기는 눈깜짝 할 새 오가며 사람을 집어삼켜 배를 채우거늘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그 곳은 오랫동안 머무를 곳 못되나니.

 

魂兮歸來!南方不可以止些。

雕題黑齒,得人肉以祀,以其骨爲醢些。

蝮蛇蓁蓁,封狐千里些。

雄虺九首,往來鯈忽,吞人以益其心些。

歸來歸來!不可以久淫些。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서쪽도 사람을 해치니

모래가 흘러내는데 길이가 천리라. 

머뭇거리다가 뇌연에 빨려 들어가면 몸이 부숴지니 쉴 수가 없는 곳이라.

다행히도 그 곳을 벗어난다해도, 그 바깥은 또다시 아득한 벌판이니.

코끼리만한 붉은 왕개미와, 단지만한 시커먼 벌 때문에

곡식들도 살지 못해,

먹을 것이라고는 떨기나 왕골이라.

그 땅에는 살갗이 익으며, 물도 얻을 곳이 없나니.

헤메어 봐도 의지할 곳 없고 너무도 크고 넓어 끝이 없거늘.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스스로 해침을 당할까 두렵나니.

 

魂兮歸來!西方之害,流沙千里些。

旋入雷淵,麋散而不可止些。

幸而得脫,其外曠宇些。

赤蟻若象,玄蜂若壺些。

五榖不生,藂菅是食些。

其土爛人,求水無所得些。

彷徉無所倚,廣大無所極些。

歸來歸來!恐自遺賊些。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북쪽도 머뭇거릴 수 없나니

얼음은 산처럼 첩첩이 벋어 있고, 눈은 천리를 날리우니.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그 곳은 오랫동안 머무를 곳 못되나니라.

 

魂兮歸來!北方不可以止些。

增冰峨峨,飛雪千裏些。

歸來歸來!不可以久些。

 

혼이여, 돌아오시라, 그대는 하늘에도 올라 갈 수 없나니

호랑이 표범이 천문을 지키는데 올라오는 사람마다 물어뜯어 해치니라.

대가리가 아홉인 사내가 구천 그루 나무를 뽑아대고

세로 눈을 한 늑대와 이리가 씩씩거리며 오가며

사람을 물고 희롱하다가 깊은 연못에 던져 버리고는

천제께 아뢰고 나서야 잠에 드나니.

 

魂兮歸來!君無上天些。

虎豹九關,啄害下人些。

一夫九首,拔木九千些。

狼從目,往來侁侁些。

懸人以娭,投之深淵些。

致命于帝,然後得瞑些。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그곳에 가면 그 몸이 위태롭나니

혼이여, 돌아오시라 그대는 황천에도 내려 갈 수 없으니

황천의 토백은 그 몸을 아홉 마디 구부리며 뾰족한 뿔이 있고

두꺼운 등짝에 피묻은 엄지손가락으로 사람을 뒤쫓아 내달리며

호랑이 대가리에 세 개의 눈이 달렸고 몸뚱이는 소같은데

사람을 맛있게 먹나니.

돌아오시라, 돌아오시라 스스로 재앙을 당할까 두렵나니.

 

歸來歸來!往恐危身些。

魂兮歸來!君無下此幽都些。

土伯九約,其角觺觺些。

敦脢血拇,逐人駓駓些。

參目虎首,其身若牛些。

此皆甘人,歸來歸來!恐自遺災些。

 

*********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영도의 성문으로 들어오시라

공축工祝이 소리 높여 그대 부르며 그대 앞을 인도해 주리니.

진나라 채롱에 제나라 비단실 정나라에서 만든 채롱 꾸밀 망사

혼백을 부를 차비를 다 갖추어 놓고서 휘파람 길게 불며 큰 소리로 부르니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그대 살던 옛집으로  돌아오시라

 

魂兮歸來!入修門些。

工祝招君,背行先些。

秦篝齊縷,鄭綿絡些。

招具該備,永嘯呼些。

魂兮歸來!反故居些。

  

천지와 사방에는 그대를 해치려는 도적들 뿐이건만

방에 모셔 둔 그대의 초상은 고요한 가운데 편안히 쉬고 계시네

높다란 집에, 깊숙한 방, 난간 위로 겹겹이 처마가 둘러 싸고,

층층이 쌓아 올린 우뚝 선 정자를, 높은 산에서 바라보면

붉게 칠한 격자 문짝이며 문미에도 문양을 새겼구나.

 

天地四方,多賊奸些。

像設君室,靜閑安些。

高堂邃宇,檻層軒些。

層臺累榭,臨高山些。

網戶朱綴,刻方連些。

  

겨울에는 겹 지붕의 집에, 여름에는 서늘한 방에,

골짝이의 냇물 흘러가다 돌아가니 맑은 물이 빠르게 흐르네.

비 온 후의 맑은 바람 혜초를 흔들다가 난초들도 흔들다가

당을 지나 서남쪽 모퉁이에 들어서니 붉은 막 처진 잔치 자리라.

돌 집에 물총새 깃털장식 옥으로 다듬은 옥갈고리에 걸어놓고

비취 깃 수를 놓고 진주 입힌 도포 한꺼번에 빛을 뿜어 눈이 부시구나.

부들자리 깔았는데 벽에는 발을 둘러치고 아롱진 비단휘장 드리우고

가는 실로 엮어 짠 비단 끈을 매고 옥구슬로 휘장을 꾸몄구나.

 

冬有突廈,夏室寒些。

川谷徑複,流潺湲些。

光風轉蕙,汜崇蘭些。

經堂入奧,朱塵筵些。

砥室翠翹,挂曲瓊些。

翡翠珠被,爛齊光些。

蒻阿拂壁,羅幬張些。

纂組綺縞,結琦璜些。

 

방안을 둘러보니 갖은 보배와 기이한 것들이 가득한데

난초 기름으로 환하게 밝힌 불 아래 늘어선 아름다운 여악공들

양 쪽에 여덟 명씩 줄지어 세워두고 싫증 나면 번갈아 즐겁게 하네.

아홉 제후들의 어여쁜 따님들이 날듯이 몰려와 가득한데

귀밑머리 제 멋따라 꾸미고서 방안을 가득히 채웠구나.

어여쁜 얼굴에 귀여운 모습들 고분고분 사이좋게 차례를 바꾸니

부드러운 얼굴에 단단한 마음에 말은 진솔하며 예의도 바르구나.

어여쁜 모습에 날씬한 몸매 그윽한 방에 가득하니.

나방 같은 눈썹 치켜 뜨며 그윽하게 바라보니.두 눈이 반짝거리고

팽팽한 얼굴에 매끄러운 살결 아득히 훔쳐보는 까만 눈동자

그대가 한가할 때에도 곁에서 모시나니.

 

室中之觀,多珍怪些。

蘭膏明燭,華容備些。

二八侍宿,射遞代些。

九侯淑女,多迅衆些。

盛鬋不同制,實滿宮些。

容態好比,順彌代些。

弱顔固植,謇其有意些。

姱容修態,絙洞房些。

蛾眉曼睩,目騰光些。

靡顔膩理,遺視矊些。

離榭修幕,侍君之閑些。

 

높은 당에는 물총새 고운 깃털로 꾸민 휘장에

붉고 흰 벽칠에 단사로 그린 난간 대들보는 흑옥으로 꾸몄는데.

고개 들어 서까래를 쳐다보면 용 그림, 뱀 그림 문채어려 눈부시고

당 위로 올라 난간에 기대니 구비진 연못이 보이네.

 

翡帷翠帳,飾高堂些。

紅壁沙版,玄玉梁些。

仰觀刻桷,畫龍蛇些。

坐堂伏檻,臨曲池些。

芙蓉始發,雜芰荷些。

紫莖屏風,文緣波些。

文異豹飾,侍陂陛些。

軒辌既低,步騎羅些。

蘭薄戶樹,瓊木籬些。

 

연꽃은 막 피어나 마름풀과 어울려 떠있고

보랏빛 줄기 물풀이 한들거리니 잔물결이 무늬를 이루는구나.

호랑이 표범가죽 색다른 옷차림 시종들이 섬돌 아래 늘어섰고

덮개를 내려놓고 기다리는 수레엔 보병과 기병들 줄지어 있구나

문 앞에는 빽빽이 난초를 심어놓고 옥수를 둘러 심어 울타리를 해놓았네

혼이여, 돌아오시라. 어째서 그렇게 먼 곳으로 가야 했던가.

芙蓉始發,雜芰荷些。

紫莖屏風,文緣波些。

文異豹飾,侍陂陛些。

軒輬既低,步騎羅些。

蘭薄戶樹,瓊木籬些。

魂兮歸來!何遠爲些?

 

돌아오면 일가들이 그대를 우러러 갖은 솜씨로 음식을 차려 내니

찰벼, 메기장에 익은 보리 먼저 거두어 메조와 함께 섞어 밥을 짓고

장국에는 산초 생강 짜고 신것 맵고 단 것 모두 맛내리라

살찐 소 심줄 살을 끊어다가 끓이는 향기로운 냄새며

신맛, 쓴 맛 주물러 맛있게 하여 솜씨 좋은 오나라식 국을 차려 놓았구나.

자라는 지지고 염소 새끼는 싸서 굽고 사탕수수 즙을 내니

초자로 고니와 들오리는 자작하게 끓이고 기러기와 왜가리는 기름으로 튀기네.

큰 자라와 들닭은 곰국으로 내니 감칠맛이 입에 슬슬 녹는구나.

