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동(貞洞):현재 경북 영주시 가흥1동에 위치한 문정동을 가리킨다. 영주의 반남 박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2) 덕암(德岩):현재 경북 영주시 장수면 반구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영주의 반남 박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3) 이곡(伊谷):현재 경북 영주시 이산면 지동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영주의 옥천 전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4) 제기(齊璣):박제기(朴齊璣, 1818~1881)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순서(舜瑞)이다.
5) 웅곡(熊谷):현재 경북 영주시 장수면 호문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영주의 경주 손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6) 손응조(孫應祚):1819~1892.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윤오(潤五), 호는 사이재(四而齋)이다. 무과에 급제하였다.
7) 김낙규(金樂奎):1799~1867.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덕승(德升), 호는 정묵재(靜黙齋)이다.
8) 화계(花溪):현재 경북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영주의 인동 장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9) 김광언(金光彦):김휘경(金輝京, 1806~1873)이다. 본관은 예안, 자는 광언이다. 저자의 스승인 일포(逸圃) 박시원(朴時源)의 손서(孫壻)이다.
10) 창락(昌樂):현재 경북 영주시 풍기읍 창락리를 가리킨다.
11) 배상규(裵相奎):1811~?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치문(稚文)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12) 수철교(水鐵橋):현재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를 가리킨다.
13) 광천(廣川):현재 경북 영주시 안정면 여륵리를 가리킨다. 영주의 순흥 안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14) 안치묵(安致黙):1826~1867.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사상(士祥)・사휴(士休), 호는 죽남(竹南)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15) 안세영(安世泳):방목 등에 의하면 안세영(安世英, 1816~?)의 오기로 보인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경보(經甫)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16) 강이서(姜而瑞):강세규(姜世奎, 1809~1861)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이서・경서(景瑞), 호는 부오재(負誤齋)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부수찬 등에 임명되었다. 그는 강필신(姜必臣)의 아들인데, 강필신은 저자의 장남 박좌양(朴左陽, 1826~1872)의 장인이다.
17) 류순형(柳舜亨):류진휘(柳進徽, 1814~1881)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순형, 호는 와서(瓦西)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혜릉 참봉 등을 역임하였다.
18) 류필신(柳必申):류치윤(柳致潤, 1805~1880)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필신이다. 음관으로 출사하여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저자의 이전 일기인 《만록》에는 신(申)이 신(臣)으로 표기되어 있다.
19) 이경천(李景天):이휘승(李彙承, 1807~1889)이다.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경천, 호는 신옹(信翁)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장령,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20) 김경량(金景亮):김용기(金龍基, 1811~?)이다.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경량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21) 황유선(黃惟善):황인하(黃仁夏, 1811~1885)이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유선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자의 이전 일기인 《만록》에는 유(惟)가 유(幼)로 표기되어 있다.
22) 권평중(權平仲):권재형(權載衡, 1808~1861)이다. 본관은 안동, 자는 평중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23) 박초수(朴初壽):1789~1861. 본관은 반남, 자는 시경(始卿)・태초(太初), 호는 홍객(鴻客)이다. 진사시에 입격하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양구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24) 이흥호(李興浩):1809~? 본관은 여주(驪州)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승지 이진화(李鎭華)의 아들이다.
25) 평로(平老):박승수(朴昇壽, 1806~1873)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평로이다.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였다.
26) 류교조(柳敎祚):1812~1881.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명가(明可)이다. 음관으로 출사하여 의릉 참봉, 청송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27) 홍병원(洪秉元):1803~?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순유(舜有)・순보(舜輔)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남원 현감, 진주 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28) 정릉 전사관(靖陵典祀官):원문은 ‘靖陵奠祀官’인데, 일반적인 용례에 근거하여 ‘奠’을 ‘典’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이하 ‘奠祀官’은 동일하게 ‘典祀官’으로 번역하였다.
29) 류지영(柳芝榮):1828~1896.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수옹(秀翁)・중옹(仲雍), 호는 지산(志山)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30) 이재원(李在原):1800~1860.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효선(孝善)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 지평 등에 임명되었다.
