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탁영시

황성 2021. 1. 23. 17:12

梅窓素月

매화 핀 창에 달빛 비치다

 

曾移寒樹斸江莎일찍이 매화를 옮겨 심고 강의 사초를 베었더니

邀月窓間碧映紗창 사이에 달이 떠서 푸른 깁에 비치네

暖玉煙生香黯淡따뜻한 옥에 이내 일자 은은한 향기 풍기고

素裳風舞影攲斜흰 치마에 바람 나부끼자 그림자 기울어지네

姸窺杯面欺淸聖예쁜 모습이 술잔에 비쳐 맑은 술인 양 속이고

冷透詩腸退劣魔냉기는 시심에 들어와 저속한 시마 물리치네

讀了仙經花共睡선경 읽고 나자 꽃 함께 잠드니

洗心聊復試龍茶마음 씻으려 애오라지 다시 용차를 마시네

 

*暖玉 : 매화 꽃봉오리

*素裳 : 매화 꽃잎

*淸聖 : 술 가운데 청주(淸酒)를 성인이라 하고 탁주(濁酒)를 현인(賢人)이라 하는 데서 온 말이다. 삼국지(三國志)27 위서(魏書) 서막열전(徐邈列傳)평소 취객들이 청주를 성인이라 하고, 탁주를 현인이라 일컫습니다.[平日醉客謂酒清者爲聖人, 濁者爲賢人.]”라고 하였다. 또 당나라 이백(李白)의 시 월하독작(月下獨酌)청주 탁주 이미 다 마셨으니, 신선을 구태여 찾을 필요 뭐 있으랴.[賢聖旣已飮, 何必求神仙?]”라고 하였다. 全唐詩 卷182 月下獨酌

*劣魔 : 용렬한 시마(詩魔). 시마는 시 짓기를 매우 좋아하는 성벽(性癖)을 뜻한다. 백거이(白居易)취음(醉吟)술에 취해 또 시마를 나오게 하여, 정오부터 슬피 읊다가 해 질 녘에 이르렀네.[酒狂又引詩魔發, 日午悲吟到日西.]” 하였다.

*: 매화의 아름다운 자태

*: 매화의 차가운 느낌 정도

*仙經 : 도가(道家)의 경전(經典)을 말한다.

용차(龍茶) : 용차는 용봉차(龍鳳茶), 차 가운데 가장 질이 좋은 차를 말한다.

 

 

竹逕淸風

대숲 길에 맑은 바람이 불다

 

回環三逕繞東皐동고 주위를 삼경으로 둘러놓았으니

佳友來時證結交국화꽃이 필 때 교분을 확인할 수 있으리

看得虛心參爾雅텅 빈 마음을 봄에 이아에 들 수 있고

誇將淸節補離騷맑은 절개를 자랑함에 이소를 보충할 수 있네

叢音玉碎和煙淡옥이 부딪히는 듯한 댓잎소리는 안개와 어우러져 담연하고

葉色金翻映日高금빛으로 반짝이는 댓잎색은 해에 비쳐 드높아라

最是滿林風可愛가장 사랑스러운 것은 온 대숲에 바람이 불면

宮商不斷四時號음악이 끊어지지 않고 사시사철 들리는 것일세

 

*三逕 : 소나무와 대나무와 국화의 세 길 속에 은거하였던 도잠(陶潛)의 고사가 있다. ()나라 도연명(陶淵明)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세 오솔길이 황폐해졌으나 소나무와 대나무는 아직도 남아있네.[三逕就荒, 松竹猶存.]”라고 하였다.

 

*佳友 : ()나라 증단백(曾端伯)이 열 가지 꽃을 십우(十友)’라 하면서 이들의 품성에 대해서 다미(茶䕷)는 운우(韻友), 말리(茉莉)는 아우(雅友), 서향(瑞香)은 수우(殊友), 하화(荷花)는 정우(淨友), 암계(巖桂)는 선우(仙友), 해당(海棠)은 명우(名友), 국화(菊花)는 가우(佳友), 작약(芍藥)은 염우(豔友), 매화(梅花)는 청우(淸友), 치자(梔子)는 선우(禪友)”라고 각각 품평하였다.

 

*爾雅 : 한나라 학자들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어휘 사전이다. 시경서경에서 글자를 뽑아 고어를 용법과 종목별로 19편으로 나누고, 글자의 뜻을 한나라 당시의 말로 풀이하였다.

 

*離騷 : 굴원이 소인(小人)들에게 참소를 당하여 쫓겨난 뒤 자신의 고뇌를 표현한 작품이다. 향초(香草)와 길조(吉鳥)를 가지고 자신의 충정(忠貞)을 비유하고, 악초(惡草)와 악조(惡鳥)를 가지고 소인을 비유하였다. 하지만 대나무에 관한 내용을 빠져 있다.