동그란 중배끼와 달콤한 꿀떡 말린 기장 엿에 없는 것이 없구나.

 

室家遂宗,食多方些。

稻粢穱麥,挐黃粱些。

大苦鹹酸,辛甘行些。

肥牛之腱,臑若芳些。

和酸若苦,陳吳羹些。

炮羔,有柘漿些。

鵠酸臇鳧,煎鴻鸧些。

露雞臛蠵,曆而不爽些。

粔籹蜜餌,有餦餭些。

 

옥처럼 맑은 술에 술 떠는 구기 들고서 새모양 술잔에 가득 채워

찌꺼기는 버리고 맛좋은 청주 떠서 얼음 위에 채워둔 서늘한 맑은 술이로다

찰랑찰랑 넘치는 술통을 벌려 놓고 옥색 맑은 술을 마음대로 마시거니

돌아오시라, 옛 살던 집으로 모두가 공경해서 길이 화가 없으리라

  

안주 고루 차려놓고 주연이 한창인데 단아래 벌려 선 여악의 주악소리

쇠북을 차려놓고 북을 둥둥 울리며 새로 지은 노랫가락

섭강으로 들어가 채릉과 양하 세 가락을 뽑는다.

미녀들 벌써부터 얼큰히 취해서 어여쁜 그 얼굴에 빨갛게 꽃이 피었다

즐거운 빛을 띠고 아득히 흘겨보는  물결 같은 그 눈빛 추파를 보내준다

문채나는 비단옷 고운 차림 아름답고도 희한한 모습이도다

치렁치렁 긴 머리 어여쁜 살쩍 반지르르 윤기 흘러 눈부심에 빛난다.

 찌꺼기를 짜서 버린 맑은 술을 얼음과 같이 마시니

술의 맛이 맑고도 시원하도다.

화려한 술그릇이 이미 진열되어 있고,

또 붉은 빛깔의 술이 있으니옛집으로 다시 돌아오라.

모두가 그대를 존경하나니 해가 없으리라.

瑤漿蜜勺,實羽觴些。

挫糟凍飲,酎清涼些。

華酌既陳,有瓊漿些。

反故室,敬而無妨些。

肴羞未通,女樂羅些。

鍾按鼓,造新歌些。

《涉江》《采菱》發揚《荷些》。

美人既醉,朱顔酡些。

娭光眇視,目曾波些。

被文服纖,麗而不奇些。

長發曼鬋,《豐盍》陸離些。

  

여덟씩 두 줄로 벌려 선 무희들 일제히 일어서서 정나라 춤을 춘다.

낚싯대 엇갈리듯 치마를 돌리더니 옷자락 손에 잡고 천천히 내려온다.

생황과 비차 세차게 한창 어렸는데 숨 막히게 몰아치는 북소리로다

찌렁찌렁 흔들리어 궁전 뜰이 놀라고 이윽고 맑은 소리 격초를 뽑는다.

한소리 어울리는 오와 채의 민요 대려의 화한소리 뒤따라 나선다.

춤추고 노래하던 숱한 남녀들 어지러이 섞여 앉아 분별을 잃고

인끈 갓끈 풀어 던지고 너와 나 차별 없이 엉클어져 노는구나.

정나라와 위나라의 사랑스런 미녀들 모두가 여기 와서 뒤섞여 앉았는데

격초를 노래하던 쪽진 미녀가 유독 아름다워 맨 먼저 눈에 뛴다.

 

二八齊容,起鄭舞些。

衽若交竿,撫案下些。

竽瑟狂會,搷鳴鼓些。

宮廷震驚,發《激楚》些。

吳歈蔡謳,奏大呂些。

士女雜坐,亂而不分些。

組纓,班其相紛些。

鄭、衛妖玩,來雜陳些。

《激楚》之結,獨秀先些。

 

옥으로 만든 산가치 놀이와 상아로 만든 장기가 있고, 또한 육박이 있으매.

두 패로 나누어 서로 진격하여 쌍방이 맞붙어 물러 설 줄 모르고 

梟를 얻게되면 이기나니, 오백五白 나오라 외치는구나

 진나라에서 만든 물 소뿔 놀이 기구 주사위 놀이로 한낮을 보내며

북틀이 놀도록 쇠북을 땅땅 치고 노나무 비파줄을 퉁기어 울린다.

술을 즐겨 끝없이 권하거니 잡거니 밤낮을 술에 묻혀 즐겁게 논다

난초향 환한 기름불 밝혀놓고 아름답게 장식한 촛대 위에 놓고

마음 속 깊은 정을 서로 엮어 읊조리니 향기로운 그 마음 꽃다운 난초로다

사람들이 다 같이 진정을 풀어놓고 같은 마음으로 시를 외우면서

마시고 또 마시고 끝없이 기뻐함은 선조와 옛 벗을 즐겁게 하여서라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그대의 옛집으로 돌아오시라

 

菎蔽象棋,有六簙些。

分曹並進,遒相迫些。

成梟而牟,呼五白些。

晉制犀比,費白日些。

鍾搖虡,揳梓瑟些。

娛酒不廢,沈日夜些。

蘭膏明燭,華鐙錯些。

結撰至思,蘭芳假些。

人有所極,同心賦些。

酎飲盡歡,樂先故些。

魂兮歸來!反故居些。

  

亂에 말하기를

지난 해 초봄 강남으로 쫓겨 갈 때 녹두잎 마름 잎에 구리떼가 돋았는데

여강의 길을 뚫고 장박을 외로 지나 연못에 이 몸 서서 허허 벌판 바라보았다

푸른 말 가라말 사마 천승 줄따르고 곳곳에 켜 든 불길 하늘을 찌르는데

걷는 이 앞서 달려 사냥군을 인도하며 서서히 수레끌어 우편으로 돌아간다

왕과 함께 몽중에서 앞뒤의 일을 분담할 때 왕이 친히 살을 놓아 푸른 들소 놀랐도다

밤낮이 잇어져 세월 매어두지 못하는데

연못가에 난초 뻗어 길을 덮다 사라지리라

넘실대는 강물 위로 단풍나무 푸르구나

천리 밖을 바라보니 봄이건만 찢어지는 가슴

혼이시여, 돌아오시라 강남 땅이 슬퍼함이라.

 

亂曰:獻歲發春兮,汨吾南征。

  菉蘋齊華兮,白芷生。

  路貫廬江兮,左長薄。

  倚沼畦瀛兮,遙望博。

  青驪結駟兮,齊千乘,懸火延起兮,玄顔烝。

  步及驟處兮,誘騁先,抑騖若通兮,引車右還。

  與王趨夢兮,課後先。

  君王親發兮,憚青兕。

  朱明承夜兮,時不可淹。

  臯蘭被徑兮,斯路漸。

  湛湛江水兮,上有楓。

  目極千裏兮,傷春心。

  魂去歸來兮,哀江南。

 

 *******파란색은 초사보주임.

 

朕幼清以廉潔兮,身服義而未沬。
* 朕:나 我 고대 중국에서 일반적인 일인칭인 ‘나’의 뜻으로 쓰였는데,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의 자칭으로 정하였다. 제후왕諸侯王들은 자신을 ‘과인寡人’이라 함.
* 沫(mei4妹):微暗。引伸爲消減。
고대 중국에서는 일반 사람들도 ‘나’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던 말인데 시황제(始皇帝)가 중국을 통일한 후부터
황제에 한해서 쓰도록 정하여 이로부터 제후왕(諸侯王)들은 자신을 ‘과인(寡人)’이라고 하게 되었다.

朕은 나(我)이다.
淸은 그 뜻이 잡되지 않음이요, 廉은 그 행실이 바름이요, 潔은 그 몸이 더럽지 아니함이다. 服義는
仁義를 服行함을 이른다. 沫을 王氏는 그침(已․止)이라고 해석하였고 주자는 昧와 같은 글자로 보았다. 牽은 이끎이다.
茂穢는 밭을 갈지 않아서 풀이 많은 모양이다.

朕,我也。不求曰淸,不受曰廉,不汙曰潔。潔,一作絜。五臣云:皆代原爲辭。

沬,已也。言我少小修淸潔之行,身服仁義,未曾有懈已之時也。

 

主此盛德兮,牽于俗而蕪穢。
* 主:지키다(守、持有.)
* 蕪穢:잡초가 무성하여 거칠고 지저분하게 됨萎枯汙爛。이소에, 雖萎絶其亦何傷兮,哀衆芳之蕪穢。

牽,引也。不治曰蕪。多草曰穢。言己施行常以道德爲主,以忠事君,以信結交,而爲俗人所推引。

德能蕪穢,無所用之也。五臣云:主,守也。言己主執仁義忠信之德,爲讒佞所牽迫,使荒蕪穢汚而不得進。

  
上無所考此盛德兮,長離殃而愁苦。

 
* 上:指楚王。 離:遭遇。殃:禍患。
上은 임금을 가리키며, 考는 비교하거나 헤아림이다. 離는 걸림이요, 殃은 禍이다.