31) 부사(副使):박제인(朴齊寅, 1818~1884)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치량(穉亮)이다. 생원・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남평 현감, 이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당시 그는 동지 겸 사은 부사(冬至兼謝恩副使)로서 청나라에 갔다.
32) 박종휴(朴宗休):1788~1865. 본관은 반남, 자는 원팔(元八)・치용(稚容)이다.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경주 부윤, 대사간,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33) 박규수(朴珪壽):1807~1876. 본관은 반남, 자는 환경(桓卿)・환경(瓛卿), 호는 환재(桓齋)・환재(瓛齋)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우의정에 올랐다.
34) 성필(聖弼):박종량(朴宗良, 1804~1876)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성필, 호는 금파(錦坡)이다.
35) 정창동(鄭昌東):1807~1885.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지평 등에 임명되었다.
36) 정창휴(鄭昌休):1808~? 본관은 청주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경안 찰방(慶安察訪), 예조 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37) 김병려(金炳礪):1804~? 본관은 안동, 자는 여용(汝用)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38) 김계한(金啓瀚):원문은 ‘金啓翰’인데, 《승정원일기》 등에 근거하여 ‘翰’을 ‘瀚’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그는 수원 감목관(水原監牧官), 오위장(五衛將) 등을 역임하였다.
39) 경우궁(景祐宮):순조(純祖)의 생모인 수빈(綏嬪) 박씨(朴氏)의 신판(神版)을 봉안한 궁이다.
40) 삼전(三殿):대왕대비전(大王大妃殿), 왕대비전(王大妃殿), 중궁전(中宮殿)을 가리킨다.
41) 고시홍(高時鴻):1803~?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익여(翼汝)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교리, 태안 군수 등에 임명되었다.
42) 박제소(朴齊韶):1807~1874. 본관은 반남, 자는 문재(聞哉)이다. 박초수(朴楚壽)의 장남이다.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예조 판서에 올랐다.
43) 박제영(朴齊韺):1820~1866. 본관은 반남, 자는 영숙(英淑)이다. 박제소(朴齊韶)의 아우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안의 현감, 삭녕 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44) 박제헌(朴齊憲):1808~1863. 본관은 반남, 자는 문유(文有)이다. 생원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도승지, 이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45) 윤종헌(尹鍾憲):1810~?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명지(明之)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46) 이경휘(李景輝):이정혁(李庭爀, 1805~1868)이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경휘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47) 오백겸(吳伯謙):오광일(吳光一, 1802~?)이다.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백겸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저자의 이전 일기인 《만록》에는 겸(謙)이 겸(兼)으로 표기되어 있다.
48) 손선일(孫善一):손상일(孫相馹, 1812~?)이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선일, 호는 오루(梧樓)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전적 등에 임명된 바 있다.
49) 이원숙(李元叔):이상성(李相聖, 1801~1860)이다.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원숙, 호는 가산(可山)이다.
50) 강진오(姜晉五):강진규(姜晉奎, 1817~1891)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진오, 호는 역암(櫟菴)・은구(隱求)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51) 이담구(李潭九):1803~1860.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운서(雲瑞)・성관(聖觀), 호는 창애(滄厓)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 등에 임명되었다.
52) 새로운 궁궐:경희궁(慶熙宮)을 가리킨다. 철종은 이해 9월 26일에 경희궁으로 이어(移御)하였다.
53) 우형(遇亨):류진황(柳進璜)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우형이다. 하회에 거주하였으며, 저자의 매부이다.
54) 제주 목사(濟州牧使):강면규(姜冕奎, 1804~1862)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주옥(周玉), 호는 면와(俛窩)이다. 1840년(헌종6) 저자와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교리, 제주 목사,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55) 류후조(柳厚祚):1798~1876.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재가(載可), 호는 매산(梅山)・낙파(洛坡)・영매(嶺梅)이다.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좌의정에 올랐다.