考,校。五臣云:上,君也。考,察也。殃,禍也。言己覆行忠信,而遇暗主。

上則無所考校己之盛德,長遭殃禍,愁苦而已也。離,一作罹。五臣云:罹,羅也。

 

帝告巫陽曰:“有人在下,我欲輔之。
帝:천제上帝。巫陽:古代神話中的巫師。人:指楚王。 輔:幫助。特指上天輔助人間帝王。
帝는 天帝를 말하며, 巫陽은 여자무당의 이름이다. 人 은 賢人인데, 굴원을 말한다. 筮는 시초점을 말한다.
謂天帝也。女曰巫,陽其名也。巫,一作●。五臣云:玉假立天帝及巫陽以爲辭端人,謂賢人,則屈原也。
宋玉上設天意,祐助貞良,故曰:帝告巫陽,有賢人屈原在於下方,我欲輔成其志,以厲黎民也。

  
魂魄離散,汝筮予之。”
筮予之:通過蔔筮知魂魄之所在,招還給予其人。
魂者,身之精也。●者,性之決也。所以經緯五藏,保守形體也。筮,卜問也。蓍曰筮。
《尙書》曰:決之蓍龜。言天帝哀閔屈原魂●離散,身將顚沛,故使巫陽筮問求索,得而與之,使反其身也。予,一作與。
尙書에“決之筮龜”라는 글이 보인다. 이 구절은 송옥이 천제와 무양의 말에 가탁하여 말의 단초를 연 것이다.
천제가 무양에게“현인이 아래에 있는데 내가 돕고자 한다. 그러나 그 혼백이 흩어져서 몸이 장차 顚沛되려 하므로
무양을 시켜서 점을 쳐서 있는 곳을 찾아서 구하여 그에게 혼백을 붙여주어서 몸을 회복시키라”고 한 것이다.
    
巫陽對曰:“掌夢上帝其難從。
掌夢:掌夢之官,實司其事。巫陽因其難招,故作托詞。
巫陽對天帝言,招魂者,本掌●之官所主職也。●,一作夢。言天帝難從掌●之官,欲使巫陽招之也。
一云其命難從。一云命其難從。
掌夢은 꿈풀이를 맡은 관리이다.
脫誤된 글자가 있어서 해석이 않되는 부분이다.

 

若必筮予之,恐後之謝,不能複用巫陽焉。”
若:너,巫陽을 말함。 謝:凋落。按:“若必筮予之”三句作爲上帝言語,首見項安世《項氏家說》,聞一多、陳子展從之。
焉乃:于是。按:“巫陽焉”屬此句。“焉乃”連文用王引之《經傳釋詞》說。

恐後之謝,一云謝之。一無「之」字。不能復用巫陽焉。」
謝,去也。巫陽言如必欲先筮問求魂●所在,然後與之,恐後世怠懈,必去卜筮之法,不能復修用,但招之可也。
五臣云:若必筮而招之,恐後代懈怠,去卜筮之法,但以招魂爲事。
陽意不欲以筮與招相次而行,以爲不筮而招,亦足可也。
(按王念孫《讀書雜志》餘下以不能復用四字爲句,以「巫陽焉乃下招曰」七字爲句。可備一說。)

 

乃下招曰:魂兮歸來!
이 부분은 실제로 招魂을 할 때의 무양의 말인 것으로 보인다.. 무양이 천제의 명을 받아서 하계에 내려와서
굴원의 혼을 부르는 것이다. 

巫陽受天帝之命,因下招屈原之魂。乃,一作因。還歸屈原之身。一作徠歸。

 

去君之恒幹,何爲乎四方些?
些:語尾助詞,讀音“唆”(suo)疑同今民歌中"啰"音。
恆,常也。幹,體也。《易》曰:貞者事之幹。五臣曰:君謂原也。
言魂靈當扶人養命,何爲去君之常體,而遠之四方乎?夫人須魂而生,魂待人而榮。二者別離,命則霣零也。
或曰:去君之恆閈。閈,里也。楚人名里曰閈也。一云:何爲乎四方。乎,一作兮。一注云:●待人而榮。
恒은 常, 幹은 體의 뜻이다. 歸來는 한편으로 來歸로 쓰이기도 한다. 些는 주술 어구 뒤에 쓰이는 語辭이다.
  
舍君之樂處,而離彼不祥些。
離:同“罹”,遭。
舍,置也。祥,善也。言何爲舍君楚國饒樂之處,而陸離走不善之鄕,以犯觸衆惡也。舍,一作捨。離,一作罹。
五臣云:捨,去也。罹,羅也。

 

魂兮歸來!東方不可以讬些。
託,寄也。《論語》曰:可以託六尺之孤。言東方之俗,其人無義,不可託命而寄身也。
託은 ‘의지하다’․‘의탁하다’의 뜻이다.

 

長人千仞,惟魂是索些。
七尺曰仞。索,求也。言東方有長人之國,其高千仞,主求人魂而食之也。惟,一作唯。五臣云:皆假立其惡,而甚言之。
七尺 혹은 八尺을 仞이라 한다. 長人은 동방에 사는 족속들로서 그 키는 千仞이나 되는데 사람의 혼을 먹는다 한다.
이 구절은 동방에는 혼을 잡아 먹는 長人들이 살기 때문에 의지할 곳이 아니며
 
十日代出,流金铄石些。
代,更。鑠,銷也。言東方有扶桑之木,十日並在其上,以次更行,其熱酷烈,金石堅剛,皆爲銷釋也。
열 개의 태양이 사는 扶桑이라는 나무가 있는데, 10개의 태양이 한꺼번에 떠오른다면 혼백이 金石을 녹일만하므로
혼백까지 흩으뜨리만한므로 머물 곳이 못된다고 말한 것이다.
 
彼皆習之,魂往必釋些。
釋,解也。言彼十日之處,自習其熱。魂行往到,身必解爛也。皆,一作自。

 

歸來歸來!不可以讬些。
不可以託些。言魂●宜急來歸,此誠不可以託附而居之也。一無「兮」字。一云:歸來歸來。

 

魂兮歸來!南方不可以止些。
言南方之俗,其人甚無信,不可久留也。

 

雕題黑齒,得人肉以祀,以其骨爲醢些。
雕題黑齒:額頭上刻花紋,牙齒染成黑色。指南方未開化的野人。題,額頭。 .醢(hai3海):肉醬。
雕,畫也。題,額也。黑,一作墨。五臣云:雕,鏤也。
醢,醬也。言南極之人,雕畫其額,齒牙盡黑,常食蠃■x,
得人之肉,用祭祀先祖,復以其骨爲醢醬也。一云:而祀。一云:得人以祀。無「肉」字。五臣云:醢,肉醬也。
雕는 문신을 새김이요, 題는 額과 뜻이다. 蝮蛇는 큰뱀이며, 蓁蓁은 積聚된 모양이다. 封狐는 큰 여우이다.
儵忽은 재빨리 달린다는 말이다.

 

蝮蛇蓁蓁,封狐千裏些。
蓁(zhen1真)蓁:樹木叢生貌,此指積聚在一起。 封狐:大狐。
蝮,大蛇也。蓁蓁,積聚之貌。
封狐,大狐也。言炎土之氣,多蝮虺惡蛇,積聚蓁蓁,爭欲齧人。又有大狐,健走,千里求食,不可逢遇也。
五臣云:大狐其長千里。

 

雄虺九首,往來鯈忽,吞人以益其心些。
虺(hui3毀):毒蛇。
首,頭也。五臣云:虺,亦蛇名。
鯈忽,疾急貌也。言復有雄虺,一身九頭,往來奄忽,常喜呑人魂●,以益其心,賊害之甚也。
鯈,一作倏。五臣云:益其心,助其毒也。
儵(shu1舒)忽:同“倏忽”,忽然。
益:補。


歸來歸來!不可以久淫些。
淫,遊也。言其惡如此,不可久遊,必被害也。一云:魂兮歸來。一云:歸來歸來,不可久淫。無「以」字。
五臣云:淫,淹也。
淫:久留。


魂兮歸來!西方之害,流沙千裏些。
流沙,沙流而行也。《尙書》曰:餘波入於流沙。言西方之地,厥土不毛,流沙滑滑,晝夜流行,從廣千里,又無舟航也。
從廣,一作縱橫。
流沙는 모래가 흘러 간다는 말이다. 『尙書』에 “餘波入于流沙”라는 말이 보이는데, 서방의 땅에는 그 땅에 풀이 자라지
않아서 모래가 滑滑하게 주야를 그치지 않고 흐른다 한다. 雷淵은 雷公의 집을 말한다. 廣은 넓다는 뜻이요,
宇는 들판이라는 뜻이다. 왕개미 중에서 작은 것을 蟻 라 하고 큰 것을 蚍蜉라 한다. 藂菅은 섶풀이다. 倚는 의지함이다.