56) 유성환(兪晟煥):1804~?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경평(景平)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57) 권응기(權應夔):1815~1863. 본관은 안동, 자는 요장(堯章), 호는 소진(所珍)이다.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춘천 부사, 의주 부윤,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58) 양근(楊根):박대수(朴岱壽, 1803~1869)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망여(望汝)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양근 군수, 선산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59) 류도휘(柳道彙):1826~1897. 본관은 풍산, 자는 여경(茹卿), 호는 석고(石皐)이다.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60) 박한경(朴漢卿):박철현(朴鐵鉉, 1820~1860)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한경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61) 큰며느리의 기일:이날은 저자의 큰며느리인 진주 강씨(晉州姜氏, 1822~1848)가 사망한 날이다.
62) 신극성(辛克成):1822~1885. 본관은 영산(靈山), 자는 사훈(士勳), 호는 농계(濃溪)이다. 규성(奎成)으로 개명하였다.
63) 장응칠(張應七):장응표(張膺杓, 1819~1894)이다.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응칠(應七), 호는 운고(雲臯)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참판에 올랐다. 뒤에 시표(時杓)로 개명하였다.
64) 정석린(鄭錫麟):1778~1864.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성구(聖九), 호는 상산(商山)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 병조 참지 등을 역임하였다.
65) 권종헌(權宗憲):1795~? 본관은 안동, 자는 성칙(聖則)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66) 이문오(李文五):이만운(李晩運, 1815~1886)이다.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문오, 호는 쌍취(雙翠)이다. 생원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대사간, 한성부 우윤, 경주 부윤, 병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67) 류기목(柳祈睦):1802~1861.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치흠(稚欽), 호는 부강(芙江)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예안 현감(禮安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68) 손종책(孫鍾策):1794~1869.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방(元方), 호는 예헌(藝軒)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첨정 등을 역임하였다.
69) 홍영조(洪永祚):1820~1860.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치석(穉錫)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가주서를 지냈다.
70) 진전(眞殿):임금의 영정(影幀)을 모신 전각이다. 넓게는 선원전(璿源殿), 영희전(永禧殿), 준원전(濬源殿), 경기전(慶基殿), 장녕전(長寧殿) 등을 모두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로는 선원전만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철종은 이날 선원전에서 작헌례를 거행하였다.
71) 이경재(李絅在):1817~?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장언(章彦), 호는 정헌(靜軒)이다.
72) 박제승(朴齊承):1816~1860. 본관은 반남, 자는 비경(丕卿)이다. 박초수(朴楚壽)의 아들로서 박회수(朴晦壽)의 후사가 되었다.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금산 군수,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73) 강순가(姜舜歌):강경규(姜景奎, 1827~1869)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순가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74) 반촌(泮村)의……대단하다:이해 6월 27일에 김병학(金炳學, 1821~1879)이 모친상을 당한 것과 관련되는 기사이다. 성복(成服)은 상을 당한 뒤 초종(初終), 습(襲), 소렴(小斂), 대렴(大斂) 등을 마친 뒤 상복으로 갈아입는 상례 의식인데, 대렴 다음날 즉 상을 당한 지 4일 만에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김병학은 안동 김씨 세도가의 일원으로 고종대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저자는 벼슬자리를 얻기 위해 세도가의 초상집에 비를 무릅쓰고 문상하러 간 반촌 인사들의 행태를 야유하고 있다.
75) 최학승(崔鶴昇):1817~1878.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언(聲彦), 호는 화강(華岡)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76) 조부의 기일:저자의 조부는 박성간(朴成榦, 1771~1836)이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정(汝楨)이다. 그는 7월 10일에 사망하였다.
77) 호동(壺洞)에……위문하였다:이해 6월 30일에 박제승(朴齊承, 1816~1860)이 돌림병으로 사망한 것과 관련되는 기사이다. 참판 형제는 박제승의 친형제인 박제소(朴齊韶, 1807~1874) 형제를 가리킨다.
78) 홍병위(洪秉瑋):1805~1896.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명세(明世), 호는 연사(蓮史)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연산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홍병원의 아우이다.
79) 윤차과(輪次科):대윤차(大輪次)를 말한다. 정시 문과(庭試文科) 초시(初試)나 감시(監試) 초시 등을 치른 뒤, 낙방자들에게 다시 시험 기회를 준다는 의미로 제술 시험을 보여 회시(會試)나 복시(覆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는 것 또는 그런 시험을 말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따로 설행하기도 하며, 절일제(節日製) 즉 상순 윤차(上旬輪次)인 인일제(人日製)와 칠석제(七夕製), 춘추 과시(春秋課試)인 삼일제(三日製)와 구일제(九日製)를 이 형식으로 설행하기도 하였다.
80) 박제만(朴齊萬):1813~1884. 본관은 반남, 자는 양여(良如)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참봉, 울산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81) 충량과(忠良科):병자호란 때 절의를 지켜 충렬사(忠烈祠)와 현절사(顯節祠)에 모셔진 사람 및 귀화한 명나라인의 자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이다.
82) 박제경(朴齊敬):1831~1904. 본관은 반남, 자는 용간(用簡)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83) 박제정(朴齊政):1837~1876. 본관은 반남, 자는 순칠(舜七)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84) 칠석제(七夕製):성균관 원점 유생(圓點儒生)을 대상으로 7월 7일에 보이는 제술 시험이다. 특교가 있을 경우에만 방외 유생(方外儒生)까지 통틀어 시험하였다. 의정부, 육조, 홍문관・예문관・성균관의 당상이 성균관에 가서 시취하고 나서 왕에게 아뢰는 것이 일반적인 규례이고, 특명을 내려 시취하게 되면 대제학과 승지가 어제(御題)를 가지고 성균관으로 가서 시험을 보인 뒤 시권(試卷)을 거두어 대궐로 와서 과차(科次)하였다. 대책(對策), 표(表), 전(箋), 잠(箴), 송(頌), 제(制), 조(詔), 논(論), 부(賦), 명(銘) 중 1편을 시험하였으며, 하교에 따라 전시(殿試)나 회시(會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기도 하고 소정의 분수(分數)를 주기도 하였다.
85) 순임금이……다스려졌다:《논어(論語)》 〈태백(泰伯)〉에 나오는 구절이다.
86) 삼하(三下):《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이날 기사에는 정직조가 삼하일(三下一)을 맞고 서경순, 장호근은 삼하(三下)를 맞은 것으로 되어 있다.
87) 추도기(秋到記):7월에 성균관과 사학(四學)의 도기 유생(到記儒生)들에게 전강(殿講)과 제술(製述)로 나누어 보인 시험이다.
88) 천년……모였네: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 권9에 수록된 〈송완산부윤윤공(送完山府尹尹公)〉에 나오는 구절이다.
89) 박헌양(朴憲陽):1829~1894. 본관은 반남, 자는 계정(繼貞)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현릉 참봉(顯陵參奉), 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90) 류경만(柳景萬):류교목(柳敎睦, 1810~1874)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경만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91) 두암(斗岩)의 김 지평(金持平):김낙연(金樂淵, 1792~1872)이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사능(士能), 호는 금호(琴湖)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황산 찰방, 지평, 정언 등에 임명되었다. 두암은 경북 영주시 이산면 우금리를 가리키는데, 영주의 예안 김씨 문중의 세거지이다.
92) 김석보(金錫輔):1814~1875. 본관은 서흥(瑞興), 자는 가익(可翊), 호는 연부(蓮阜)이다. 생원시와 문과에 합격하여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93) 익릉(翼陵):숙종(肅宗)의 비 인경왕후(仁敬王后) 김씨(金氏)의 능으로, 서오릉(西五陵) 가운데 하나이다.
94) 성환 찰방(成歡察訪):이승덕(李承德, 1802~1876)이다.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명길(明吉), 호는 만회(晩悔)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성환 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95) 망극하고 망극하다:이날이 저자의 모친인 안동 권씨(安東權氏, 1784~1847)의 기일이기 때문이다.