 

旋入雷淵,麋散而不可止些。
旋,轉也。淵,室也。淵,《文選》作泉。

爢,碎也。言欲涉流沙,少止則回入雷公之室,轉還而行,身雖爢碎,尙不得休息也。

爢,一作靡。《釋文》作糜。一作麋,非是。


雷淵:神話中的深淵。
爢(mi3米):同“靡”,粉碎。


幸而得脫,其外曠宇些。
曠,大也。宇,野也。言從雷淵雖得免脫,其外復有曠遠之野,無人之土也。●,一作幸。 

 

赤蟻若象,玄蜂若壸些。
螘,蚍蜉也。小者爲螘,大者謂之蚍蜉也。螘,一作蟻。
壺,乾瓠也。言曠野之中,有赤蟻,其狀如象。又有飛蜂,腹大如壺。皆有■]毒,能殺人也。
蜂,一作蜂。《釋文》作■D。五臣云:壺,器名。
壺:通“瓠”,葫蘆。

 

五榖不生,藂菅是食些。
柴棘爲藂。菅,茅也。言西極之地,不生五穀,其人但食柴草,若群牛也。藂,一作叢。菅,一作葌。
藂(cong2叢):聚集。菅(jian1堅):一種野草,細葉綠花褐果。

 

其土爛人,求水無所得些。
言西方之土,溫暑而熱,燋爛人肉。渴欲求水,無有源泉,不可得之也。

 

彷徉無所倚,廣大無所極些。
倚,依也。言欲彷徉東西,無民可依。其野廣大,行不可極也。一云:言西方之土,廣大遙遠,無所瑧極。
雖欲彷徉,求所依止,不可得也。一作仿佯。五臣云:仿佯,遊行貌。極,窮也。

 

歸來歸來!恐自遺賊些。
賊,害也。言魂●欲往者,自予賊害也。一云:歸來歸來。
賊:殘害。


魂兮歸來!北方不可以止些。
 
增冰峨峨,飛雪千裏些。
言北方常寒,其冰重累,峨峨如山。涼風急時,疾雪隨之。飛行千里,乃至地也。五臣云:增,積也。峨峨,高貌。
歸來兮!不可以久些。言其寒殺人,不可久留也。一云:歸來歸來。一云:不可以久止。
增(ceng2層):通“層”。

 

歸來歸來!不可以久些。

  
魂兮歸來!君無上天些。

天不可得上也。虎豹九關,五臣云:關,鑰。啄害下人些。

啄,齧也。言天門凡有九重,使神虎豹執其關閉,主啄齧天下欲上之人,而殺之也。一夫九首,拔木九千些。

言有丈夫一身九頭,强梁多力,從朝至暮,拔大木九千枚也。

  
虎豹九關,啄害下人些。
九關:指九重天門。

  
一夫九首,拔木九千些。

  
熽狼從目,往來侁々些。

侁侁,往來聲也。《詩》曰:侁侁征夫。言天上有豺狼之獸,其目皆從,奔走往來,其聲侁侁,爭欲啗人也。

侁,一作莘。五臣云:從,豎也。侁侁,衆貌。懸人以娭,懸,《釋文》作縣。娭,一作嬉,一作娛。

投之深淵些。投,擿也。言豺狼得人,不卽啗食,先懸其頭,用之娭戱。疲倦已後,乃擿於深淵之底而棄之也。
從(zong4縱):同“綜”,直。
侁(shen1申)侁:衆多貌。
  
懸人以娭,投之深淵些。

  
致命于帝,然後得瞑些。

瞑,臥也。言投人已訖,上致命於天帝,然後乃得眠臥也。瞑,一作眠。五臣云:致,送也。送人之命於天帝。

致命:上報。
  
歸來歸來!往恐危身些。

往卽逢害,身危殆也。一云;歸來歸來。一云;魂兮歸來。

  
魂兮歸來!君無下此幽都些。

幽都,地下后土所治也。地下幽冥,故稱幽都。一無「此」字。

幽都;저승, 황천(黃泉)幽都:神話中地下鬼神統治的地方。

 

土伯九約,其角觺々些。

土伯,后土之侯伯也。約,屈也。觺觺,猶狺狺,角利貌也。言地有土伯,執衛門戶,其身九屈,有角觺觺,主觸害人也。

觺,一作●。五臣云:觺觺,銛利貌。

土伯:地下王國的神靈。約:彎曲。一說,尾也。一說,肚下肉塊。
土伯은 后土之侯伯이다. 后土는 土地를 맡은 神이고 侯伯은 侯爵과 伯爵이다.
觺觺;뿔이 뾰족한 모양이다.
觺(yi2疑)觺:尖利貌。
  
敦脢血拇,逐人駓々些。

敦,厚也。■■,背也。拇,手母指也。■■,一作脢。

駓駓,走貌也。言土伯之狀,廣肩厚背,逐人駓駓,其走捷疾,以手中血漫汚人也。

敦은 厚이다. 血은 피에 젖어 뱀.
敦脄(mei2梅):很的背肉。疑爲神怪名。
駓駓;내닫는 모양.
駓(pi1披)駓:跑得很快的樣子。
  
參目虎首,其身若牛些。

言土伯之頭,其貌如虎,而有三目,身又肥大,狀如牛也。參,一作三。

參:同“三”。
  
此皆甘人,歸來歸來!恐自遺災些。

甘,美也。災,害也。言此物食人以爲甘美,徑必自與害,不旋踵也。

歸來,一云:歸來歸來。一作:歸來兮。災,《釋文》作菑。

甘人:以食人爲甘美。

 

魂兮歸來!入修門些。

修門,郢城門也。宋玉設呼屈原之魂歸楚都,入郢門。欲以感激懷王,使還之也。

修門:郢都城南三門之一。修門;郢都의 성문.영도는 楚나라의 수도이다.
  
工祝招君,背行先些。

工,巧也。男巫曰祝。背,倍也。言選擇名工巧辯之巫,使招呼君,倍道先行,導以在前,宜隨之也。

五臣云:工祝,良巫也。君謂原,言良巫背行在先,君宜隨後。

工祝:巫祝. 축祝은 제단에서 축문祝文을 읽는 신관. '축(祝=示 + 兄)'자에서 '兄'자는 무당의 모습'
신을 부르는 자를 '공축(工祝)...
工祝;工은 재주가 있는 것이다. 祝은 남자무당을 가리킨다
시경, 소아, 초자楚茨에, 我孔熯矣,式禮莫愆. 工祝致告,徂賚孝孫, 苾芬孝祀,神嗜飮食,卜爾百福.
背行:倒退著走。
  
秦篝齊縷,鄭綿絡些。

●絡,縷線也。●,《釋文》作篝。

綿,纏也。絡,縛也。言爲君魂作衣,乃使秦人職其●絡,齊人作綵縷,鄭國之工纏而縛之,堅而且好也。綿,一作綿。

秦篝:秦國出産的竹籠,用以盛被招者的衣物。

篝   gōu(1)   (形聲。字從竹,從冓(gōu),冓亦聲。“冓”意爲“碰頭”。“竹”指“竹竿”。“冓”與“竹”聯合起來表示“竹竿碰頭”。

本義:三角形竹架。說明:取三根等長的竹竿,把它們的一頭捆在一起,就做成了簡易三腳架,其中可以懸挂鍋子、水壺等,下面燒柴點火,可以邊烤火邊吃喝。這就是所謂的“篝火”。“篝”絕對不能是竹籠,竹籠架在火堆上有起火的危險。在外野營一切都從簡,不可能花費時間編制竹籠子) 同本義 [bamboo cage]   

篝,笿也,可熏衣。──《說文》。方言注:“今熏籠也。”   夜篝火。──《史記·陳涉世家》   

(2)   上大下小而長,可以盛物的竹籠。如:篝石(以竹籠盛石塊);篝燈呵凍(置燈于籠中,並以口氣噓物取暖。喻寫作之勤奮);篝車(指水車);篝簍(竹筐)   

(3)   指熏籠。如:篝衣(把衣服放在熏籠上烘幹或烘暖)   

篝火   gōuhuǒ   

(1)   [campfire;bonfire]   

(2)   古指用竹籠罩的火   又間令吳廣之次所旁叢祠中,夜篝火,狐鳴,呼曰:“大楚興,陳勝王。”──《史記·陳涉世家》   

(3)   今指在野外燃起的一堆一堆的火焰   宿營地上篝火紅呵,伐木工人正在回憶他親切的笑語。──《周總理,你在哪裏》   

  在無邊的暗夜裏,一簇簇的篝火燒起來了。──《七根火柴》   篝   gōu ㄍㄡˉ   竹籠:~火。~燈。

* 齊縷:齊國出産的絲線,用以裝飾“篝”。
鄭綿絡:鄭國出産的絲棉織品,用作“篝”上遮蓋。
綿絡;동여 맴. 속박. 휨쌈. 亦作“緜絡”。 1.纏繞;網絡。《楚辭·招魂》:“ 秦 篝 齊 縷, 鄭 綿絡些。”

  王逸 注:“綿,纏也;絡,縛也。”《漢書·揚雄傳下》:“是以 宓犧氏 之作《易》也,緜絡天地,經以八卦。”
  
招具該備,永嘯呼些。

該,亦備也。言撰設甘美,招魂之具,靡不畢備。故長嘯大呼,以招君也。夫嘯者,陰也。呼者,陽也。

陽主魂,陰主●。故必嘯呼以感之也。魂兮歸來!反故居些。反,還也。故,古也。言宜急來歸還古昔之處也。

招具:招魂用品,擅上文“秦篝”、“齊縷”、“鄭綿絡”等。
永:長。招魂者要長聲呼喚被招者。
  
魂兮歸來!反故居些。
反:同“返”。

  
天地四方,多賊奸些。

賊,害也。姦,惡也。言天有虎豹,地有土伯,東有長人,西有赤蟻,南有雄虺,北有增冰,皆爲姦惡,以賊害人也。

地,一作●,一作●。  
像設君室,靜閑安些。
像,法也。君,一作居。靜閒安些。無聲曰靜,空寬曰閒。

言乃爲君造設第室,法像舊廬,所在之處,淸靜寬閒而安樂也。

像設:假想陳設。
像은 尸이다. 신주. 尸童은 제사때 신을 대신하는 아이. 후세에는 畵像을 썼음.

  
高堂邃宇,檻層軒些。

邃,深也。宇,屋也。

檻,楯也。從曰檻,橫曰楯。軒,樓版也。言所造之室,其堂高顯,屋甚深邃。下有檻楯,上有樓板,形容異制,且鮮明也。

五臣云:檻,欄,層,重也。軒,檻樓上板。

邃宇;수는 深이다. 깊숙한 집. 큰 집.
臺는 無水한 것, 榭는 有水한 것. 사는 대 위에 있는 정자를 말한다.

臨은 높은 곳에서 내려다 봄.

檻:欄杆。軒:走廊。

 

層台累榭,臨高山些。

層、累,皆重也。無木謂之臺,有木謂之榭。

言復作重層之臺,累石之榭,其顚眇眇,上乃臨於高山也。或曰:臨高山而作臺榭也。

  
網戶朱綴,刻方連些。

網戶,綺文鏤也。朱,丹也。綴,緣也。網,一作罔。五臣云:織網于戶上,以朱色綴之。

刻,鏤也。橫木關柱爲連。言門戶之楣,皆刻鏤綺文,朱丹其緣,雕鏤連木,使之方好也。

五臣云:又刻鏤橫木爲文章,連於上,

網戶:刻镂網狀空格的門戶。朱綴:交綴處塗上紅色。
方連:方格圖案,即指“網戶”。
網戶; 그물 눈처럼 가로 세로 현란하게 조각한 문. 부귀한 집의 형용.
  
冬有突廈,夏室寒些。

穾,複室也。廈,大屋也。《詩》云:於我乎夏屋渠渠。廈,一作夏。五臣云:穾廈,重屋。

言隆冬凍寒,則有大屋,複穾溫室。盛夏暑熱,則有洞達陰堂,其內寒涼也。室,一作屋。

宎(yao4要):深密。
穾廈; 겹으로 된 큰 집, 방.

  
川谷徑複,流潺湲些。

流源爲川,注谿爲谷。徑,過也。復,反也。川,一作谿。徑,一作俓。五臣云:徑,往也。

言所居之舍,激導川水,徑過園庭,回通反復,其流急疾,又潔淨也。

徑:直。複:曲,指川谷水流曲折。

徑復; 往返. 갔다가 돌아옴.

潺湲; 물이 졸졸 흐르는 모양, 급하고 깨끗한 물의 흐름.

  
光風轉蕙,汜崇蘭些。

光風,謂雨已日出而風,草木有光也。轉,搖也。五臣云:日光風氣轉,汎薄於蘭蕙之叢。

氾猶汎。汎,搖動貌也。崇,充也。言天雨霽日明,微風奮發,動搖草木,皆令有光,充實蘭蕙,使之芬芳,而益暢茂也。

五臣云:崇,高也。

崇:通“叢”。

氾은 汎汎이다.물에뜨는 모양. 물이 넓게 흐르는 모습.

  
經堂入奧,朱塵筵些。

西南隅謂之奧。經,一作徑。古本作陞。奧,《釋文》作隩。五臣云:言自蘭蕙經入於此矣。

朱,丹也。塵,承塵也。筵,席也。《詩》云:肆筵設机。言升殿過堂,入房至室奧處,

上則有朱畫承塵,下則有簟筵好席,可以休息也。或曰:朱塵筵,謂承塵搏壁,曼延相連接也。搏,一作薄。

奧:內室。 塵筵:鋪在地上的竹席。

塵은 承塵이다.천장에서 먼지, 흙 갚은 것이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반자처럼 방 위에 판자 등을 치는 장치.

筵은 밑에 까는 자리이다.

  
砥室翠翹,挂曲瓊些。

砥,石名也。《詩》曰:其平如砥。翠,鳥名也。翹,羽也。五臣云:以砥石爲室,取其平也。又以翠羽相飾之。

挂,懸也。曲瓊,玉鉤也。言內臥之室,以砥石爲壁,平而滑澤。以翠鳥之羽,雕飾玉鉤,以懸衣物也。

或曰:儃室,謂儃佪曲房也。挂,一作絓。五臣云:玉鉤挂於室中。

砥室:形容地面、牆璧都磨平光亮像磨刀石一樣。翠翹:翠鳥尾上的毛羽。
曲瓊:玉鈎。
  
翡翠珠被,爛齊光些。

雄曰翡,雌曰翠。被,衾也。

齊,同也。言床上之被,則飾以翡翠羽及珠璣,

刻畫衆華。其文爛然,而同光明也。五臣云:以珠翠飾被,光色爛然相齊。

齊光:色彩輝映。

翡는 붉은 털, 翠는 파란 깃의 물총새.

齊는 同이다. 일제히.


蒻阿拂壁,羅帱張些。

蒻,蒻席也。阿,曲隅也。拂,薄也。五臣云:以蒻席替壁之曲。

羅,綺屬也。張,施也。言房內則以蒻席薄床,四壁及與曲隅,復施羅幬,輕且涼也。

蒻(ruo4弱)阿:細軟的缯帛。

蒻은 蒲이다.부들을 말한다.拂은 薄이다. 발을 말한다.

  
纂組绮缟,結琦璜些。

纂組,綬類也。一作藄,一作綦。五臣云:縞,練也。

璜,玉名也。言幬帳之細,皆用綺縞。又以纂組結束玉璜,爲帷帳之飾也。綺,一作奇。

帱(chou2籌):璧帳
纂組绮缟:指四種顔色不同的絲帶。纂,赤色絲帶;組,雜色絲帶;绮:帶花紋絲織品;缟:白色絲織品。
琦璜:美玉。

纂組는 끈이다. 纂은 붉은 끈이고 組는 五色의 실이다.綺는 무늬가 있는 비단이고 縞는 깨끗한 명주이다.

琦는 옥, 璜은 반원의 패옥. 

  
室中之觀,多珍怪些。

金玉爲珍,詭異爲怪。言縱觀房室之中,四方珍奇玩好怪物,無不畢具也。珍,一作■■。怪,一作■■。

  
蘭膏明燭,華容備些。

蘭膏,以蘭香煉膏也。燭,一作■n。

容,貌也。言日暮遊宴,燃香蘭之膏,張施明燭。觀其鐙錠,雕鏤百獸,華奇好備也。五臣云:華容,謂美人也。

蘭膏:泛言有香氣的油脂。

蘭膏;좋은 향기가 나는 기름.

華容은 美人이다.

 
二八侍宿,射遞代些。

二八,二列也。言大夫有二列之樂,故晉悼公賜魏絳女樂二八,歌鍾二肆也。

射,猒也。《詩》云:服之無射。遞,更也。言使好女十六人,侍君宴宿,意有厭倦,則使更相代也。

或曰:夕遞代。夕,暮也。遞,一作●。五臣云:君或猒之,則遞代進矣。

二八:以八人爲行。二八十六人。
射(yi4義):厭。遞:更替。

二八은 二列 十六人 또는 16세의 소녀를 말한다. 宿은 久이다.

射는 싫어하다는 뜻이다.(싫어할 역-射)
  
九侯淑女,多迅衆些。

淑,善。迅,疾也。言復有九國諸侯好善之女,多才長意,用心齊疾,勝於衆人也。五臣云:其來迅疾,衆多於此。

九侯:泛指列國諸侯。
迅:通“洵”,真正。
九侯;九服之侯. 구복은 周代에 王畿를 千里四方으로 하고 그 주위를 上下左右 각각 五百里마다 一畿로 구획하여,

侯服 甸服 男服 采服 衛服 蠻服 夷服 鎭服 蕃服으로 한 것의 일컬음. 服은 天子에게 복종한다는 뜻. 九畿.
  
盛鬋不同制,實滿宮些。

鬋,鬢也。制,法也。五臣云:盛飾理鬢,其制不同。

宮,猶室也。《爾雅》曰:宮,謂之室。言九侯之女,工巧姸雅,裝飾兩結垂鬢●下髮,形貌奇異,不與衆同,皆來實滿,充後宮也。

一云垂髮鬢下鬋。一云垂●下彿。

盛鬋(jian3剪):濃密的鬓發。鬋,下垂的鬓發。

  
容態好比,順彌代些。

態,姿也。比,親也。五臣云:比,密也。

彌,久也。言美女衆多,其貌齊同,姿態好美,自相親比,承順上意,久則相代也。代,一作世。

五臣云:彌,猶次也。好相親密和順,次以相代也。

比:並。
順:通“洵”,誠然。彌代:蓋世。

比는 親附이다. 정이 들어 붙좇음.

彌代는 蓋世이다. 세상에서 뛰어나 견줄 만한 사람이 없음.

  
弱顔固植,謇其有意些。

固,堅也。植,志也。植,一作立。

謇,正言貌也。言美女內多廉恥,弱顔易媿,心志堅固,不可侵犯,則謇然發言,中禮意也。謇,一作蹇。

五臣云:謇,正直貌。有意禮則之意。

弱顔:容貌柔嫩。固植:身體健康。
謇:發語詞。

植은 志이다. 말이 정직하고 예의 바름을 말한다.

 

姱容修態,絙洞房些。

姱,好貌。修,長也。

■■,竟也。房,室也。言復有美好之女,其貌姱好,多意長智,群聚羅列,竟識洞達,滿於房室也。

■■,一作緪。五臣云:洞,深也。

姱(kua1誇):美好。修:美。
絙(geng4):綿延。

姱는 좋다는 말이다. 修는 아름답다는 말이다.

絙은 ‘다하다’는 말로 ‘가득차다’의 뜻이다. 洞은 깊다는 말로 洞房은 깊은 방을 말한다.

 
蛾眉曼睩,目騰光些。

曼,澤也。睩,視貌。蛾,一作娥。睩,一作睇。五臣云:曼,長也。

騰,馳也。言美女之貌,蛾眉玉白,好目曼澤,時睩睩然視,精光騰馳,驚惑人心也。五臣云:騰,發也。

曼:長。睩(lu4錄):眼珠轉動。

누에나방의 觸鬚처럼 털이 짧고 초승달모양으로 길게 굽은 아름다운 눈썹. 곧 미인의 눈썹.