96) 대신이……차자:영중추부사 정원용(鄭元容), 행판중추부사 김흥근(金興根)・김좌근(金左根), 우의정 조두순(趙斗淳) 등이 돌림병을 이유로 철종의 묘알(廟謁)과 능행(陵幸)을 우선 보류하기를 청한 차자이다. 《承政院日記 哲宗 11年 8月 2日》
97) 기린 찰방(麒麟察訪):박주운(朴周雲, 1821~1888)이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목경(穆卿), 호는 경당(鏡塘)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기린 찰방, 사간,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98) 장기백(張己百):장봉규(張鳳逵, 1820~1882)이다. 후에 장석봉(張錫鳳)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기백, 호는 오하(梧下)이다. 음관으로 출사하여 천안 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99) 이회가(李會嘉):이능형(李能亨, 1821~1867)이다.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회가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장릉(章陵)・희릉 참봉, 의흥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00) 온릉(溫陵):중종(中宗)의 비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능으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다.
101) 김경옥(金景玉):김휘온(金輝蘊, 1808~1882)이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경옥, 호는 만회(晩悔)이다.
102) 중현(仲賢):김낙운(金樂澐, 1811~1862)이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중현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103) 조병악(趙秉岳):1812~1868. 본관은 풍양(豐壤), 자는 신보(申甫)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익릉 참봉, 내자시 봉사, 군위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04) 이……동료인데:서릉은 서오릉(西五陵)이다. 저자는 1844년 4월 명릉 별검(明陵別檢)에 제수되었고, 조병악은 1844년 6월 익릉 참봉(翼陵參奉)에 제수되었다. 명릉과 익릉은 모두 서오릉의 하나이다.
105) 성발(聖發):김낙풍(金樂灃, 1825~1900)이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성발, 호는 소하(小下)・해우당(海愚堂)・대은(大隱)이다.
106) 김희영(金熙永):1807~?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희로(熙老), 호는 토와(土窩)이다. 음관으로 출사하여 제릉 참봉, 의흥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07) 김수승(金秀升):1817~?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원방(元方)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108) 구일제(九日製):성균관 원점 유생(圓點儒生)을 대상으로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에 보이는 제술 시험이다. 국제(菊製)라고도 하였다. 특교가 있을 경우에만 방외 유생(方外儒生)까지 통틀어 시험하였다. 의정부, 육조, 홍문관・예문관・성균관의 당상이 성균관에 가서 시취하고 나서 왕에게 아뢰는 것이 일반적인 규례이고, 특명을 내려 시취하게 되면 대제학과 승지가 어제(御題)를 가지고 성균관으로 가서 시험을 보인 뒤 시권(試卷)을 거두어 대궐로 와서 과차(科次)하였다. 대책(對策), 표(表), 전(箋), 잠(箴), 송(頌), 제(制), 조(詔), 논(論), 부(賦), 명(銘) 중 1편을 시험하였으며, 하교에 따라 전시(殿試)나 회시(會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기도 하고 소정의 분수(分數)를 주기도 하였다.
109) 아침에……태공병법(太公兵法)이었다:《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나오는 구절이다.
110) 강하오(姜夏五):강하규(姜夏奎, 1813~1883)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하오, 호는 백초(白樵)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11) 의성 김씨(義城金氏):1835~1860. 강하규의 장남인 강수(姜鏽)의 부인이다. 강수가 죽은 지 8일 만에 음독 자결하였다.
112) 손자:김태규(金泰奎, 1834~1860)이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휘언(彙彦)이다. 이달 9일에 사망하였다.