曼은 가볍고 가늘다는 뜻이다. 睩은 바라본다는 뜻이다.

騰은 발한다는 뜻이다.  

  
靡顔膩理,遺視矊些。

靡,緻也。膩,滑也。五臣云:靡,好也。

遺,竊視也。矊,脈也。言諸美女顔容脂細,身體夷滑,心中矊脈,時時竊視,安詳審諦,志不可動也。矊,一作●,一作●。

五臣云:矊,目中瞳子。言目淸澈,炯然見其瞳子。

靡:細致。膩:光滑。理:肌膚。
矊(mian3免):目光深長。

靡는 ‘곱다, 좋다’의 뜻이다. 膩는 매끄럽다는 뜻이다.

遺視는 몰래 보는 것이다. ‘면’은 눈동자가 맑고 빛나는 것을 말한다.

  
離榭修幕,侍君之閑些。

離,別也。修,長也。幕,大帳也。

閒,靜也。言願令美女於離宮別觀帳幕之中,侍君閒靜而宴遊也。

桷(jue2決):方的椽子。

離는 떨어져 있다는 뜻으로 離榭는 別館의 정자로 오늘날 말하는 별장과 같다.

修는 길다, 크다는 뜻으로 修幕은 큰 휘장을 말한다.

閒은 한가한 때를 말한다.

桷은 서까래이다. 집꼭대기에 기와를 받치는 나뭇기등이다.
  
翡帷翠帳,飾高堂些。

물가에 살며 물고기를 잡아먹는 새. 등의 빛이 암녹청색임. 쇠새. 帷는 곁휘장을 말한다.

翡帷는 翡翠의 깃털을 가지고 휘장을 장식한 것을 말한다.

高堂은 높고 큰 堂을 말한다.

 

紅壁沙版,玄玉之梁些。

紅,赤白色也。沙,丹沙也。

玄,黑也。言堂上四壁,皆堊色令之紅白,又以丹沙畫飾軒版,承以黑玉之梁,五采分別也。一云玄玉之梁。

五臣云:黑玉飾于屋梁。

紅壁은 紅色의 담이다. 沙版은 붉은 모래로 軒板(樓板)을 장식한 것이다.

玄은 검은색이다. 검은 옥으로 대들보를 장식한 것이다.  
  
仰觀刻桷,畫龍蛇些。

言仰觀視屋之榱橑,皆刻畫龍蛇,而有文章也。

  
坐堂伏檻,臨曲池些。

檻,楯也。臨曲池些。言坐於堂上,前伏檻楯,下臨曲水淸池,可漁釣也。芙蓉始發,

  
芙蓉始發,雜芰荷些。

芙蓉,蓮華也。

芰,菱也。秦人謂之薢茩。言池水之中有芙蓉,

始發其華,芰菱雜錯,羅列而生,俱盛茂也。或曰;倚荷,謂荷立生水中持倚之也。

五臣云:芰,水草。荷,芙蓉之莖。
  
紫莖屏風,文緣波些。

屛風,水葵也。

言復有水葵,生於池中,其莖紫色,風起水動,波緣其葉上而生文也。或曰;紫莖,言荷莖紫色也。

屛風,謂荷葉鄣風也。緣,《文選》作綠。五臣云:風起吹之,生文於綠波中也。

屏風:荇萊,又名水葵。一種水生植物。

屛風은 水葵로 荇菜(노랑어리연꽃. 조름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생 水草)인데 줄기는 보라색이다.

文은 紋(무늬)와 같다. 緣은 ‘인하여’의 의미이다. 바람이 물결을 일으키니 파문이 그로인해

그 잎 위에 무늬가 생기게 했다는 것이다. 

 
文異豹飾,侍陂陛些。

豹,猶虎豹。

陂陀,長陛也。言侍從之人,皆衣虎豹之文,異采之飾,侍君堂隅,衛階陛也。

或曰:侍陂池,謂侍從於君遊陂池之中,赫然光華也。陀,一作■■。

文:同:“紋”,指波紋。
文異:文彩奇異。豹飾:以豹皮爲飾,指侍衛武士的裝束。
陂陁(po1 tuo2坡陀):高低不平的山坡。

文異豹飾은 王逸 說에 이하면「侍從하는 사람들이 모두 호랑이,표범의 무늬과

異采로운 장식을 입고 있음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아마도 이 句는 文豹․異飾이 되어야 할 것 같다.

「文豹」라는 글귀는《莊子. 山木》篇에 보인다.

陂陁는 긴 층계이다.

  
軒辌既低,步騎羅些。

軒、輬,皆輕車名也。低,屯也。一曰:低,俛也。步騎羅些。徒行爲步,乘馬爲騎。羅,列也。

言官屬之車,旣已屯止,步騎士衆,羅列而陳,俟須君命也。

軒:有篷的輕車。辌(liang2涼):可以臥息的安車。低:通“抵”,到達。
薄:草木叢生。  

軒은 수레인데 가벼운 수레 이름이다. 低는 ‘진치다’의 의미이다.

맨발로 가는 것을 步라 하고, 말을 타고 가는 것을 騎라 한다. 步騎는 오늘날의 步兵․騎兵과 같다.

羅는 늘어서 있는 것이다.

  
蘭薄戶樹,瓊木籬些。

附也。樹,種也。五臣云:木叢生曰薄。

柴落爲籬。言所造舍種樹蘭蕙,附於門戶,外以玉木爲其籬落,守禦堅重,又芬香也。

五臣云:言夾戶種叢蘭,又栽木爲藩籬,以自蔽。瓊者,美言也。

薄은 붙어 있다는 것이다. 나무가 무더기로 자라는 것을 薄이라 한다. 樹는 심는 것이다.

  
魂兮歸來!何遠爲些?

遠爲四方而久不歸也。五臣云:此足可安居,何用遠去爲也。


室家遂宗,食多方些。

宗,衆也。

方,道也。言君九族室家,遂以衆盛,人人曉味,故飮食之和,多方道也。五臣云:營造飮食,亦多方略。

宗:聚。多方:多種多樣。

宗은 尊敬한다는 말이다.


稻粢穱麥,挐黃粱些。

稻,稌。粢,稷。穱,擇也。擇麥中先熟者也。

挐,糅也。言飯則以■■稻糅稷,擇新麥糅以黃梁,和而柔嬬,且香滑也。

粢(zi1資):小米。穱(zhuo1桌):早熟麥。
挐(ru2如):摻雜。黃梁:黃小米。

稻에는 메벼와 찰벼 두 가지 종류가 있다. 粢는 기장이다. 작麥은 보리가 먼저 익은 것이다.

일설에 의하면 벼를 심은 곳에 심은 보리이다.

挐는 ‘섞는다’는 뜻이다. 조에는 푸른색, 흰색, 누런색 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黃梁의 이삭은 낟알이 크나 수확은 적고 맛은 다른 조보다 월등하다.

  
大苦鹹酸,辛甘行些。

大苦,豉也。鹹,一作■■。五臣云:鹹,鹽也。酸,酢也。大苦鹹酸辛甘,皆和之,使其味行。

辛,謂椒薑也。甘,謂飴蜜也。言取豉汁和以椒薑,鹹酢和以飴蜜,則辛甘之味,皆發而行也。

辛:辣。行:用。

大苦는 메주 또는 된장이다. 醎은 소금이다. 酸은 식초이다.

辛은 생강을 말하고 甘은 엿과 꿀을 말한다. 行은 맵고 단 맛이 함께 나는 것을 말한다.

  
肥牛之腱,臑若芳些。

腱,筋頭也。五臣云:腱,筋肉。

臑若,熟爛也。言取肥牛之腱,爛熟之,則肥濡■■美也。若,一作弱。臑,一作●,一作胹。

臑,仁珠切。臑,音耎。胹,音而。《釋文》作●,而兗切。

腱(jian4健):蹄筋。
臑(er2而):炖爛。若:與“而”意同。

腱은 힘줄이다.

臑는 무르익다라는 뜻이다. 일설에 의하면 약한 모양이다.

若은 ‘또’의 의미이다. 살진 소의 근육을 익히니 무르익고 또 향기가 난다는 의미이다.
  
和酸若苦,陳吳羹些。

言吳人工作羹,和調甘酸,其味若苦而復甘也。五臣云:酸苦皆得中。

吳羹:吳地濃湯。

和는 조화시킨다는 말이다. 若은 미친다(及)는 말이다.

陳은 진열한다는 뜻이다.

吳羹 : 吳나라 사람들은 국을 끓이는 데 뛰어났다. 이 두 句는 吳人들이 끓이는 국은 시고

쓴 맛으로 조화시킨다는 말이다.

  
胹鄨炮羔,有柘漿些。

羔,羊子也。胹,一作臑。《釋文》作濡,而朱切。五臣云:濡,煮也。

柘,藷蔗也。言復以飴蜜胹鱉炮羔,令之爛熟,取藷蔗之汁,爲漿飮也。或曰:血鱉炮羔,和牛五藏爲羔臛,鶩爲羹者也。

柘,一作蔗。一注云:胹鱉炮羔,和牛五藏臛爲羹者也。

(按:孫詒讓《札迻》卷十二曰:注或曰以下有訛,審校文義,或本正文羔蓋作羹,

注當云,或曰胹鱉炮羹和牛五藏爲羹臛者也。今本羹誤涉正文作羔,又衍鶩爲羹三字,遂不可通。錄以備參。)

胹(er2而):煮。炮:烤。
柘(zhe4這)漿:甘蔗汁。

胹는 다른 곳에는 濡, 즉 ‘끓이다’라고 나와 있다. 炮는 통째로 구운 것이다. 일설에는 싼 채로 태운 것이다.

有는 ‘또’의 의미이다. 柘은 蔗(사탕수수 자)와 같다. 柘漿은 곧 사탕수수즙이다.
  
鹄酸臇凫,煎鴻鸧些。

臇,小臛也。

鴻,鴻鴈也。鶬,鶬鶴也。言復以酸酢烹鵠爲羹,小臇臛鳧煎熬鴻鶬令之肥美也。

鹄酸:據聞一多校。當作“酸鹄”。鹄,天鵝。臇(juan4倦):少汁的羹。
鴻鸧(cang1倉)鴻,大雁;鸧,即鸧鸹,一種似鶴的水鳥。
鵠酸臇鳧는 梁章鋸 說에 의하여 아래윗구를 배열하면 마땅히「酸鵠臇鳧」로 써야 한다.

藝文類聚에도 이와 같이 인용되어 있다. 鵠은 기러기 또는 고니인데 신맛으로 조화시키므로 酸鵠이라고 한다.

臇은 국물을 적게한다는 말이다.

鳧는 들오리이다.

鴻은 기러기이다. 鶬은 재두루미이다.

  
露雞臛蠵,曆而不爽些。

露雞,露棲之雞也。有菜曰羹,無菜曰臛。蠵,大龜之屬也。蠵,一作●。

厲,烈也。爽,敗也。楚人名羹敗曰爽。言乃復烹露棲之肥雞,臛蠵龜之肉,則其味淸烈不敗也

露:借爲“鹵”。一說借爲“烙”。臛(huo4霍):肉羹。蠵(xi1西):大龜。
厲:濃烈。爽:敗、傷。

露鷄는 야생의 닭이다. 臛은 고깃국인데 나물이 들어간 것을 羹이라 하고 나물이 들어가지 않은 것을 臛이라 한다.

蠵는 큰 거북의 일종이다.

厲는 훌륭하다는 뜻이다. 爽은 敗이다. 楚의 人名에 羹敗를 爽이라 하는데 不敗는 씹으매 맛이 있는 것이다.

 
  
粔籹蜜餌,有餦餭些。
■g餭,餳也。言以蜜和米麵熬煎作粔籹,擣黍作餌,又有美餳,衆味甘美也。擣黍,一作擣麥,一作揉米。

粔籹(ju4 nv3巨女):用蜜和面粉制成的環狀餅。餌:糕。
餦餭(zhang1 huang2張皇):即麥芽糖,也叫饴糖。

  
瑤漿蜜勺,實羽觞些。

瑤,玉也。勺,沾也。古本蜜作●。

實,滿也。羽,翠羽也。觴,觚也。言食已復有玉漿以蜜沾之,滿于羽觴,以漱口也。

五臣云:勺,和也。觴,酒器也。揷羽于上。

勺:通“酌”。
羽觞:古代一種酒囂。

實은 가득 찬 것이다. 羽觴은 참새모양을 새긴 술그릇이다.

  
挫糟凍飲,酎清涼些。
挫,捉也。凍,冰也。五臣云:糟,酒滓也。可以凍飮。李善云:凍,冷也。

酎,醇酒也。言盛夏則爲覆蹙乾釀,提去其糟,但取淸醇,居之冰上,然後飮之。酒寒涼,又長味,好飮也。

酎(zhou4胄):醇酒。
挫는 누르는 것이다. 挫糟는 그 찌꺼기(술찌꺼기)를 짜서 버려서 맑은 술을 만드는 것이다.

凍飮은 차게 마시는 것이다. 얼음과 술을 같이 마시는 것을 이른다.

酌은 단 것을 섞지 아니한 순수한 술이다.
  
華酌既陳,有瓊漿些。

酌,酒斗也。陳,一作敶。五臣云;華酌,謂置華於酒中。

言酒■■在前,華酌陳列,復有玉漿,恣意所用也。歸來反故室,敬而無妨些。妨,害也。

言君魂急來歸還,反所居故室,子孫承事恭敬,長無禍害也。一云:歸來歸來。一云:歸反故室。無「來」字。

華는 색채이다. 酌은 술그릇이다. 華酌은 색깔이 있는 술그릇을 말한다. 陳은 진열되어 있는 것이다.

瓊漿은 술빛깔이 옥(붉은 옥)과 같은 것이다   

歸反故室,敬而無妨些。

妨은 해가 된다는 말이다.

  
肴羞未通,女樂羅些。

魚肉爲肴。羞,進也。

言肴膳已具,進擧在前,賓主之禮,殷勤未通,則女樂倡蕩,羅列在堂下也。

通:通“徹”,撤去。

  
陳鍾按鼓,造新歌些。

按,徐。敶,一作陳。按,一作桉。五臣云:按,猶擊也。

言乃奏樂作音,而撞鐘,徐鼓,造爲新曲之歌,與衆絶異也。

  
《涉江》、《采菱》,發《揚荷》些。

楚人歌曲也。言己涉渡大江,南入湖池,采取菱芰,發揚荷葉。喩屈原背去朝堂,隱伏草澤,失其所也。

菱,一作■■。《文選》作陽荷。注云:荷,當作阿。《涉江》、《采菱》、《陽阿》皆楚歌名。

涉江、采菱:楚國歌曲名。
揚荷:多作《陽阿》,楚國歌曲名。

  
美人既醉,朱顔酡些。

朱,赤也。酡,著也。言美女飮啗醉飽,則面著赤色而鮮好也。酡,一作■。一本云:當作袉,徒何切,著也。爲■h者非。

酡(tuo2駝):喝酒臉紅。

 

娭光眇視,目曾波些。

娭,戱也。眇,眺也。娭,一作嬉,一作娛。

波,華也。言美女酣樂,顧望娭戱,身有光文,眺視曲眄,目采盼然,白黑分明,若水波而重華也。

五臣云:言美人旣爲戱樂,光彩橫出,眇然遠視,目若水波。

嬉光:形容撩人的目光。眇:通“妙”。
曾:通“層”。
  
被文服纖,麗而不奇些。

文,謂綺繡也。纖,謂羅縠也。

麗,美好也。不奇,奇也。猶《詩》云:不顯文王。不顯,顯也。言美女被服綺繡,曳羅縠,其容靡麗,誠足奇怪也。一云:被茲文服,纖麗不奇。長髮曼鬋,曼,澤。髮,一作鬢。豔陸離些。豔,好貌也。《左氏傳》曰:宋華督見孔父之妻,目逆而送之,曰:美而豔。言美人長髮工結,鬋鬢滑澤,其狀豔美,儀貌陸離,而難具形也。

被(pi1技):披。文:文繡。纖:細軟。

長發曼鬋,《豐盍》陸離些。
陸離:形容色彩斑斓。
  
        

二八齊容,起鄭舞些。

齊,同。

鄭舞,鄭國之舞也。言二八美女,其儀容齊一,被服同飾,奮袂俱起而鄭舞也。

或曰:鄭舞,鄭重屈折而舞也。衽若交竿,竿,竹竿也。衽,一作■。撫案下些。撫,抑也。

言舞者迴旋,衣衽掉搖,回轉相鉤,狀若交竹竿,以手抑案而徐來下也。一云:撫,抵也。

以手抵案而徐下行也。五臣云:衽,衣襟也。言舞人迴轉,衣襟,相交如竿也。以手撫案其節,而徐行也。

二八:指兩隊女樂。齊容:裝束一樣。
鄭舞:鄭國的舞蹈,比較放縱。

衽若交竿,撫案下些。
衽:衣襟。交竿:衣襟相交如竿。
撫:通“拊”,拍擊。案:同“按”。下:似指彎腰下屈的舞蹈動作。

  
竽瑟狂會,搷鳴鼓些。

狂,猶並也。

搷,擊也。言衆樂並會,吹竽彈瑟。又搷擊鳴鼓,以進八音,爲之節也。搷,一作嗔,一作塡。《文選》作槇,徒年切。

  
宮廷震驚,發《激楚》些。

震,動也。驚,駭也。

激,淸聲也。言吹竽擊鼓,衆樂並會,宮庭之內,莫不震動驚駭,復作《激楚》之淸聲,以發其音也。

搷(tian2填):猛擊。
激楚:楚國的歌舞曲名。或謂指激烈的楚歌之聲。

  
吳歈蔡讴,奏大呂些。

吳、蔡,國名也。歈、謳,皆歌也。

大呂,六律名也。《周官》曰:舞《雲門》,奏大呂。言乃復使吳人歌謠,蔡人謳吟,進雅樂,奏大呂。

五音六律,聲和調也。《文選》奏作秦。五臣云:吳、蔡、秦,皆國名。

吳歈(yu2俞):吳地之歌。蔡讴:蔡地之歌。
大呂:樂調名。

  
士女雜坐,亂而不分些。

言醉飽酣樂,合■■促席,男女雜坐,比肩齊膝,恣意調戱,亂而不分別也。

 
放敶組纓,班其相紛些。

組,綬。敶,一作陳。

紛,亂也。言男女共坐,除去威嚴,放其冠纓,舒敶印綬,班然相亂,不可整理也。班,一作斑。
組:系佩飾的絲帶。纓:帽帶。
班:同“斑”。

  
鄭、衛妖玩,來雜陳些。

鄭、衛,國名也。妖玩,好女也。

雜,廁也。陳,列也。言鄭、衛二國,復遣妖玩之好女,來雜廁俱坐而陳列也。陳,一作敶。

妖玩:指妖繞的女子。
  
《激楚》之結,獨秀先些。

激,感也。結,頭髻也。

秀,異也。言鄭、衛妖女,工於服飾,其結殊形,能感楚人,故異之而使之先進也。

五臣云:秀,異而先進於前。

秀先:優秀出衆。

 