113) 승보시(陞補試):서울의 사학(四學 東學・西學・南學・中學)과 지방의 개성부(開城府)・제주목(濟州牧) 유생들에게 시(詩)・부(賦)를 시험 보여 식년(式年) 감시(監試) 복시(覆試)의 응시 자격을 부여하던 일종의 감시 초시(初試)로, 1년에 10회(《대전통편(大典通編)》 이후에는 12회) 시험을 보여 점수를 매기고 연말에 1년 동안 받은 총 점수가 10분(分) 이상인 자를 점수가 높은 순서로 소정의 인원만큼 선발하였다. 《大典會通 禮典 諸科 陞補》
114) 박응선(朴膺善):본 일기와 유사한 시기에 작성된 서찬규(徐贊奎)의 《임재일기(臨齋日記)》에, 서찬규가 장동(壯洞)에 거주하는 정언 박규현(朴奎賢)을 방문하고 그 아들 박응선 등과 세심대(洗心臺)에 올라 경치를 구경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본 일기의 〈유북한일기(遊北漢日記)〉에, 저자가 참봉 오만선(吳晩善)과 장동에 가다가 길에서 종인(宗人) 박응선을 만나 잠시 종장(宗丈)인 승지 박규현의 안부를 물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따라서 박응선은 박규현의 아들인데, 족보에 의하면 보명(譜名)이 박제응(朴齊膺, 1824~1901)으로 되어 있다. 그의 자는 경복(景服)이다. 음관으로 출사하여 의금부 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15) 서계(誓戒):대사(大祀)가 예정되어 있을 때 7일 전에 백관들이 경계할 사항을 맹세하는 의식이다. 왕이 친림한 가운데 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태묘, 즉 종묘의 동향 대제는 대사에 속하므로 서계를 행한 것이다. 아울러 1795년 정조의 명령에 따라 서계를 받는 시각은 자시(子時) 정각으로 하도록 하였다. 《經國大典 禮典 祭禮》 《銀臺便攷 禮房攷 親祭》
116) 대신(大臣)의……마련하였다:기사 내용과 《승정원일기》 내용을 검토할 때 이 구절 이하는 다음날인 27일에 기록되어야 한다.
117) 귀주(龜疇)의 여러 복:귀주는 《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의 구주(九疇)를 가리킨다. 구주란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 가지 대법(大法)이란 뜻인데, 그것이 신령한 거북의 등에 새겨져 있었으므로, 거북 귀 자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이 구주 가운데 아홉 번째로 오복(五福)이 열거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장수〔壽〕, 부(富), 강녕(康寧), 덕을 좋아함〔攸好德〕, 천수를 누림〔考終命〕이다.
118) 중부(仲父):박재경(朴在經, 1803~1858)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회문(繪文)이다. 9월 29일에 사망하였다.
119) 이득로(李得魯):1808~1873.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헌가(憲可), 호는 정와(靜窩)이다.
120) 이안중(李安仲):이병우(李秉瑀, 1804~1867)이다.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안중, 호는 근와(謹窩)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121) 조현거(趙賢擧):조현기(趙鉉基)이다. 본관은 풍양(豐壤), 자는 현거이다.
122) 감제(柑製):사감제술(賜柑製述)의 준말이다. 공물로 진상하는 황감(黃柑)이 올라온 뒤 특지를 내려 대제학과 승지에게 성균관에 가서 황감을 성균관과 사학의 유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원점생(圓點生)을 대상으로 보인 제술 시험이다. 친림(親臨)하여 시험 보이기도 하였고, 하교에 따라 수석인 자에게는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고, 지차(之次) 이하인 자에게는 상전을 베풀었다.
123) 하늘의……하례하네:《시경(詩經)》 〈대아(大雅) 하무(下武)〉에 나오는 구절이다.
124) 안대중(安大仲):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유응(幼應)이다. 순흥에 거주하였다. 《소청일록(疏廳日錄)》 〈소청동고록(疏廳同苦錄)〉에는 ‘중(仲)’이 ‘중(中)’으로 되어 있다.
125) 류장호(柳章鎬):1823~1870.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헌(伯憲)이다. 문과에 급제하였다.
126) 정기영(鄭基永):1814~?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미수(眉壽)・수경(受卿)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용궁 현감,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후에 기익(基翊)으로 개명하였다.
127) 순옥(舜玉):박제칠(朴齊七, 1808~1894)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순옥, 호는 죽남재(竹南齋)이다. 초명은 제문(齊文)이다. 저자의 재종제(再從弟)이다.