菎蔽象棋,有六簙些。
菎,玉也。蔽,簙箸以玉飾之也。或言菎蕗,今之箭囊也。菎,一作琨,一作■_。

投六箸,行六棋,故爲六簙也。言宴樂旣畢,乃設六簙,以菎蔽作箸,象牙爲棋,麗而且好也。簙,一作博。

菎(kun1昆)蔽:飾玉的籌瑪。賭博用具。象棋:象牙棋子。六簙用具。
六簙(bo2伯):一種棋戲。可用以賭博。

  
分曹並進,遒相迫些。

曹,偶。遒,亦迫。言分曹列偶,並進技巧,投箸行棋,轉相遒迫,使不得擇行也。

或曰:分曹並進者,謂並用射禮進也。五臣云:遒,急也。言務以求勝。

分曹:相對的兩方。

  
成枭而牟,呼五白些。

倍勝爲牟。《文選》梟作鳧。

五白,簙齒也。言己棋已梟,當成牟勝,射張食棋,下兆於屈,故呼五白,以助投也。

兆於屈,一作逃於窟。

枭:博戲術語。成枭棋則可取得棋局上的魚,得二籌。牟:取。
五白:五顆骰子組成的特彩。得此可勝。

  
晉制犀比,費白日些。

晉,國名也。制,作也。比,集也。

費,光貌也。言晉國工作簙棋箸,比集犀角,以爲雕飾,投之皜然如日光也。

犀比:犀角制的帶鈎,用作賭勝負的彩注。一說用犀角制成的賭具。
白日:指一天時光。

  
铿鍾搖虡,揳梓瑟些。

鏗,撞也。搖,動也。鏗,《釋文》作銵。虡,一作■■。五臣云:虡,懸鍾格,言擊鍾則搖動其格。

揳,鼓也。言衆賓旣集,共簙以相娛樂,堂下復鳴大鍾,左右歌吟,鼓瑟琴也。

五臣云:揳,撫也。以梓木爲瑟。

铿:象聲詞。簴(ju4巨):鍾架。
揳(ia2夾):撫。梓瑟:梓木所制之瑟。  
  
娛酒不廢,沈日夜些。

娛,樂。言雖以酒相娛樂,不廢政事,晝夜沈湎,以忘憂也。或曰:娛酒不發。發,旦也。

《詩》云:明發不寐。言日夜娛樂。又曰:和樂且湛。言晝夜以酒相樂也。夜,一作夕。

  
蘭膏明燭,華鐙錯些。

一作■n。華鐙錯些。言鐙錠盡雕琢錯鏤,飾設以禽獸,有英華也。鐙,一作雕。

五臣云:似蘭漬膏取其香也。華,謂有光華。

錯:錯落安置。
  
結撰至思,蘭芳假些。

撰,猶博也。五臣云:言我能撰深心以思賢人。

假,至也。《書》曰:假于上下。蘭芳,以喩賢人也。言君能結撰博專至之心,以思賢人,賢人卽自至也。

結撰:構思。至思:盡心思考。

  
人有所極,同心賦些。

賦,誦也。言衆坐之人,各欲盡情,與己同心者,獨誦忠信與道德也。

五臣云:極,盡也。賦,聚也。賢人盡至,則同心相聚,君可選也。

極:極至,此當指極度快樂。

 

酎飲盡歡,樂先故些。

故,舊也。言飮酒作樂,盡己歡欣者,誠欲樂我先祖及與故舊人也。酎,一作酌。一本「盡」上有「旣」字。

五臣云:樂君先祖及故舊

先故:先祖與故舊。
  
魂兮歸來!反故居些。

言魂神宜急來歸,還反楚國,居舊故之處,安樂無憂也。

 
亂曰:獻歲發春兮,汨吾南征。

獻,進。征,行也。言歲始來進,春氣奮揚,萬物皆感氣而生,自傷放逐,獨南行也。

五臣云:汨,疾也。亦代原爲詞。

亂:亂辭,尾聲。
獻:進。 汩(yu4玉):形容匆匆而行。

  
菉蘋齊華兮,白芷生。

言屈原放時,菉蘋之草,其葉適齊,白芷萌芽,方始欲生,據時所見,自傷哀也。

猶《詩》云「昔我往矣,楊柳依依」也。

菉:通“綠”。蘋:一種水草。
白芷:一種香草。

  
路貫廬江兮,左長薄。

貫,出也。廬江、長薄,地名也。言屈原行先出廬江,過歷長薄。長薄在江北,時東行,故言左也。

五臣云:在其左也。

貫:通。
廬江:洪興祖의 <楚辭補注>에:“廬江出陵陽東南,北入江。”譚其骧以爲當指今襄陽、宜城界之潼水。
春秋時,地爲廬戎之國,因有此稱。
長薄:雜草叢生的林子。
  
倚沼畦瀛兮,遙望博。

沼,池也。畦,猶區也。瀛,池中也。楚人名池澤中曰瀛。五臣云:倚,立也。

遙,遠也。博,平也。言己循江而行,遂入池澤,其中區瀛遠望平博,無人民也。

倚:沿。畦:水田。瀛:大水。
博:曠野之地。

  

靑驪結駟兮,齊千乘,

純黑爲驪, 結,連也。四馬爲駟。

齊,同也。言屈原嘗與君俱獵於此,官屬齊駕駟馬,或靑或黑,連千乘,皆同服也。

青骊(li2離):青黑色的馬。驷:駕一乘車的四匹馬。

 

懸火延起兮,玄顔烝。

懸火,懸鐙也。玄,天也。言己時從君夜獵,懸鐙林木之中,其火延及,燒于野澤,煙上烝天,

使黑色也。烝,一作蒸。 
懸火:焚林驅獸的火把。
玄顔:黑裏透紅。指天色。烝:上升。

 

步及驟處兮,誘騁先,

走也。處,止也。

誘,導也。騁,馳也。言獵時有步行者,有乘馬走驟者,有處止者,分以圍獸,己獨馳騁,爲君先導也。

步:步行的隨從。驟處:乘車的隨從停下。驟,馳;處,止。
誘:導。打獵時的向導。

抑骛若通兮,引車右還。

抑,止也。騖,馳也。若,順也。五臣云:止馳騖者,使順通獵事。

還,轉也。言抑止馳騖者,順通共獲,引車右轉,以遮獸也。還,一作旋。一云引右運,無「車」字。

抑:勒馬不前。骛(wu4務):奔馳。若:順,指進退自如。
   
與王趨夢兮,課後先。

夢,澤中也。楚人名澤中爲夢中。《左氏傳》曰:楚大夫鬥伯比與■■公之女婬而生子,棄諸夢中。

言己與懷王俱獵于夢澤之中,課第群臣,先至後至也。一注云:夢,草中也。

夢:指雲夢澤。這一帶是楚國的大獵場,地跨大江南北。
課:比試。
  
君王親發兮,憚青兕。

發,射。憚,驚也。言懷王是時親自射獸,驚靑兕牛而不能制也。

以言嘗侍從君獵,今乃放逐,歎而自傷閔也。兕,一作●。

五臣云:憚,懼也。時君王親射靑兕,懼其不能制,我佐君殺之。

憚青兕:怕射中青兕。兕,犀牛一類的野獸。楚人傳說獵得青兕者,三月必死。

  
朱明承夜兮,時不可淹。

朱明,日也。承,續也。時不可以淹。淹,久也。言歲月逝往,晝夜相續,年命將老,不可久處,當急來歸也。

一云:時不淹。一云:時不可淹。一云:時不見淹。五臣云:日夜相承,四時不得淹止。

朱明:指太陽。
淹:留。

  
臯蘭被徑兮,斯路漸。

●,澤也。被,覆也。徑,路也。漸,沒也。言澤中香草茂盛,覆被徑路,人無采取者,水卒增溢,漸沒其道,將至棄捐也。

以言賢人久處山野,君不事用,亦將隕顚也。五臣云:埋沒凋落。湛湛江水兮湛湛,水貌。上有楓,楓,木名也。

言湛湛江水,浸潤楓木,使之茂盛。傷己不蒙君惠,而身放棄,曾不若樹木得其所也。或曰:水旁林木中,鳥獸所聚,不可居之也。

臯:水邊高地。
漸(jian1堅):遮沒。

湛湛江水兮,上有楓。
湛湛:水深的樣子。
  
  
目極千裏兮,傷春心。

言湖澤博平,春時草短,望見千里,令人愁思而傷心也。或曰:蕩春心

蕩,滌也。言春時澤平望遠,可以滌蕩愁思之心也。一作傷心悲。

  
魂去歸來兮,哀江南。

言魂●當急來歸,江南土地僻遠,山林嶮阻,誠可哀傷,不足處也。

五臣云:欲使原復歸於郢,故言江南之地,可哀如此,皆諷君之詞。

 

 


 

 

 

 

 

 

[출처] 招魂 |작성자 허생

' > 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楚辭=湘夫人  (0) 201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