128) 도년(道年):박명수(朴明壽, 1823~1882)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도년, 호는 국천(菊泉)이다. 저자의 스승인 일포(逸圃) 박시원(朴時源)의 손자이다.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 판리(板里):현재 경북 봉화군 물야면 오록리 판교(板橋) 마을이다. 예안 김씨(禮安金氏)와 풍산 김씨(豐山金氏) 문중의 세거지이다.
130) 김휘재(金輝載):김휘재(金輝在, 1827~1874)의 오기로 보인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주언(周彦)이다. 저자와 교분이 있던 소헌(素軒) 권인하(權人夏)의 생질이기도 하다.
131) 박연중(朴蓮中):1809~1870. 본관은 반남, 자는 통숙(通叔)이다.
132) 망극하고 망극하다:저자의 부친 박재순(朴在純, 1789~1849)의 기일이기 때문이다.
133) 이봉녕(李鳳寧):1793~1871.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주경(周經), 호는 분서(汾西)이다.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영주 군수, 고양 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134) 입지(立旨)와 완문(完文):입지는 민(民)이 신분상 관계, 의무 면제, 노비나 토지의 매매, 상속, 증여 등의 사항에 대해 법률적 증거력을 얻기 위해 청구하면 관에서 조사한 뒤 그 청원서에 판결문 형식으로 기재한 다음 환급한 문서이다. 완문은 향교, 서원, 문중, 개인 등에게 어떤 사실이나 권리, 특권을 인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아에서 발급한 문서이다. 고양에 있는 선산과 관련하여 위토답을 매수한 건에 대해 관으로부터 공증을 받고, 선산 수호나 위토답 관리를 위해 이러한 문서를 발급받은 것으로 보인다.
135) 박계양(朴啓陽):1817~1868. 본관은 반남, 자는 퇴여(退汝)・경옥(景沃)이다.
136) 류성표(柳星杓):1816~1882.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건오(建五), 호는 양진재(養眞齋)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 정언 등에 임명되었다.
137) 오늘은 중부(仲婦)의 기일이다:이날은 저자의 아들 박우양(朴右陽, 1831~1869)의 첫째 부인인 안동 권씨(安東權氏, 1824~1851)가 사망한 날이다.
138) 헌서 재자관(憲書齎咨官):중국에서 반포하는 역서(曆書)를 가지러 갔다 오는 관원이다. 헌서는 청대(淸代)의 역서이다. 원래 ‘역서’라 했는데, 청 고종(淸高宗)의 이름이 홍력(弘曆)이므로 ‘역’ 자를 휘(諱)하기 위해 헌서(憲書)로 개정하였다.
139) 이주현(李周賢):이원조(李源祚, 1792~1871)이다.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주현, 호는 응와(凝窩)・호우(毫宇)이다. 초명은 영조(永祚)이다. 문과에 급제하였다.
140) 이 도정(李都正):이가발(李家發, 1776~1861)이다.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영숙(英叔), 호는 소우(素于)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출사하여 돈녕부 도정 등에 임명되었다.
141) 오 참봉(吳參奉):오만선(吳晩善, 1815~?)이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성(汝成)이다. 돈녕부 참봉에 임명된 바 있다.
142) 우양(右陽):저자의 차자인 박우양(1831~1869)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국명(國明)이다.
143) 제화(齊華):저자의 종제인 박제화(1827~1886)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성봉(聖封)이다.
144) 제항(齊恒):저자의 종제인 박제항(1836~1910)이다. 본관은 반남, 자는 성심(聖心), 호는 소헌(小軒)이다.
145) 천경(天卿):권두하(權斗夏, 1809~1876)이다. 본관은 안동, 자는 천경, 호는 소은(疎隱)이다. 저자의 종매부(從妹夫)인 권경연(權敬淵, 1836~1898)의 부친이다.
146) 류겸수(柳謙叟):류광목(柳光睦, 1813~1870)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겸수, 호는 용주(蓉洲)이다.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47) 고목(告目):각 관청의 서리(書吏)나 지방 관아의 향리(鄕吏) 같은 하급 관리가 상급 관리에게 공적인 일을 보고하거나 문안(問安)할 때 사용하는 간단한 양식의 문서를 이른다.
148) 소유천(小有天) : 신선이 사는 곳으로, 도가(道家)의 삼십육동천(三十六洞天) 중 첫째이다.
149) 백열(柏悅) : 친구의 좋은 일을 함께 기뻐한다는 말이다. 서진(西晉) 육기(陸機)의 〈탄서부(歎逝賦)〉에 “참으로 소나무가 무성하니 잣나무가 기뻐하고, 슬프다 지초가 불에 타니 혜초가 탄식하네.[信松茂而柏悅, 嗟芝焚而蕙歎.]”라고 하였다.
150) 강 진사(姜進士)……편지:강 진사는 강헌규(姜獻奎, 1797∼1860)를 이른다. 이 편지는 《농려집(農廬集)》 권3 <여권서호연(與權婿好淵)>이라는 제목으로 일부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작자가 대신 쓴 것으로 추측된다.
151) 잉숙(仍叔):주(周)나라 대부로 선왕(宣王)의 덕을 찬미하여 <운한(雲漢)>이란 시를 지었다. 여기서는 문장 솜씨가 훌륭한 사람을 이른다.
152) 최학승(崔鶴昇):1817-1878. 자는 성언(聲彦), 호는 화강(華岡)이다. 1860년(철종11) 6월 25일에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었다. 저서로는 《화강일고(華岡逸稿)》가 있다.
153) 상원(上園) : 임금의 동산인 장안(長安)의 상림원(上林園)을 인용한 것이다.
154) 선로(仙露) : 한 무제(漢武帝)가 구리쇠로 선인장(仙人掌)을 높게 만들어 하늘에서 내리는 이슬을 받았는데, 그 이슬을 먹으면 오래 산다 하였다. 여기서는 임금이 놀던 곳의 이슬을 말한다.
155) 임명장:원문 ‘含鳳’은 ‘彩鳳含綸’으로, ‘鳳凰銜書’라고도 한다. 본디 주(周)나라 때 봉황이 천서(天書)를 입에 물고 문왕(文王)의 도읍지에 날아와 노닐었다는 고사(《玉海 卷196》)에서 유래하여 제왕이 천명을 받음, 또는 사자(使者)가 임금의 교지(敎旨)를 전달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여기서는 최학승에게 재임명하는 임명장을 내렸다는 의미이다.
156) 포오(哺烏) :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이르는 말인데, 까마귀는 다 자란 다음 어미에게 먹이를 날라다 주는 효조(孝鳥)라 하여 반포조(反哺鳥)라고도 한다.
157) 연방(蓮榜) : 사마시(司馬試)의 생원과(生員科)와 진사과(進士科)에 입격한 사람의 이름을 게시하던 방이다.
158) 옥수(玉樹):남의 집안의 우수한 자제(子弟)를 예찬하는 말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言語)〉에, 진(晉)나라 사안(謝安)이 여러 자제들에게 어떤 사람이 되고 싶냐고 묻자, 그의 조카인 사현(謝玄)이 대답하기를 “비유하자면 지란옥수가 뜰 안에 자라게 하고 싶습니다.[譬如芝蘭玉樹, 欲使其生於階庭耳.]”라고 하였다.
159) 박규수(朴珪壽):1807~1877.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환경(桓卿ㆍ瓛卿), 호는 환재(瓛齋)로, 연암 박지원의 손자이다. 1854년(철종5)에 12월에 승지에 제수되었다. 《承政院日記 哲宗 5年 12月 2日》
160) 연홍(燕鴻)의 한스러움:멀리 떨어져서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을 말한다. 연홍은 제비와 기러기로, 제비는 여름 철새이고 기러기는 겨울 철새여서 서로 만날 수가 없기 때문에, 멀리 헤어져서 만나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161) 순로(蓴鱸) : 순채국과 농어회라는 순갱 노회(蓴羹鱸膾)의 준말이다.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순챗국과 농어회가 생각나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간 고사가 있다. 《晉書 文苑列傳 張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